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제례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101695
한자 祭禮
분야 생활·민속/민속
유형 의례/평생 의례와 세시 풍속
지역 충청남도 서산시
집필자 임승범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평생 의례

[정의]

충청남도 서산 지역에서 돌아가신 조상이나 특정한 신령을 받들어 복을 빌기 위해 행하는 추모 의례.

[개설]

제례는 신령에게 술과 음식을 바치며 기원을 드리거나 죽은 사람을 추모하는 의식을 말한다. 서산 지역에서 행하는 제례는 다른 지역과 마찬가지로 크게 기제사, 차례, 묘제로 나눌 수 있다. 기제사는 조상의 기일에 지내는 것으로 보통 4대 봉사를 원칙으로 한다. 차례는 명절에 조상께 예를 올리는 것으로, 근래에는 설날과 추석에만 차례를 지낸다. 묘제는 5대조 이상의 조상의 묘소에서 직접 제사를 올리는 것을 말한다. 묘제는 이 지역에서 보통 시제 혹은 시향이라고도 한다.

[연원 및 변천]

조상 숭배의 전통은 고대로부터 존재했다. 그러나 시대에 따라 그 표현 양식은 다양하게 변화되어 왔다. 지금의 조상 제사는 조선 시대 확립된 유교의 전통 아래에서 확립된 규범이라 할 수 있다.

[절차]

1. 기제사

서산 지역에서 기제사는 4대 봉사가 일반적이다. 그러나 근래에는 3대 혹은 2대 봉사만 하는 경우도 늘고 있다. 조상이 돌아가신 날 후손들이 제사를 모시기 위해 참석한다. 고위(考位)와 비위(妣位)의 제사는 따로 모시지만, 지방을 쓸 때나 제물을 차릴 때는 부부를 함께 모신다. 다만 축을 읽을 때 어느 분의 제사인지 밝힌다. 제사상은 대청이나 방에 차린다.

제관은 초헌은 장남이, 아헌은 차남, 종헌은 그 다음으로 가까운 사람이 맡는다. 한편 충청남도 서산시 부석면 취평리전주 이씨 집안의 경우에는 아헌관을 장손의 부인이 올린다. 기제사의 제물로는 메, 갱, 떡, 탕, 전, 적, 채소, 과일, 쌈[김], 조기 등을 올린다. 제사의 순서는 분향 강신 후에 헌작하는 식으로 일반적 기제사 순서와 같다.

2. 차례

현재 서산 지역에서 차례는 설날과 추석에만 지내는 집안이 많다. 한식이나 동지에도 차례를 올렸지만 지금은 찾아볼 수 없다. 차례는 아침 식사 전에 대청이나 방에서 지낸다. 차례에서 모시는 조상은 기제사에서 모시는 조상과 동일하다. 명절 차례는 원칙적으로 큰집에서 먼저 차례를 지낸 다음, 차손 집으로 이어진다. 그러나 집안에 따라 반대로 행하기도 한다.

차례를 지내는 순서는 먼저 참신을 한 뒤 강신하며, 이어 헌작을 올린다. 차례를 지낼 때에는 단헌무축(單獻無祝)이라 한다. 그런 다음 삽시하고 유식의 절차는 별도로 없다. 이어 철시하며 사신재배하고 철상한다. 차례를 지낸 후에는 조상의 묘소에 성묘를 간다. 대개 제물은 가져가지 않으며 묘소에 절만 올린다.

3. 묘제

기제사에서 모시지 않는 조상에 대해 1년에 한 차례씩 묘소에서 지내는 제사를 시제 혹은 시향이라 한다. 시제는 주로 음력 10월에 지낸다. 시제를 모시는 조상은 5대조 이상부터 중시조 혹은 파시조까지인 경우가 많다. 시제를 지낼 때에는 그 조상의 후손들이 모두 참석한다.

시제에 올리는 제물은 기제사와 동일하다. 그러나 기제사 보다 더 좋은 것을 사용한다. 기제사에 비해 준비하는 제물의 양도 훨씬 많다. 시제에 필요한 경비는 문중이 소유한 시제 답에서 나오는 소출로 충당한다. 그렇지 않으면 종중에서 별도의 기금을 마련해 충당하기도 한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