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신송리 유적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100665
한자 新松里遺蹟
분야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유형 유산
유형 유적/유적(일반)
지역 충청남도 서산시 고북면 신송리
시대 선사/청동기,고대/삼국 시대/백제,고려/고려,조선/조선
집필자 이상엽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발굴 조사 시기/일시 2008년연표보기 - 충청문화재연구원의 발굴 조사 결과 청동기 시대 주거지 17기와 수혈 유구 3기, 고려 시대 석곽묘 1기, 조선 시대 미상 유구 1기와 분묘 38기, 시기 및 성격 미상 구상 유구 2기 등 총 62기의 유구 확인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03년연표보기 - 대전지방국토관리청에서 시행하는 서산 해미면~홍성 갈산면 도로 건설 공사 구간에 대한 지표 조사를 통해 청동기~조선 시대의 유물 수습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07년연표보기 - 시굴 조사 결과 청동기 시대 주거지, 백제 시대 유구 확인
현 소재지 신송리 유적 - 충청남도 서산시 고북면 신송리 지도보기
원소재지 신송리 유적 - 충청남도 서산시 고북면 신송리
출토 유물 소장처 국립공주박물관 - 충청남도 공주시 관광단지길 34
성격 생활 유적|분묘 유적

[정의]

충청남도 서산시 고북면 신송리에 있는 청동기 시대에서 조선 시대까지 생활·분묘 유적.

[개설]

2003년 대전지방국토관리청에서 시행하는 서산 해미면~홍성 갈산면 도로 건설 공사 구간에 대한 지표 조사를 통해 청동기 시대에서 조선 시대에 해당되는 유물이 수습되었다. 2007년 시굴 조사에서 청동기 시대 주거지와 백제 시대 유구가 확인되었고, 2008년 충청문화재연구원의 발굴 조사 결과 청동기 시대 주거지 17기와 수혈 유구 3기, 고려 시대 석곽묘 1기, 조선 시대 미상 유구 1기와 분묘 38기, 그리고 시기 및 성격 미상 구상 유구 2기 등 총 62기의 유구가 확인되었다.

[위치]

서산시 고북면 신송리와 홍성군 갈산면 취생리의 경계 지점으로, 봉화산 서쪽 끝자락에서 분기되어 남북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높이 60m의 구릉지 동쪽 말단부에 위치한다.

[형태]

청동기 시대 생활 유구인 주거지는 평면 형태에 따라 장방형과 방형의 반송리식 및 휴암리식으로 구분된다. 내부 시설은 장방형의 경우 무시설식 노지가 확인된 반면, 방형인 휴암리식에는 노지 대신 중앙부에 타원형 구덩이가 설치되어 있다. 조선 시대 분묘는 토광묘와 회곽묘로 구분되는데, 토광묘는 잔존 상태를 통해 애장묘로 추정되며, 회곽묘는 목관을 안치한 후 회곽을 조성한 일반적인 형태이다.

[현황]

2011년 현재 신송리 유적(新松里遺蹟)이 확인된 지역은 국도 29호선이 신설되어 있어 유적을 확인할 수 없다. 출토 유물로는 청동기 시대 주거지의 민무늬 토기[무문 토기]와 석기류, 고려 시대 석곽묘의 청자 대접과 토기병, 청자 접시, 청동 숟가락, 그리고 조선 시대 분묘의 명기, 청동 숟가락, 철제 가위, 미상 철기 등이 있다. 출토된 유물들은 충청남도 공주시 관광단지길 34에 소재한 국립공주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의의와 평가]

신송리 유적에서 확인된 청동기 시대 주거지는 평면 형태와 내부 시설물을 통해 시간적으로 전기에서 후기로 이행되는 주거지의 변천 양상을 보여 주는 좋은 자료이다. 또한 주거지의 평면 형태와 내부 시설에 관계없이 주거지 내부에서 출토된 석기 자료를 통해 서산시 고북면 신송리 취락 집단은 오랜 기간 동안 석기 제작 전통을 공유한 동일 집단이었음을 확인하였다. 이는 주거지 평면 형태가 변화하면 그 주거 집단도 변화한다는 일반적인 견해와 달리, 지역에 따라 주거지의 평면 형태와 무관하게 주거 집단은 그대로 존속되고 있음을 보여 주는 좋은 자료라 판단된다.

[수정이력]
콘텐츠 수정이력
수정일 제목 내용
2012.05.03 주소 수정 소장처 주소 수정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