-
지각을 이루고 있는 암성이나 지층의 성질 및 상태. 청주시 일대는 시대미상의 운교리층과 중생대 중기에 이를 관입한 반상화강암 및 섬록암과 중생대 말기에 관입한 산성 및 염기성 암맥들과 신생대 제4기에 이들을 부정합으로 덮는 제4기 충적층으로 이루어진다. 제4기 충적층을 제외하면 주로 반상화강암이 본 청주시 일원에 약 90% 이상을 점유하고 있으며 다른 암석들은 소규모로...
-
땅의 모양이나 형태를 일컫는 말. 어떤 지형의 용어는 그 용어 자체에 그 지형이 특징적으로 나타나는 지역적인 분포를 명확히 표시하기도 한다. 지형은 인간생활에 직·간접으로 영향을 많이 준다. 즉, 지형형성은 기후·토양·식생 등과도 깊은 관계를 갖고 있으며 그들을 통하여 인간생활과 밀착되어 있다. 어떤 지역에 어떤 지형이 어떻게 형성되는가라는 지형형성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는 첫째 암...
산
-
육지의 표면이 주위의 땅보다 높이 솟은 부분. 산에 대한 정의는 다양하지만 산의 개념은 고도 및 지역의 두 개념이 포함되어 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산이라고 할 때는 고도의 개념이 우선한다. 우리나라의 경우 주변 지형보다 높은 자연지형을 가리킨다. 따라서 우리나라는 높이보다는 평지나 구릉에 대한 상대적인 개념으로 사용하고 있다. 기복이 뚜렷하고 주위의 저평한 지역과 명백한 산록에...
-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낭성면 인경리, 지산리, 갈산리, 무성리에 걸쳐 있는 산. 가래산(加來山)은 갈미 또는 갈산(葛山), 인경산(仁景山), 태봉산(胎峰山) 등으로도 부른다. 갈미 또는 갈산은 마을 동쪽에 솟아 있는 가래산이 여러 갈래로 갈라진 모양 또는 갈라진 곳에 있다는 의미이다. 중세 국어에서 ‘가래’ 또는 ‘갈’은 갈라짐으로 이해되며, ‘갈미’의 ‘미’는 지명에서 메·모이...
-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산성동과 청원군 낭성면에 걸쳐 있는 산. ‘것대산(484.0m)’은 옛 문헌에 ‘거차대산(居次大山)’ 또는 ‘거질대산(居叱大山)’ 등으로 차자되어 나온다. 즉, ‘居次大’나 ‘居叱大’는 모두 ‘것대’로 재구성되어 불린 것이다. ‘거질대산’은 ‘거질대(居叱大)’의 ‘질(叱)’이 차자표기에서 ‘ㅅ’의 표기인 줄을 모르고 음으로 읽은 지명이다....
-
충청북도 청주시 청원구 내수읍 우산리, 초정리와 상당구 미원면 대신리, 종암리 일대에 걸쳐 있는 산. 구녀산(九女山)은 구라산(謳羅山), 구려산(句麗山) 등으로도 불린다. 구라산 정상에 삼국 시대에 만든 구라산성이라는 석축 산성이 있는데, 후고구려의 궁예가 진을 치고 북이면 부연리의 낭비성에 있는 후백제의 견훤과 싸웠다는 전설이 전한다. 구라산성은 구녀성이라고도 한다. 구녀산의 절...
-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문의면 덕유리와 서원구 현도면 하석리에 걸쳐 있는 산. 구룡산(九龍山)은 전설에 등장하는 상상의 동물인 용이 여러 마리 이어진 모습으로 보인 데에서 유래한다. 구봉산(九峰山)이라고도 부르는데, 산의 형상이 아홉 마리의 봉황이 모여 있는 것처럼 보여 붙여진 이름이다. 문의면에서 바라보면 산의 형상이 삿갓과 같아 삿갓봉이라고도 한다. 전국적으로 구룡산, 구봉산,...
-
충청북도 청주시 흥덕구 개신동·산남동·산북동에 걸쳐 있는 산. ‘구렁봉’이란 이름은 주로 이 산 주변에 사는 주민들이 사용하고 있다. ‘구렁’을 ‘구렁이’로 보고 구렁이가 하늘로 올라가는 형국이어서 붙여진 이름으로 말한다. 그런데 ‘구렁봉’의 ‘구렁’은 ‘구렁이’가 아니라 ‘구룡’이 변한 것으로 보아야 할 듯하다. 또한, ‘구렁산’은 산에 구절초가 많아서 붙어진 이름이라...
-
충청북도 청주시 흥덕구 사창동에 있는 산. ‘궁무리산’은 1차적으로 ‘궁무리’와 ‘산’으로 분석된다. ‘궁무리’는 다시 ‘궁’과 ‘무리’로 나뉘는데, ‘궁’은 ‘금’의 변화형으로 추정된다. 즉 ‘금’이 ‘굼’으로, 다시 ‘궁’으로 변한 어형으로 보고자 한다. ‘금’은 ‘신(神)’의 뜻인 ‘’에서 기원한 것으로, ‘크다’나 ‘높다’를 뜻한다. ‘무리’는 ‘머리’의 변화형...
-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금천동에 있는 산. 본래 ‘곶뫼’ 또는 ‘고지뫼’ 등에서 유래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곶뫼’와 ‘고지뫼’의 선행요소인 ‘곶’과 ‘고지’는 산이 평야를 향해 죽 뻗어 나온 지형(쑥 튀어 나온 돌출부분)을 특별히 이르는 고유어이다. 뫼는 산을 듯하는 고유어로 지명에 따라 ‘메’, ‘매’등으로 나타내기도 한다. 따라서 ‘곶뫼’ 또는 ‘고지뫼’는 평야를...
-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용정동과 용암동에 걸쳐 있는 산. 관음보살이 머문 인도 남쪽 보타낙가산(普陀洛迦山)에서 유래 되었다. 이곳은 청주지역에서 흔히 볼 수 있는 화강암류가 아니고 변성퇴적암류의 기반암을 갖는 지역으로, 이 지역은 양 암석의 경계지역임을 쉽게 알 수 있다. 정상은 고도가 475m이며 남서쪽으로 400m의 봉우리가 이어진다. 상당산성의 상당산(上黨山)[41...
-
충청북도 청주시 흥덕구 분평동에 있는 산. 산의 모양이 누에의 머리처럼 생겨서 붙어진 이름이다. 누에머리를 줄어서 ‘눼머리’라고도 한다. 누에머리의 한자지명이 잠두(蠶頭)이고 잠두에 봉을 붙어 ‘잠두봉(蠶頭峰)[101m]’이라고 한다. 누에와 관련된 청주지역의 지명은 청원군의 가덕면 병암리 잠두골, 강내면 탑현리 잠두, 오창면 성산리 누에봉 등이 있다. 풍수상으로 잠두형...
-
충청북도 청주시 흥덕구 신전동에 있는 산. 이곳에 청원군 부강 사람이 부모의 묘를 쓰고 그 덕으로 한때 잘 살게 되었다는 이야기가 전하는데, 이처럼 당대발복산은 부모의 묘를 명당에 쓴 덕으로 아들의 대에서 곧 바로 부귀를 누리게 된 묘가 있어서 붙여진 이름이라고 한다. 높이는 60여m에 불과하지만 활엽수인 참나무가 무성하게 자라는 곳으로, 이곳은 화강암의 풍화토가 두텁게...
-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대성동에 있는 산. 당이산(唐羡山)은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에도 나오는 아주 유서 깊은 지명이다. 여기에는 '당이산(唐羡山)이 청주의 동쪽 1리에 있는 진산이며 토성기(土城基)가 있다'는 기록이 나온다. 이와 유사한 내용이 『여지도서(輿地圖書)』에도 기록되어 있다. 이 당이산(唐羡山)에서는 매년 청주 사람들의 안녕을 비는...
-
충청북도 청주시 흥덕구 옥산면 장동리와 동림리, 세종특별자치시 전동면 심중리에 걸쳐 있는 산. 동림산(東林山)은 처음에는 오동나무가 많아 ‘동림산(桐林山)’으로 불렀지만, 현재는 동쪽에 숲이 우거진 산을 가리키는 ‘동림산(東林山)’으로 표기한다....
-
충청북도 청주시 흥덕구 신봉동에 있는 산. 이 산의 ‘명심(明心)’은 밝은 마음의 산으로 붙어진 이름이고 ‘신봉산’은 신봉동에 있는 산으로 붙어진 이름으로 추정된다. 또한, 어당 뒤쪽에 있어 뒷산으로 부르기도 한다. 산의 높은 봉우리를 ‘상봉’, 낮은 봉우리를 ‘하봉’이라고 하여 구별한다. 명심산의 ‘옥녀봉’은 옥녀가 머리를 산발한 하고 있는 봉우리, 옥녀가 거문고를 타...
-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미원면 옥화리, 월용리, 쌍이리, 미원리에 걸쳐 있는 산. 미동산(米東山)은 미원리(米院里)와 동(東)쪽이 결합된 지명으로 미원리의 동쪽에 위치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미동산은 귀바위를 중심으로 동미동산과 남미동산이 있는데, 미동산은 귀바위의 남쪽에 있어 주민들은 남미동산(南米東山)이라고도 부르며, 달리 학당산(學堂山)이라고도 부른다....
-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사천동에 있는 마을. 옛날에 발산사라는 절이 있어서 붙여진 이름이라고 하나 실제 절이 있었는지는 확인할 수 없다. 발산이라는 한자 지명에는 ‘바라미’, ‘바리미’, ‘바래미’ 등과 같은 속지명(俗地名)이 대응되어 쓰이는 경우가 많다. 바리미, 바라미, 바래미의 후행요소인 ‘미’는 산(山)의 뜻이고 선행요소인 ‘바리’, ‘바라’, ‘바래’의 어원은...
-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가덕면 한계리, 상야리와 낭성면 추정리에 걸쳐 있는 산. 백족산(白足山)은 조선 시대 세조가 산을 지나다가 발을 씻었는데 발이 희게 보였다는 데에서 이름이 유래하였다고 한다. 일설에는, 백족산은 사양토로 모래가 많아 숲이 우거지기 전에 대체로 희게 보였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라고도 한다....
-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주성동의 수름재 동쪽의 강당말 뒤에 있는 산. ‘백화산(伯華山)’은 큰 빛이 나는 산으로 해석된다. 이러한 해석은 이 산이 돌과 모래로 이루어진 산이라는 데 근거한 것이다. 그러나 ‘백화산(白花山)'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지금은 산림이 우거져 푸른빛을 띠고 있지만 예전에는 흰 바위와 모래가 그대로 드러나 하얀 색을 띠고 있었다고 한다. 산이 하얀...
-
충청북도 청주시 서원구 남이면 척산리, 외천리와 상당구 문의면 등동리에 걸쳐 있는 산. 봉무산(鳳舞山)은 신라 시대 도학자 하정이 경주를 떠나 청주를 지날 때에 덕마루 남쪽에서 본 산의 형상이 마치 봉황이 춤을 추며 승천하는 것 같다고 한 데에서 유래한다. 전국적으로 봉황과 관련이 있는 산과 마을 지명은 어렵지 않게 발견된다....
-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용정동에 있는 산. 봉화산은 것대산(484.0m) 봉수(烽燧)가 있던 산이며 높이는 약 433m이다. 현재의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용정동 산107-2번지에 해당한다. 봉화를 올리던 산이어서 붙여진 이름이다. 북쪽의 진천현 소을산(所乙山) 봉수, 그리고 남쪽의 문의현 소이산(所伊山) 봉수와 연결된다. 봉화산 것대봉에서 비롯된 것으로 보이...
-
충청북도 청주시 흥덕구 비하동과 지동동에 걸쳐 있는 산. 전설에 의하면, 원래 이산은 아양산이라 불렀으나 몽고의 침입 때 이 지방 사람들이 이곳으로 피난을 하였던 바, 이 산은 항상 안개가 끼어 있어 산 밑에서 평지를 노략질하던 적군의 눈에 뜨이지 않아 공격을 받지 않았고 그 결과 한 사람도 다치지 않고 살아남았을 뿐 아니라 성안의 물이 떨어져 사람과 말이 목말라 죽을...
-
충청북도 청주시 흥덕구 사직동과 개신동의 경계를 이루는 산. 사직산(社稷山)[87.4m]의 명칭은 고려 제31대 공민왕(恭愍王)이 홍건적(紅巾賊)을 피하여 안동까지 피난을 갔다가 난을 평정한 후 상주를 거쳐 청주에 왔을 때 이 산의 동쪽 기슭에 사직단(社稷壇)을 둔 데서 유래한다. 사직단은 풍년을 기원하는 제사를 올리던 곳으로서 지금의 사직단 공원 자리(충혼탑...
-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산성동에 있는 청주 상당산성의 주봉. 상당산(上黨山)[419m]이란 이름은 삼국시대에 청주가 백제의 상당현이었던 데서 비롯된 것이다. 상당산(上黨山)[419m] 서쪽과 남쪽은 급사면을 이루는데, 이 골짜기에 흐르는 물은 무심천(無心川)을 거쳐 금강으로 흘러들어간다. 반면 동쪽은 완만한 지형을 이루는데, 이 골짜기의 물은 미원천...
-
충청북도 청주시 흥덕구 운천동에 있는 산. 흥덕구 운천동 연당리와 신봉동 소생이 간의 고개길을 돌고개, 석령, 석령산고개 등의 이름으로 불리어진 고개가 있다. ‘석령산’의 이름은 돌이 많은 산이라는 의미에서 붙어진 이름이며, 양병산 장기봉 흥덕산이라고도 한다. ‘양병산’은 이 산에 양병사(梁兵使)의 묘가 있어서 붙어진 이름이다. ‘장기봉’은 장기(長基) 또는...
-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월오동 서원말 동쪽에 있는 산. 일명, 선두산이라고도 하는데 이는 선도산의 모음 교체형이다. 선도산은 한자로 선도산(仙到山)[547.2m]이라고 쓰고 있다. 그러나 선도산의 ‘선도’는 ‘우뚝 서 있는 큰 바위’를 뜻하는 ‘선돌’일 가능성이 높다. 이산 정상에 선도할아버지바위와 선도할머니바위가 우뚝 서 있어서 붙여진 이름으로 보는 것이 타당하다. 다...
-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낭성면 이목리, 지산리와 가덕면 한계리에 걸쳐 있는 산. 선두산(先頭山)은 한자 표기와 관계없이 선돌산의 변화형으로 추정된다. 선돌은 우뚝 서 있는 바위를 가리키므로 선돌산은 선돌이 있는 산을 뜻한다. 선두산은 ‘선도산’의 변화형이며, 선도산은 ‘선돌산’에서 ‘ㄹ’이 탈락한 것이다....
-
충청북도 청주시 흥덕구 운천동에 있는 산. 『호서읍지(湖西邑誌)』에는 “청주 서쪽 5리에 수구(水口)에 사람들이 두 개의 산을 만들어 놓고 야양(爺孃)이라고 부른다”는 기록이 있다. 이로써 이 산이 오래 전부터 ‘야양산’으로 불려왔음을 알 수 있다. 또 다른 이름으로 불려지는 ‘아양산’은 ‘야양산’에서 변한 것이다. ‘아양’은 단독으로 쓰여 마을을 지시할 뿐만...
-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문의면 미천리, 문산리, 두모리에 걸쳐 있는 산. 양성산(養性山)은 과거 문의현의 주산이었으며, 백제 시대에는 일모산(一牟山), 신라 시대에는 연산(燕山), 고려 이후에는 양성산으로 불렸다. 한자 지명은 문헌마다 다른데, 조선 전기의 『세종실록지리지(世宗實錄地理志)』에는 ‘양성산(壤城山)’, 『해동지도(海東地圖)』에는 ‘양성산(養城山)’으로 표기되었다. 또한...
-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의 우암동, 내덕동, 대성동, 용담동, 명암동에 걸쳐 있는 산. 이 산은 삼국시대에는 백제 상당현의 치소로서 중요한 위치에 있었고 신라 신문왕 9년(689)에는 우암토성을 축조한 것으로 추정된다. 이 산은 정상을 중심으로 북쪽과 남쪽의 3개 봉우리를 거쳐 남서방향으로 뻗어 내린 서쪽의 능선, 그리고 정상에서 동쪽으로 분기했다가 서쪽의 능선과 거의 평...
-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문의면 두모리, 미천리, 도원리에 걸쳐 있는 산. 작두산(鵲頭山)은 산의 형상이 까치의 머리를 닮은 데에서 유래한다. 까마귀의 머리와 같이 생겼다고 하여 오수산(烏首山)으로도 부른다....
-
충청북도 청주시 흥덕구 강내면 저산리와 궁현리에 걸쳐 있는 산. 저산은 은적산(恩積山)으로도 부르며, 국토지리정보원의 『1:25,000 지형도』에는 은적산으로 표기되어 있다. ‘저산’이라는 지명의 유래는 멧돼지와 관련이 있다. 옛날에 노승이 저산을 지나다가 빛의 모습을 한 멧돼지와 수컷 독사가 싸우는 광경을 목격하였는데, 노승은 선의 빛이 이기도록 판도를 바꾸었다. 다음 날 노승은...
-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미원면 대덕리와 증평군 증평읍 율리에 걸쳐 있는 산. 좌구산(座龜山)은 산의 형세가 남쪽을 향하여 거북이 앉아 있는 모양과 닮은 데에서 유래하며, 자귀산으로도 부른다....
-
충청북도 청주시 흥덕구 동막동에 있는 산. 청룡은 주산에서 갈려나간 왼쪽의 산이다. 청룡에 산을 결합한 청룡산도 같은 의미로 해석된다. 산이 특정지역으로 보아 왼쪽에 있어서 붙여진 이름이다. 흥덕구 동막동과 현암동 사이에 있는 높이 119m의 산이다. 동막동의 북쪽에 있는 산으로 현암을 중심으로 북동과 남서방향으로 뻗은 산을 일컫는 것으로 현암을 중...
-
충청북도 청주시 흥덕구 평동에 있는 산. ‘청룡’은 풍수지리 이론의 ‘주산에서 갈려나간 왼쪽의 산’을 가리키는 말이다. 청룡산은 ‘청룡’에 ‘산’을 결합하여 만든 의미로 해석된다. 이는 산이 특정지역에서 보았을 때 왼쪽에 위치하고 있어서 붙여진 이름이다. 흥덕구 평동과 신성동 사이의 아랫평리 위에 있는 70.2m의 산이다. 산의 정점을 중심으로 산줄기가 북서쪽...
-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금천동에 있는 산. 일제 강점기에 헌병대가 이곳에 주둔하고 있던 산이어서 붙여진 이름이다. 상당산(上黨山)[419m]에서 뻗어 내린 산줄기가 남서방향으로 달리다가 상봉재를 사이에 두고 두 줄기로 갈라져 하나는 쇠내개울과 영운천(潁雲川) 사이의 능선이 되고, 나머지 하나는 영운천(潁雲川)과 월운천 사이의 줄기로 발달한다. 전자는 고도 60...
-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미원면 대신리와 가양리에 걸쳐 있는 산. 갈매봉은 갈미봉이라고도 부른다. 옛 지명에서 산은 메·모이·뫼·매·미 등 다양하게 나타난다. ‘갈미봉’은 갈모봉, ‘갈모봉’은 갓모봉의 변화형이다. 갓모는 갓모자의 줄임말이며, 갓의 형상을 의미한다. 따라서 갈매봉, 갈미봉, 갓모봉은 산의 형상이 갓모[총모자]와 같이 원통형은 아니지만 불쑥 솟아 있는 것처럼 보일 때에...
-
충청북도 청주시 흥덕구 비하동에 있는 산봉우리. ‘노고봉(老姑峰)’이나 ‘노고산(老姑山)’은 전국적으로 흔한 이름인데, 각각 ‘할미봉’이나 ‘할미산’과 함께 쓰인다. ‘할미봉’이나 ‘할미산’은 대부분 꼬부랑할미처럼 구부정하게 생겼다는 유래담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할미’는 다르게 해석해야 한다. ‘할미’는 ‘할’과 ‘미’로 나뉘는데, ‘할-’은 ‘한-’의 변화형이다....
-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남일면 은행리, 문주리, 쌍수리에 걸쳐 있는 산. 문필봉(文筆峰)은 갈미봉, 시루봉으로도 부르며, 국토지리정보원의 『1:25,000 지형도』에는 시루봉으로 표기되어 있다. ‘문필봉’은 전국적으로 흔한 지명인데 산의 형상이 붓끝처럼 뾰족하여 붙여진 지명이다. 갈미봉은 산의 형상이 갓처럼 보인다는 데에서 기원한다. 갓모자처럼 원통형은 아니지만, 불쑥 솟아 있는...
-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남일면 송암리와 황청리에 걸쳐 있는 산. 비들봉은 구봉(鳩峰), 관봉(冠峰), 상봉(上峰)이라고도 부르는데, 국토지리정보원의 『1:25,000 지형도』에는 관봉으로 표기되어 있다. ‘비들봉’과 ‘구봉’이라는 지명은 산의 형상이 비둘기 머리를 닮은 데에서 유래한다. 관봉은 산의 형상이 갓처럼 생긴 데에서 유래하며, 상봉은 주변에서 가장 높아 붙여진 지명이다....
-
충청북도 청주시 흥덕구 강내면 다락리, 탑연리와 흥덕구 강서동에 걸쳐 있는 산. 수타리봉은 웅계봉(雄鷄峰)이라고도 한다. 수타리봉 서쪽은 지대가 낮고, 미호강이 흘러 홍수가 발생하면 강물이 범람하여 주변 저지대의 평야와 취락이 자주 침수하는 지역이다. 전설에 따르면, 수타리봉 지역에 큰 홍수가 발생하였을 때에 주변은 모두 잠기고, 수타리봉의 정상은 닭 볏처럼 남아 있었다고 한다....
-
충청북도 청주시 흥덕구 개신동에 있는 산. ‘장구봉’은 ‘장구’와 ‘봉(峰)’으로 분석된다. 지명에서 ‘장구’는 ‘장구논’·‘장구달’·‘장구덤’·‘장구동’·‘장구둠벙’·‘장구매기’·‘장구목’·‘장구배미’·‘장구산’·‘장구실’·‘장구재’ 등에서와 같이 자주 쓰이는 선행 요소 중 하나이다. 여기서 ‘장구’는 타악기의 하나로, 가운데가 잘록한 나무통의 양쪽에 가죽을 메워 만든...
-
충청북도 청주시 흥덕구 신전동에 있는 산. ‘희여봉’은 ‘희여’와 ‘봉’으로 분석된다. ‘희여’는 ‘희다[白]’의 부사형 ‘희어’가 변한 어형이다. ‘봉(峰)’은 ‘산봉우리’이다. 따라서 ‘희여봉’은 ‘흰 봉우리’로 해석된다. 보통 산봉우리가 모래나 바위로 되어 있어 흰 빛을 띨 때 붙는 이름이다. 이 산은 달리 ‘희여티’로도 불리는데, 이는 ‘봉’ 대신 ‘티’를 쓴 이...
-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가덕면 계산리, 청용리와 보은군 회인면 오동리, 신문리에 걸쳐 있는 산. 피반령(皮盤嶺)은 명나라의 장군 이여송이 조선의 정기가 예사롭지 않다고 여겨 고개의 혈을 끊자 피가 나왔다는 이야기가 전한다. 또, 회인의 조의제가 상소를 올렸다가 곤욕을 당하자 아버지 조동준이 아들의 행동을 칭찬하며 피반령에서 춤을 추다가 목에서 피를 쏟았다는 이야기도 전한다. ‘피받...
-
충청북도 청주시 흥덕구 봉명동에 있는 산 이름과 마을. ‘과상미’는 봉명동에 있는 해발고도 95m의 얕은 구릉인 백봉산(白峰山)[95m]을 일컫는 이름으로서 ‘과상뫼’라고도 불리었다. 이 이름은 전설에 의하면 중국에 있는 ‘과상산(果商山)’의 명칭에서 기인한다고 한다. 한편 ‘과상’을 ‘과산(果山)’의 변형으로 보고 ‘과일이 많이 생산되는 산’으로 해석하기도 한다. ‘미...
하천
-
충청북도 청주시 흥덕구 원평동에 있는 산. ‘산제당거리’가 변음이 되어 ‘산지당거리’라고도 부르고 있다. ‘산제당거리’는 ‘산제당’과 ‘거리’로 나누어 이해할 수 있다. ‘산제당’은 ‘산신제를 지내는 신당’이다. ‘산신당’이 있는 거리가 ‘산제당거리’이다. 그런데 여기서의 ‘산제당거리’는 거리의 이름이 아니라 산 이름으로 쓰인 것이다. 거리의 이름이 산 이름으로 전용된...
-
지표에 내린 강수가 지형적으로 주변부보다 낮은 요지(凹地)인 곡지를 따라서 일정한 유로를 유지하며 사면의 경사 방향으로 흐르는 것. 물이 흐르는 일정한 유로는 하도라고 하고 하도 내에서 물이 흐르는 일정한 유로는 하상이라고 한다. 하천의 물은 지표상에서는 하도 주변부의 분수계로서 유역면적 내의 지표수에 의해 공급되고 지하로 스며든 물도 지하수를 형성하여 물을 공급한다. 하천의 규모...
-
전라북도 장수군 뜬봉샘에서 발원하여 충청북도 청주시 서원구 현도면을 거쳐 충청남도와 전라북도의 도계를 이루며 군산만으로 유입하는 국가하천. 금강은 전라북도 장수군에서 발원하여 충청남도 논산시 강경읍에서부터 충청남도와 전라북도의 도계를 이루며 군산만으로 흘러드는 길이 407.5㎞의 강이다. 한반도 전체에서 여섯 번째, 남한에서 세 번째로 긴 강이며, 강물은 전라북도 장수군·진안군·무...
-
충청북도 청원군 남이면 석실리와 석판리에서 발원하여 청주시 흥덕구 가경동과 복대동 사이를 흐르는 하천. 이 하천은 충청북도 청원군 남이면 석실리와 석판리에서 발원하여 석남천과 구릉지를 사이에 두고 나란히 북류하여 흐르면서 음달, 양달, 돌로돌, 서당골, 검디 등지를 거쳐 흥덕구 죽림동의 석굴러굴, 대산과 월천에 이르고 이곳에서 망월산의 북사면을 흘러 성화동을 흘러내린 하...
-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산성동 상당산성의 동쪽 사면에서 발원하여 낭성면을 지나 상당구 미원면에서 달천으로 흘러드는 하천. 감천(甘川)은 ‘감’ 또는 ‘’과 관련된다. ‘’은 ‘크다’는 뜻으로 감천은 ‘큰 내’로 해석된다. 상당구 낭성면 호정리 앞을 흐르기 때문에 호정내라고도 부른다....
-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미원면 좌구산 동쪽 사면에서 발원하여 박대천으로 흘러드는 하천. 구룡천(九龍川)은 구룡사(九龍寺)에서 유래한 것으로 보인다. 『여지도서(輿地圖書)』 ‘청주편’에 산내일면에 “구룡사가 관의 동쪽 30리[약 12㎞]에 있다”라고 수록되어 있다. 산내일면은 지금의 미원면 지역에 해당한다. 또한, 구룡천은 ‘아홉 용의 냇물’을 뜻한다. 구룡천은 좌구산에서 구말마을을...
-
충청북도 청주시 청원구 내수읍 덕암리에서 발원하여 도원리, 마산리, 내수리 일대를 거쳐 석화천으로 흘러드는 하천. 덕암천(德岩川)은 덕암리에서 발원하여 흐르는 데에서 붙은 이름이다....
-
충청북도 청주시 흥덕구 강내면 저산리와 궁현리의 저산에서 발원하여 태성리를 거쳐 사곡리에서 미호강으로 흘러드는 하천. 동막천(東幕川)은 청주시 흥덕구 동막동을 거쳐 흐르는 데에서 유래하였다. ‘동막’은 ‘동쪽이 막힌 곳’이라는 의미의 지명이며, 동쪽에 있는 끝 동네를 일컫는 말로 알려져 있다. ‘동막’이라는 지명이 붙은 곳은 대부분 큰 산이 동쪽을 막고 있는 형상이 많다. 전국적으...
-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문의면 등동리에서 발원하여 도원리를 거쳐 품곡리에서 대청호로 흘러드는 하천. 등동천(登洞川)은 등동리에서 발원하여 흐르는 데에서 붙여진 이름이다....
-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의 상당산성에서 발원하여 금천동을 지나 무심천(無心川)으로 흘러드는 하천. 쇠내개울, 금천(金川), 명암천(明岩川)이라고도 한다. 쇠내개울은 ‘금이 나는 내’여서 붙여진 이름이다. 이 지역은 지금도 금과 관련된 지명전설이 전해내려 오고 있다. 일제강점기까지도 쇠내개울의 상류에 금광이 있었으며, 내에서 사금을 채취하였고 한다. 또한, 장마철...
-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와 보은군 회인면의 경계인 피반령에서 발원하여 청주시 상당구 문의면 묘암리, 마동리, 문덕리를 지나 대청호로 흘러드는 하천. 묘암천(妙巖川)은 청주시 상당구 문의면 묘암리를 지나는 데에서 붙은 이름이다. 묘암리는 마을 뒷산에 있는 바위가 이상야릇한 모양을 하고 있다고 하여 생겨난 이름이다....
-
충청북도 청주시 청원구 내수읍 묵방리에서 발원하여 은곡리, 원통리, 내수리, 신안리 일대를 지나 석화천으로 흘러드는 하천. 묵방천(墨坊川)은 묵방리에서 유래한 것으로 보인다. ‘묵방‘은 마을에 먹[墨]을 만드는 먹방이 있다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동쪽 미원면 구녀산에서 발원하여 내산리, 미원리를 거쳐 성대리에서 감천과 합류한 후에 박대천으로 흘러드는 하천. 미원천(米院川)은 상당구 미원면 미원리를 흐르는 데에서 붙은 이름이다. 미원리는 본래 상당산 안쪽이 되기 때문에 ‘산안’이라 불렀으나 점점 ‘쌀안’이 되었고, 조선 시대 율봉역에 딸린 ‘원(院)’이 있어 ‘쌀원’이 되었다가 다시 한자화하여 ‘미원(...
-
충청북도 음성군 부용산에서 발원하여 청주의 동북쪽의 변두리에서 서남쪽으로 흘러드는 하천. 미호천(美湖川)은 넓은 증평평야를 형성해 놓고 흐르는 보강천과 합류한 후 계속하여 남류하다가 청주의 무심천(無心川)과 청주시 강서에서 합류하고 천안분지에서 동류하는 병천과 청원군 강내에서 만나 금강으로 흘러든다. 진천분지, 증평분지, 청주분지 등을 통합하는 미호천(美湖川)...
-
충청북도 보은군 산외면의 속리산 기슭에서 발원하여 청주시 상당구 미원면의 운암리, 옥화리, 금관리, 어암리를 거쳐 괴산군 청천면 쪽으로 흘러 달천에 합류하는 하천. 박대천(博大川)의 명칭은 청주시 상당구 미원면 어암리에 있는 박대소(博大沼)에서 유래한다. 박대천은 ‘박대’와 ‘천’으로 나누어 이해할 수 있다. 박대는 박대골, 박대미, 박대산, 박대소, 박대실, 박대울, 박대지, 박...
-
충청북도 청주시 서원구 남이면 산막리에서 발원하여 세종특별자치시 부강면 행산리에서 갈원천을 합류하여 세종특별자치시 연동면에서 금강에 유입하는 하천. ‘백천(白川)’은 전국적으로 몇 예가 발견되는 지명이다. 일반적으로 백을 ‘잣나무[栢]’로 보아 ‘잣나무가 있는 내’로 풀이하지만, 백천은 특별히 ‘흰 백(白)’이 쓰여 ‘맑은 하천’이라는 뜻으로 풀이할 수 있다. 지역에 따라서는 ‘백...
-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북면 대평리에서 발원하여 청주시 흥덕구 옥산면, 오창읍을 거쳐 오송읍 궁평리와 강내면 석화리의 경계면에서 미호강으로 흘러드는 하천. 병천천(竝川川)은 ‘아오내’로도 부른다. 아오내는 ‘아오’와 ‘내’로 나누어 이해할 수 있다. 아오는 ‘아오다’의 어간이다. 중세 국어에서 아오다는 ‘아울다’를 뜻하는 말로 아오내는 ‘아우르는 내’를 말한다. 내가 흐르면서 이곳...
-
충청북도 괴산군 청안면에서 발원하여 증평군 읍내를 지나 청주시 청원구 북이면 석성리에서 미호강으로 흘러드는 하천. 보광천(寶光川)은 괴산군 사리면 보광산에서 발원하여 ‘보광천’이라 명명한 것으로 보인다. 1530년(중종 25) 간행된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에 의하면 반탄천(潘灘川)이라 불렀다....
-
충청북도 청원군 남이면 척북리 팔봉산에서 발원하여 청주시 흥덕구의 비하동, 지동동, 평리동, 서촌동 앞을 지나 흥덕구 정봉동에서 미호천(美湖川)으로 흘러드는 하천. 일명 망천(網川)이라고도 한다. 막히지 않고 ‘마구 흘러가는 내’여서 ‘막내’라 하다가 ‘망내’가 된 것으로 설명하기도 하나 ‘망내’의 유래는 알기 어렵다. ‘망내’라는 하천 이름도 그리 흔하지 않다. ‘망내...
-
충청북도 청주시 청원구 북이면 호명리에서 발원하여 석화리, 화하리, 내둔리를 거쳐 오창읍 괴정리에서 미호강으로 흘러드는 하천. 석화천(石花川)은 석화리를 흐른다 하여 붙은 이름이다. 풍수지리상 돌곶[石串]이 있어서 돌꼬지라 부르다가 석화리로 부르게 되었다고 한다....
-
충청북도 진천군 진천읍 연곡리 만뢰산에서 발원하여 청주시 청원구 오창읍 학소리를 지나 도암리에서 미호강으로 흘러드는 하천. 성암천(聖岩川)은 진천읍 사석리의 성암마을에서 유래한 것으로 추정된다. 조선 시대 세종이 지금의 충청북도 청주시 청원구 내수읍 초정리에 왔다가 성암마을 만뢰산과 양천산에 진을 치고 직접 진두지휘하여 군사 훈련을 한 일이 있었다고 전한다. 그 뒤부터 ‘성스러운...
-
충청북도 청주시 흥덕구 수의동과 석소동 사이를 흐르는 하천. 이 하천은 수의동의 ‘수’와 석소동의 ‘석’이 합성되어 만들어진 이름이다. 청주시의 서부 지역은 화강암이 오랜 동안 심층풍화를 받아 이루어진 구릉지들이 산재해 있다. 이 구릉지들은 주변에 큰 하천이 있으면 무심천(無心川) 주변에서 보듯이 풍화층을 하천이 침식하여 다른 곳으로 운반하여 낮은 곳에다 쌓아...
-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용암동과 용정동에서 발원하여 무심천(無心川)으로 흘러드는 하천. 상당구 명암동 상봉재의 남서사면에서 발원하여 지형의 특징에 맞추어 남서쪽으로 흐르다가 용정저수지에 저수된 뒤 이정골마을 앞을 지나 계속 남서쪽으로 흐른다. 한편, 보살사가 있는 낙가산에서 발원한 물은 남서쪽으로 흘러 낙가동 소류지에 모여 용암동쪽으로 계속 남서류한다. 원봉마...
-
충청북도 청주시 서원구 남이면 용덕산에서 발원하여 서원구 남이면 외천리와 현도면 죽전리를 지나 시목리에서 금강으로 흘러드는 하천. 외천천(外川川)은 외천리에서 유래한 이름이다. ‘외천리’는 전국적으로 발견되는 비교적 흔한 지명이다. 대개는 ‘외내’와 함께 쓰이기도 한다. 여기서 ‘외’는 명사 앞에 붙어 ‘하나만으로 되어 있음’을 뜻하는 접두사이다. 따라서 ‘외내’는 ‘지류도 없이...
-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동면 덕성리에서 발원하여 남류하다가 충청북도 청주시 청원구 오창읍을 지나 흥덕구 옥산면 장남리에서 병천천으로 흘러드는 하천. 용두천(龍頭川)은 용두리에서 유래한 이름이라고 한다. 용두리는 마을 앞산인 검정산의 형세가 용의 머리처럼 생긴 데에서 온 지명이다....
-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월오동에 있는 하천. 월오동과 운동동을 지나가는 하천으로 ‘월오’의 ‘월(月)’과 ‘운동’의 ‘운(雲)자를 따서 만든 지명이다. 상당구 산성동 상봉산과 상봉재를 분수령으로 발원한 월운천은 여러 갈래로 남동류하다가 한 곳으로 집수된다. 이 하천은 선도산을 동쪽으로 하고 남류하면서 말구리재까지 깊고 험한 골짜기를 이룬다. 그리고,...
-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산성동 상당산성의 북서쪽 사면에서 발원하여 청원구 율량동을 거쳐 사천동에서 발산천을 합류한 후 무심천으로 흘러드는 하천. 율량천(栗楊川)은 율량동에서 유래하였다. 율량동은 예부터 밤나무가 많이 나는 지역이라 밤 율(栗)을 써서 율봉, 역말, 율봉역, 또는 양짓말, 양지촌이라 하였다고 한다. 남쪽 내덕동 내덕칠거리 쪽에는 ‘밤고개’라는 지명도 있는데, 밤나무가...
-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낭성면 가래산에서 발원하여 인경리, 문박리를 지나 낭성면 호정리에서 감천으로 흘러드는 하천. 인경천(仁景川)은 인근의 인경리를 흐르는 데에서 유래한 지명이다. ‘앞도랑’으로 부르기도 하는데, 인경리 앞을 흐른다는 뜻에서 온 이름이다. 관련 지명으로 인경산 등이 있다....
-
세종특별자치시 전의면에서 발원하여 전동면을 거쳐 충청북도 청주시 흥덕구 오송읍과 세종특별자치시 조치원읍 사이를 흐르는 하천. 조천(鳥川)은 본래 새내로 불렀다. ‘새내’는 ‘새’와 ‘내’로 나누어 이해할 수 있다. ‘새’는 ‘띠나 억새 같은 것의 총칭’이다. 따라서 새내는 ‘띠 풀이 무성하였던 내’로 해석된다. 조천은 새내의 한자 이름이다. 한자로 옮길 때 ‘새’를 ‘날짐승’으로...
-
충청북도 청주시 흥덕구 복대동에 있었던 마을. ‘죽천(竹川)’은 ‘대나무가 많은 개천’라는 뜻이지만, 이곳의 ‘죽천’은 하천 이름이 아니라 마을 이름으로 쓰인 것이다. 이곳을 흐르는 개천은 가경천이며, 예전에는 이곳의 가경천변에 대나무가 많았다고 한다. 복대동 죽천교 동쪽의 가경천변에 위치했던 마을로서, 지금의 청주가로수길(36번 국도)과 구룡로가 교차하는 복...
-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미원면 중리 안족실과 막은골에서 발원하여 구방리를 지나 미원면 내산리에서 미원천으로 흘러드는 하천. 중리천(中里川)은 중리를 흐르는 데서 붙은 이름이다. 중리는 1798년(정조 22) 조성된 마을이며, 미원면 가운데에 있어 생겨난 이름이다....
-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문의면 노현리, 마구리에서 발원하여 상장리에서 대청호로 흘러드는 하천. 품곡천(品谷川)은 원래 노현리를 통과하여 흐르는 하천이라 마을 이름을 따 노현천(蘆顯川)이라 불렀다. 1982년 지방 2급 하천 ‘품곡천’으로 고시한 이후로 품곡천으로 부른다....
-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가덕면 한계리의 선두산에서 발원하여 남일면 황청리, 문주리, 가덕면 상야리를 거쳐 남일면 은행리에서 무심천으로 흘러드는 하천. 한계천(寒溪川)은 청주시 상당구 가덕면 한계리에서 발원한 데에서 붙은 이름이다. 한계저수지와 한계리 전 지역을 흐르는 물이 모여 흐르는 하천이므로 ‘한계천’이라 명명하였다....
-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외하동의 미호천(美湖川) 지류인 팔결들에 있는 하천. ‘팔결’은 한자로 팔결(八結)이다. ‘결’은 ‘조세를 셈하기 위한 논밭의 면적 단위’로 팔결은 여덟이 되는 결이라는 면적 단위가 된다. 따라서 팔결은 들에 팔결의 면적을 갖는 논이 있어서 그 들 이름을 ‘팔결들’이라 한데서 비롯된다. 팔결을 줄여서 팔결이라고도 하며 이는 팔결들 일대를 가리킨다....
-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율량동의 율량천 일부인 율봉역 앞에 있는 개울. 역내는 ‘역’과 ‘내’가 결합된 어형이다. 여기서 역은 구체적으로 ‘율봉역'을 말한다. 율량동에서 골말, 중말, 상말, 양지말, 셋집매를 포함해서 율봉이라 하였으며, 양짓말과 중리로 돌아가는 길목에 있는 마을을 역말이라 하였다. 또한, 율봉은 역말, 율봉역이라고도 하였다. 율봉역 앞을 흐르...
-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문화동에 있었던 못. 연못에 잉어가 많이 살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이다. 또는 무심천(無心川)의 홍수 때 무심천(無心川)으로부터 잉어가 많이 올라와 사는 논이라 하여 잉어배미라고도 한다. 이곳은 무심천(無心川)이 만들어 놓은 범람원과 우암산(牛岩山)[338m]이 접하는 곳으로 배후습지에 해당하는 곳이다. 따라서 무심천변의 자연제방과 멀리 떨어져서 무...
평야
-
기복이 별로 없으며 넓고 저평한 평지(平地), 평원(平原). ‘청주분지’에는 청주시와 청원군 일원에 위치한 분지로서 충청북도 최대의 평야가 전개되어 있다. 청주분지에 위치한 청주시는 차령산맥과 그 지맥들이 팔자형으로 분기된 골짜기의 중간부에 자리를 잡고 있다. 그리하여 청주시의 남부와 북부에는 비교적 넓은 평야가 발달하고 있다. ‘청주평야’는 좁게는 무심천(無心川) 하류를 중심으로...
-
충청북도 청주시에 있는 금강의 지류인 미호강 하류에 형성된 평야. 미호평야(美湖平野)는 미호강에서 왔다. 원래 조천과 미호강이 만나는 곳에서 금강에 유입하는 하천을 동진강이라고 불렀으나, 일제 강점기부터 미호천이라 부르다 2022년부터 미호강으로 바뀌었다. 미호강에 대한 유래는 뚜렷하게 전하여 내려오는 것이 없다. 일제 강점기에 뜬금없이 명명된 것으로 보아 강내면과 연동면 사이에...
-
충청북도 청주시 흥덕구 석소동에 있는 들. ‘가랫들’은 ‘가래’와 '들'이 사이시옷을 매개로 결합된 어형이다. ‘가래’를 ‘가래나무’나 ‘농기구 가래’와 관련짓는 견해가 있으나 재고되어야 한다. ‘가래'는 ‘갈라짐[分岐]’을 뜻하는 중세국어 ‘가’·‘가’과 관련된다. ‘가’는 일찍부터 지명에 나타나니, 『삼국사기(三國史記)』 권34 의 고대 지명 ‘가락(加羅)’·‘...
-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내덕동에 있었던 들. 곡개들은 ‘고개’와 ‘들’로 나누어진다. ‘곡개’는 고개(嶺)의 ‘ㄱ’첨가 어형으로 추정된다. 그렇다면 곡개들은 ‘고개들’의 변형으로 이해된다. 실제로 곡개들이 밤고개라는 고개 뒤쪽에 위치하고 있었다는 점에서 보면 ‘고개들’이라는 지명이 잘 어울린다. 한편, 설득력은 약하지만 곡개들의 ‘곡’은 한자로 ‘굽다’는 뜻의...
-
충청북도 청주시 흥덕구 수곡동과 장성동에 있는 들. ‘남들’은 청주의 남(南)쪽에 펼쳐져 있는 들판이어서 붙여진 이름이다. 남들 서쪽에 있는 낮은 산지에서 내려오는 계곡물을 저장하는 방죽을 조성하고 관개용수를 공급하여 비옥한 농경지로 이용하였다. 청주시를 남쪽에서 북쪽으로 관통하는 무심천(無心川)의 서안에 형성된 범람원 충적지에 위치한다....
-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남문로1가에 있었던 들. 둔전보들은 남문로1가(南門路一街)에 있었던 들로, 둔전보와 들로 나누어 이해할 수 있다. 둔전보는 둔전에 물을 대기 위해 설치한 보이다. 그 둔전보가 있는 들이어서 둔전보들이라 한 것이다. 둔전보들은 둔전보의 물을 끌여들여 농사를 짓는 들로 해석된다. 둔전보들은 지역에 따라 둔전봇들로 나타나기도 한다. 둔전보는...
-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정북동에 있는 들. 일명, 정북지구들 또는 정북동들이라고도 하며, 머그때는 ‘머굿대’, ‘머귀대’, ‘동죽(桐竹)’, ‘오죽(梧竹)'이라고도 한다. 머굿대는 토성리 남동쪽에 있는 마을이다. 머굿대는 ‘머구’와 ‘대’가 합쳐진 말이다. ‘머구’는 오동나무를 뜻하는 ‘머귀’의 변형으로 추정할 수 있다. 따라서 ‘머귀’, ‘머구’, ‘머구나무’를 포함하...
-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용정동과 월오동에 있는 들. ‘진사래들’은 ‘진사래’와 ‘들’로 분석된다. ‘진사래’는 다시 ‘진’과 ‘사래’로 나뉜다. 전국적으로 ‘긴개’·‘긴골’·‘긴내’·‘긴논’·‘긴배미’와 같이 ‘긴-’이 붙은 지명이 많다. 이들은 ‘길다[長]’의 관형형으로 보아 틀림이 없다. 그러나 ‘진고개’·‘진고샅’·‘진고지’·‘진골’·‘진골목’·‘진논’·‘진밭’·‘...
-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외남동과 외하동에 걸쳐 있는 들. 팔결평(八結坪)이라고도 한다. 팔결들의 ‘팔결(八結)’은 조세를 셈하기 위한 논밭의 면적단위를 나타내는 ‘결(結)’과 결합된 말이다. 즉, 팔결은 ‘여덟이 되는 결’이라는 면적 단위가 된다. 본 들에 팔결의 면적을 갖는 논이 있어서 본 들의 이름을 ‘팔결들’이라 한 것이다. 상당구에 있는 충북...
-
충청북도 청주시 흥덕구 송절동에 있는 들. 하구레뜰은 ‘하’와 ‘구레뜰’로 나누어 볼 수 있는데, ‘하’는 ‘구레뜰’ 아래에 있는 지역이라서 ‘하구레뜰’이라고 한다. ‘구레뜰’은 ‘구레’와 ‘들’로 나누어 이해할 수 있다. ‘구레’는 본래 ‘낮아서 물이 늘 괴어 있는 땅바닥’ 즉 ‘구렁’을 뜻한다. 이 ‘구레’가 있는 들이 ‘구레들’이다. 따라서 들에 ‘구레’...
-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율량동에 있었던 들. ‘할메미들’은 1차적으로 ‘할메미’와 ‘들’로 분석된다. ‘할메미’는 다시 ‘할메’와 ‘미’로, ‘할메’는 다시 ‘할-’과 ‘메’로 나뉜다. ‘할-’은 ‘한-’의 변화형으로 추정된다. ‘한-’은 ‘크다’나 ‘많다’를 뜻하는 ‘하다’의 관형사형이다. ‘메’나 ‘미’는 신라어 ‘芼兮’(뫼ㅎ)에서 기원한 것으로, ‘산’을 뜻한다....
-
충청북도 청주시 흥덕구 내곡동에 있었던 들. ‘굴량마루’는 ‘굴량’과 ‘마루’로 분석된다. ‘굴량’은 ‘군량(軍糧)’이 자음동화에 의해 변한 어형으로, ‘군대 양식’을 뜻한다. ‘마루’는 ‘높다’를 뜻하는 백제어 ‘毛良’(모랑)이나 중세국어 ‘’와 관련된다. 지명에서 ‘마루’는 ‘말’·‘말양’·‘말랑’·‘말랑이’·‘날망’·‘마리’·‘머리’ 등으로 다양하게 나타난다....
-
충청북도 청주시 흥덕구 오송읍 봉산리 일대에 있던 들판. 망평(望坪)은 망전평이나 망전들이라는 이름으로도 불렸으며, 미호강에 의하여 형성된 전형적인 충적 평야였다. 충청북도 청주시 흥덕구 오송읍 봉산리의 벌미 앞에 있던 들로 알려졌다. 봉산리는 벌미마을의 봉산1리와 솔미마을의 봉산2리, 그리고 중봉마을의 봉산3리 및 봉산5리와 점말마을의 봉산4리로 분구되어 있다....
-
충청북도 청주시 흥덕구 화계동 ‘새터’ 서쪽에 있는 들. 지명의 유래를 정확하게 알 수 없으나 ‘서정’이 있는 것으로 미루어 보아 ‘동’은 ‘동(東)’으로 추정되고 이곳에 우물이 많다는 점에서 ‘정’은 ‘정(井)’으로 볼 수 있어 ‘동쪽에 있는 우물’이라는 의미에서 ‘동정(東井)’으로 해석된다. 이러한 의미의 ‘동정’이라는 지명이 전국에 많다. 주로 우물이나 마을 이름으...
고개
-
산등성이의 봉우리와 봉우리 사이의 낮은 안부. 고개에 대한 한자 이름은 여러 가지가 있다. 즉, 영(嶺)은 대관령과 진부령처럼 높고 험한 고개에 붙여 사용되었으며 아현과 대현과 같은 현(峴)과 팔량치나 우금치처럼 치(峙)도 사용되고 있다. 영동지방과 영서지방처럼 태백산맥이 남북으로 뻗어 있어 동서간의 소통이 불편하고 왕래가 소원하여 양 지역 사이의 이질화가 심화되기도 하였으나 그...
-
충청북도 청주시 흥덕구 정봉동에 있는 고개. ‘갱치고개’는 1차적으로 ‘갱치’와 ‘고개’로 분석된다. ‘갱치’는 다시 ‘갱’과 ‘치(峙)’로 나뉘는데, ‘갱’의 어원을 분명히 밝히기는 어려우나 추정은 가능하다. 지역에 따라서는 ‘강티’나 ‘강치’가 존재하므로, ‘갱치’의 ‘갱’을 ‘강(江)’의 변화형으로 볼 수 있다. 또한 ‘갱골’이 ‘개양골’로 나타나는 지역이 있으므로...
-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탑동에 있는 고개. ‘구름다리고개’는 ‘구름다리’와 ‘고개’로 분석된다. ‘구름다리’는 ‘길 위로 공중 높이 놓은 다리’를 뜻하는 바, 전국적으로 매우 흔한 이름이다. 대부분 다리 이름으로 쓰이나, 마을 이름으로 나타나기도 한다. 따라서 ‘구름다리고개’는 ‘구름다리가 있는 고개’로 해석된다. 구름다리는 현재 존재하지 않는다. 이 고개는 달리 ‘양관...
-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용정동의 재떨이마을에서 이정골로 넘어가는 고개. 전설에 따르면 옛 중들이 넘어 다니던 고개를 뜻한다고 하나 그러면 한자로 구승치(舊僧峙)라고 표기해야 하지만 지명을 전설에 기초하여 해석할 수는 없다고 본다. 따라서 구중고개의 ‘구중’은 한자로 ‘九重’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구중은 어떤 대상이 겹겹이 이어진 모습을 나타낼 때 쓰이는 것처럼 고개가...
-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율량동에 있는 고개. ‘국굴고개’는 1차적으로 ‘국굴’과 ‘고개’로 분석된다. ‘국굴’은 다시 ‘국’과 ‘굴’로 나뉘는데, ‘국’은 지역에 따라서는 ‘국자’·‘국화’·‘누룩’·‘굽다[곡(曲)]’·‘굴(窟)’ 등과 관련하여 해석한다. 그러나 ‘국’은 ‘구석’과 관련시킬 수 있다. ‘구석’의 중세국어 ‘구’에서 ‘’이 탈락하여 ‘구억’이 되고, 축...
-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대성동에서 용담동으로 넘어가는 고개. 당고개는 불당고개로 해석이 되나 불당은 주로 고개에 있는 경우는 드물고 주로 골짜기에 있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여기서 당고개의 ‘당’은 불당이 아니라 ‘성황당’으로 보는 것이 타당할 것이다. 실제 이 당고개에는 그 산마루에 성황당이 있었고 지금도 성황당이 있었던 자리가 보존되어 있어 더욱 그러하다....
-
충청북도 청주시 흥덕구 신봉동에 있었던 고개. ‘덤박골고개’는 1차적으로 ‘덤박골’과 ‘고개’로 분석된다. ‘덤박골’은 다시 ‘덤박’과 ‘골’로 나뉘며, ‘덤박’은 다시 ‘덤’과 ‘박’으로 나뉜다. ‘덤’은 ‘더미’를 뜻한다. 지명 중에는 ‘덤’·‘덤골’·‘덤동’·‘덤말’ 등이 많이 남아 있다. ‘박’은 ‘바위’의 변화형으로, 지명에서 ‘바우’·‘방우’·‘방구’·‘배’...
-
충청북도 청주시 흥덕구 운천동에 있는 고개. ‘돌고개’는 ‘돌’과 ‘고개’로 분석된다. ‘돌고개’는 전국적으로 매우 흔하게 발견되는 지명으로, 한자 지명 ‘석현(石峴)’과 함께 쓰여 대부분 ‘돌[석(石)]’과 관련된다. ‘고개’는 일찍이 고구려와 백제 지명에 쓰인 예를 『삼국사기(三國史記)』에서 발견할 수 있다. 현대 지명에서는 ‘고개’·‘오개’·‘재’·‘티’·‘치’·‘...
-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내덕동에 있는 고개. ‘돌팍고개’는 ‘돌팍’과 ‘고개’로 분석된다. ‘돌팍’은 ‘돌멩이’에 대한 충남·전남·경북 방언이다. ‘돌팍’은 ‘돌팍고개’ 외에 ‘돌팍거리’·‘돌팍걸’·‘돌팍골’·‘돌팍구렁이’·‘돌팍깨울’·‘돌팍들’·‘돌팍머리’·‘돌팍모롱이’·‘돌팍미’·‘돌팍배미’·‘돌팍산’·‘돌팍재’ 등 지명의 선행 요소로 매우 흔하게 사용된다. ‘고개’...
-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월오동의 서원말에서 청원군 낭성면 지산리의 안그미 사이에 있는고개. ‘말구리’와 ‘재’로 이해할 수 있는 것으로 말구리는 ‘큰 골짜기’의 뜻이고 재는 고개의 뜻이다. 따라서 큰 골짜기에 있는 고개로 해석할 수 있다. ‘큰 골짜기에 있는 고개’는 ‘말골재’라고도 한다. 또는, ‘말이 굴러 떨어진 골짜기’, ‘지형이 말의 허리처럼 생긴 골짜기’, ‘지...
-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문의면 남계리에 있던 고개. 물이 장차 넘게 되는 고개라고 하여 무너미고개로 불리게 되었다. ‘수여(水餘)’라는 지명으로도 불렸으며, 고승 정진선사가 전국을 유랑하다가 물이 넘는다는 무너미고개의 전설을 남겼다고 한다....
-
충청북도 청주시 흥덕구 미평동과 성화동 사이에 있는 고개. ‘무네미 고개’는 ‘무네미’와 ‘고개’로 나누어 볼 수 있는데, 물이 넘어가는 고개로 해석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흥덕구 미평동에서 성화동의 요류골으로 넘어가는 ‘무네미 고개’ 밑에는 ‘무네미골’이 있어 미평동의 물이 고개를 넘어가면 새 세상이 된다는 전설이 있다. 성화동 오류골에서 청원군 남...
-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내덕동에 있는 고개.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이후의 여러 지리지에서는 ‘율현(栗峴)’으로 나오고 있다. 그리하여 일명 ‘율량고개(栗陽峙)’라고도 한다. 그런데 ‘밤고개’에 얽힌 다음과 같은 전설이 있다. 조선 영조(英祖) 때 조원의(趙元宜)라는 유생이 충청도 회인으로 귀양을 가게 되었다. 왕은 호송하는 금부도사에게 유배지에...
-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명암동에서 율량동으로 넘어가는 고개. 분고개의 유래나 어원은 분명하지 않으나 분고개는 ‘분’과 ‘고개’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전국에 분고개라는 고개 이름이 몇 군데 확인된다. 이곳에서는 분고개의 의미가 ‘분토가 는 고개’, ‘분 같은 가루흙이 나는 고개’ 등으로 쓰이고 있다. 이는 분고개의 ‘분’을 ‘분토’ 또는 ‘분(粉)으로 보고 내...
-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산성동과 명암동 사이에 있는 고개. 상봉고개와 상봉재는 ‘상봉’과 ‘고개’ 및 ‘재’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상봉은 그 주변에서 가장 높은 산봉우리의 산이라는 뜻으로 전국의 곳곳에 상봉의 산이나 고개가 흔하게 쓰인다. 명암동에는 ‘상봉’ 아래에 있는 산을 가리키는 ‘중봉’이 있다. ‘고개’와 ‘재’는 같은 의미이니 ‘상봉고개’ 및 ‘상봉...
-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용정동에 있는 고개. ‘쇠태고개’는 ‘쇠태’와 ‘고개’로 분석된다. ‘쇠태’ 또는 ‘쇠탯’은 ‘쇠태고개’ 외에 ‘쇠태동’, ‘쇠태배기’, ‘쇠탯골’에서도 발견되는데, 대부분 ‘솟대’와 관련된 유래담을 지니고 있다. 특히 ‘쇠태배기’는 ‘솟대배기’와 함께 쓰이고 있어 주목된다. 그렇다면 ‘솟대’가 ‘ㅣ’모음 역행동화에 의해 ‘쇳대’가 되고, ‘쇳대(...
-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미원면 구방리에 있는 고개. 과거에는 ‘얼티’, ‘할티’ 등의 다양한 명칭으로 불렸으나, 시간이 지나면서 ‘열티’라는 표현이 일상화되어 남아 있는 지명이 되었다. 열티고개는 미원면 면 소재지와 구방리를 잇는 도로에 위치하고 있는데, 본래 청주시 상당구 미원면 일대는 험준한 산악 지형 탓에 인적이 드문 곳이었다. 고개에 도둑이 들끓어 열 사람 정도가 모여야만...
-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용암동과 운동동 사이에 있는 고개. ‘작은미고개’는 ‘작은미’와 ‘고개’로 분석되고, ‘작은미’는 다시 ‘작은-’과 ‘미’로 나뉜다. ‘작은’은 형용사 ‘작다[少]’의 어간이다. ‘미’는 신라어 ‘芼兮’(뫼ㅎ)에서 기원한 것으로, ‘산’을 뜻한다. ‘뫼ㅎ’는 현대 지명에서 ‘뫼’ 외에 ‘미’·‘매’·‘메’·‘모이’ 등으로 다양하게 나타난다. 특히,...
-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주중동에 있는 고개. ‘길마고개’의 구개음화 형태이다. ‘길마고개’는 고개가 ‘길마’(짐을 싣기 위해 소의 등에 얹는 안장)처럼 높고 가파른 고개여서 붙여진 이름이다. ‘길마재’도 같은 관점에서 조어된 어형이다. 주중동의 양선이마을에서 오동동으로 넘어가는 고개로, 공항로를 따라 진천 방향으로 가다보면 북일초등학교 근처가 된다....
-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용암동에 있었던 고개. ‘다락재’는 ‘다락’과 ‘재’로 분석된다. ‘다락’은 ‘달’과 관련지어 설명할 수 있다. 지명에 따라서는 ‘달재’가 ‘다라재’나 ‘다락재’와 함께 쓰이는 예가 있기 때문이다. 고구려 옛 지명에 ‘德(덕)’ 또는 ‘達(달)’이 보이는데, 이는 ‘산(山)’이나 ‘높다[고(高)]’를 뜻한다. 이 ‘달’에 조음소 ‘-아’가 붙어 ‘...
-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명암동과 산성동에 있는 고개. ‘산성재’는 ‘산성’과 ‘재’로 분석된다. ‘산성’은 ‘청주 상당산성’을 가리키고, ‘재’는 ‘고개’를 뜻한다. 따라서 ‘산성재’는 ‘상당산성으로 넘어가는 고개’로 해석된다. 이 고개는 달리 ‘산성고개’로도 불리는데, 이는 ‘산성재’에서 ‘재’가 같은 뜻인 ‘고개’로 바뀐 결과이다. 이 고개는 달리 ‘약수터고개’로도...
-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주성동에 있었던 고개. ‘수름’과 ‘재’로 나누어 이해할 수 있다. 수름의 뜻을 밝히면 되지만 그 어원이 분명하지 않아 이 고개의 유래를 밝히기가 쉽지 않다. 따라서 ‘수름’에 대한 몇 가지의 어원설을 전하고자 한다. 첫째는 술(酒)과 관련하여 이해하려는 것이다. 이것은 이곳을 지나는 사람들에게 음식과 술을 팔고 숙소까지 제공하던 주막이 있었기 때...
계곡·바위
-
충청북도 청주시 흥덕구 산남동에 있는 구룡산(九龍山)[163.6m]의 골짜기. ‘양석골’은 구룡산(九龍山)[163.6m]에 있는 골짜기로서 ‘양소골’이라고도 한다. ‘양석골’의 ‘양석’은 ‘羊石’(양의 모양으로 조각해서 무덤 주위에 세운 돌)으로 추정되는데, 그 이유는 이 지역에 여러 모양의 상석(床石)이 묻혀 있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양석골’은 ‘양석(羊石)이 있는...
-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용정동에 있는 골짜기. 학바골은 절골 너머에 있는 골짜기로 학바골은 학바위골이 줄어든 어형이다. 학바위골은 학바위와 골로 나누어 이해할 수 있다. 학바위는 바위의 모양이 학처럼 생겨서 붙여진 이름이다. 개울 옆에 학이 서있는 모양의 바위가 있었는데, 장마 때 깨어졌다고 하기도 하고 일본 사람이 캐어갔다고 하기도 한다. 한편 학바위에 대해...
-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내덕동과 율량동 사이의 찬샘이 있는 우암산(牛岩山)[338m] 골짜기. ‘찬샘’을 일명 ‘옻샘’이라고도 한다. 샘물이 아주 차서 ‘찬샘’이라 한 것이고 옻과 같은 피부병을 치료하는데 약효가 뛰어나서 ‘옻샘’이라고도 한다. ‘찬샘’의 부근을 ‘찬샘거리’라고 하는데 점차 지시영역이 넓어져 그 거리의 주변은 물론 샘이 있는 골짜기까지도 포괄하여 지시한다...
-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명암동에 있는 바위. 애기바위에는 다음과 같은 전설이 전해온다. 조선 중기에 청주 고을에 낙향하여 사는 최참판 내외가 있었다. 최참판은 부부가 화락하고 생활은 어려움이 없는데 슬하에 자녀가 없었다. 부인정씨는 첩이라도 들여서 자녀를 두어 보자고 했으나 최참판이 허락하지 않았다. 부인정씨는 명산대찰을 찾아가 백일기도를 하는 등 온갖 방법을...
-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장암동과 주중동에 있는 산과 바위. ‘장수(將帥)바위’는 조선 영조 때 장암리 노씨(盧氏)의 조상인 노긍(盧兢)이라는 장수가 근처에 살았다는 전설에 따라 붙여진 이름이라는 설이 있으나, 단순히 외관상 우람하게 큰 바위에 붙여진 이름일 가능성이 높다. ‘장바위’라고도 하는데, 여기서 ‘장’은 將 또는 長을 뜻할 것으로 추정되나, 장암동(壯岩洞)이라는...
-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용암동에 있는 바위. 용바위는 용바위골에 자리한 바위이다. 용암동의 용암은 속지명 용바위에 대한 한자 지명이다. 용바위에 대해서는 다음과 같은 지명 전설이 전하여지고 있다. 아주 오래 전, 울창한 수목으로 뒤덮인 이곳 암벽 사이에 있는 돌방을 찾아온 사나이가 있었다. 그는 멀고 먼 북쪽 땅에서 영웅이 되기를 바라고 몸과 마음을 단련하고...
-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명암동에 있는 바위. ‘행상바위’는 ‘행상’과 ‘바위’로 분석된다. ‘행상(行喪)’은 ‘상여(喪輿)’·‘영여(靈輿)’·‘온량거’로도 불리는데, ‘주검을 산소로 나르는 기구’이다. 세는 단위는 ‘틀’이다. ‘행상바위’는 위가 펑퍼짐하여 마치 행상의 지붕 휘장처럼 보이기에 붙은 이름이다. ‘행상바위’는 지역에 따라서는 ‘행상바우’·‘행상방구’·‘행상방...
-
얕은 물로 덮여 있거나 인근 또는 그 위에 지하수면이 있는 수중생태계와 육상생태계 사이의 점이지대. 습지는 다음 세 가지 가운데 최소한 한 가지 이상의 기준을 충족시켜야 한다. 첫째, 최소한 일시적이라도 습지 생활에 특별하게 적응한 식물인 수생식물이 현저해야 하고 둘째, 구성물질은 배수가 불량한 습지 토양이어여 하며 셋째, 구성물질이 토양이 아닌 경우 일년 중 식물의 생장기에는 간...
습지
-
충청북도 청주시 흥덕구 신촌동에 있는 늪. ‘장자늪’은 ‘장자’와 ‘늪’으로 분석되는데, ‘장자(長者)’는 ‘큰 부자를 점잖게 이르는 말’이다. 지명에서 ‘장자’는 단독으로, 또는 선행 요소로 매우 빈번히 사용된다. ‘장자’·‘장자거리’·‘장자고개’·‘장자곡’·‘장자골’·‘장자논’·‘장자동’·‘장자리’·‘장자못’·‘장자물’·‘장자바우’·‘장자방죽’·‘장자밭’·‘장자불’·...
-
충청북도 청주시 흥덕구 수곡동 일대에 있었던 숲. ‘남숲’은 남석교 너머 수곡동 일대에 있던 숲으로, 청주의 남쪽에 조성되었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이다. 조선시대에 청주의 남쪽과 북쪽에 인공 숲을 조성하였는데, 북쪽에 조성한 숲이 ‘남숲’이고, 남쪽에 조성한 숲이 ‘남숲’이다. 남숲을 인위적으로 조성한 이유는 탁 트인 남북방향으로 빠져나가는 청주의 지기(地氣)를...
-
충청북도 청주시 흥덕구 운천동 일대에 있던 숲. 청주의 북쪽에 조성된 숲이어서 붙여진 이름이다. ‘북수(北藪)’, ‘봉림(鳳林)’, ‘봉림수(鳳林藪)’라고도 한다. 조선시대에 청주의 남쪽과 북쪽에 인공 숲을 조성하였는데, 북쪽에 조성한 숲이 ‘북숲’이고, 남쪽에 조성한 숲이 ‘남숲’이다. 남숲과 북숲을 인위적으로 조성한 이유는 탁 트인 남북방향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