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민화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0202048
한자 民畵
영어공식명칭 Folk Painting
분야 문화·교육/문화·예술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지역 충청북도 청주시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김기현강보승

[정의]

충청북도 청주 지역에서 한 민족이나 개인이 전통적으로 이어 온 생활 습속에 따라 제작한 대중적인 실용화.

[개설]

민화 는 선사 시대의 바위그림이나 청동기 시대의 공예품에서부터 그 성격을 찾을 수 있어 뿌리가 깊으며, 삼국 시대의 고분 벽화나 벽돌, 고려 시대나 조선 시대의 그림이나 공예품에서 많이 나타난다. 민화는 어느 나라에도 있는 것이지만, 특히 한국, 중국, 일본 등 동아시아에서 다양하게 발전하여 왔다. 민화의 작가는 도화서(圖畫署)의 화원을 비롯하여 그림에 소질이 있는 사람, 사람들의 요구에 따라 그림을 그렸던 천인 계층, 본격적인 그림 공부를 받지 못한 무명 화가 등이 대부분이었다. 그러나 민화는 오랫동안 생활과 밀착되어 발전하여 옴으로써 내용과 발상 자체에 한국의 정서가 짙게 배어 있다. 세련된 정통 회화에 대하여 익살스럽고 소박한 형태 및 파격적인 구성, 뛰어난 해학미, 아름다운 색채 등이 주요한 특징이다. 또 이러한 민중적인 요소로 하여 한국의 민화는 세계 어느 나라의 민화보다 경지나 양식의 전개가 우수하며, 특히 근래에 와서 세계적으로 여러 시각에서 재평가되고 있다.

민화 는 생활 주변 및 현실의 모든 물상들을 제한 없이 소재로 하고 있으며, 현실뿐만 아니라 상상의 내용, 전설과 설화 등 무한한 소재들이 그려져 왔다. 그리고 도교나 불교, 유교 등 종교적, 학문적 민화와 무속과 같은 민간 신앙을 내용으로 하는 민화 등이 있다.

도교 계통 민화로 불로장생(不老長生)을 기원하며 십장생과 소나무, 학 등을 그린 장생도(長生圖), 12지신[쥐, 소, 호랑이, 토끼, 용, 뱀, 말, 양, 원숭이, 닭, 개, 돼지] 및 5방을 관장하는 5신[청룡, 백호, 주작, 현무, 황제의 5신. 주작 대신 기린이나 봉황, 현무 대신 거북을 그리기도 함]을 그린 그림, 신선도나 산신도, 호랑이 그림 등이 있다.

불교 계통 민화는 화승(畵僧)의 정통 그림을 제외한 암자·칠성각 등에 남아 있는 그림이나 고승의 초상을 그린 그림 등이 있다. 유교 계통의 민화는 유교의 가르침과 관련된 교훈적인 것, 충(忠), 효(孝), 예(禮) 등에 관한 것이 주를 이루며 대표적으로 행실도(行實圖), 효자도(孝子圖), 관직에 오르기를 기원하는 잉어 그림 등이 있다.

산수화는 동양화의 대표적인 소재로서 민화에서도 산수를 그린 것이 많이 있다. 일반 회화보다는 채색을 많이 하며 필법이 대단히 자유롭다. 대개 여덟 폭의 병풍 형태인데, 금강산도(金剛山圖), 관동팔경도(關東八景圖), 관서팔경도(關西八景圖), 고산구곡도(高山九曲圖) 등이 많다. 그 밖에 장식용 민화 등이 있는데, 여기에는 산수화, 동식물 그림, 풍속화 등이 있다.

동식물 그림은 벽이나 벽장, 다락문 등에 붙여지는 것인데, 민화 가운데 수가 가장 많다. 주로 가문의 융성과 부부의 행복을 바라는 뜻이 담겨 있으며, 화조도(花鳥圖)가 대표적이다. 꽃과 새 이외에 물고기나 각종 야생 동물들도 한 쌍 또는 무리를 지어 그려졌으며 파초, 모란, 포도, 사군자도 많이 그려졌다.

풍속화는 민화가 가진 성격과 특성이 가장 잘 드러나는 소재로서 수렵도(狩獵圖), 해전도(海戰圖), 사화(史畵), 선유도(船遊圖) 등이 많다. 어린이들이 노는 백자도(百子圖), 농사와 길쌈을 그린 경직도(耕織圖), 민간의 행사 풍경을 그린 것 등이 있으며, 문학을 소재로 한 춘향전도(春香傳圖), 구운몽도(九雲夢圖), 삼국지도(三國志圖) 등도 많이 그려졌다.

정물화는 일상의 용품 가운데 서책을 소재로 한 책탁문방도(冊卓文房圖), 문방사우도(文房四友圖) 등이 대표적이다. 한 화폭에 여러 가지의 물상들을 회화적인 구도, 색깔, 균형, 비례, 대비 등의 기법으로 처리한 것인데, 정통 화풍의 세화(細畵)로부터 소박하고 익살스런 것에 이르기까지 많은 그림들이 남아 있다. 색조의 조화가 뛰어나고, 정갈한 가운데 창조적인 요소가 엿보여 현대적인 관점에서도 우수한 작품이 많다.

[청주의 민화]

청주에서는 민화를 즐겨 그리던 여러 작가들이 민화 보급을 위하여 청주민화연구소를 설립하고 활동하며 전시를 통하여 작가를 배출하였다. 또한 배출된 작가들이 대학의 평생 교육원과 초등학교·중학교·고등학교 교사의 직무 연수 등에서의 민화 강좌를 통하여 민화를 보급하고 재교육하면서 청주 지역에 민화를 그리는 사람들이 늘게 되었다. 특히 2001년 한국민족예술인총연합회 충북지회에서는 민화위원회가 만들어지면서 박미향(朴美香) 충북민화협회장과 회원들이 새로운 지역 문화 특성을 살려 민화의 전통을 이어 가고 있다. 2001년 창립기념순회전을 시작으로, 2002년 제2회 충북민화전시회 이야기가 있는 그림, 2003년 제3회 충북민화협회전 이야기가 있는 그림, 2004년 충북민화우수작가전, 2005년 한국민족예술인총연합회 충북지회의 민화위원회 창립전을 개최하였다. 충북민화협회는 전국 조직망을 가지고 있으며 해외전을 통하여 민화의 우수성을 알리고자 노력하고 있다. 그 외에 민화 작가 한영희가 2005년 설립하고 운영 중인 남송민화연구소, 양선희의 이화sun민화, 김미경의 소담민화 화실 등 개인 화실이나 연구소에서 민화를 알리고 교육하여 청주 지역 민화의 저변을 넓히고 있으며, 전시회를 통하여 꾸준히 작품을 소개하고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