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4100589 |
---|---|
한자 | 瑞山普願寺址石槽 |
분야 | 종교/불교,문화유산/유형 유산 |
유형 | 유적/유적(일반) |
지역 | 충청남도 서산시 운산면 용현리 150 |
시대 | 고대/남북국 시대/통일 신라,고려/고려 |
집필자 | 이강열 |
개축|증축 시기/일시 | 2005년![]() |
---|---|
문화재 지정 일시 | 1963년 1월 21일![]() |
현 소재지 | 서산 보원사지 석조 -
충청남도 서산시 운산면 용현리 150
![]() |
원소재지 | 서산 보원사지 석조 - 충청남도 서산시 운산면 용현리 150 |
성격 | 석조 |
양식 | 화강암제 석조 |
크기(높이,길이,둘레) | 3.5m[길이]|65㎝[높이]|90㎝[너비] |
소유자 | 국유 |
관리자 | 서산시 |
문화재 지정 번호 | 보물 제102호 |
[정의]
충청남도 서산시 운산면 용현리에 있는 통일 신라 시대~고려 시대 석조.
[건립 경위]
보원사(普願寺)는 통일 신라 시대 화엄 10찰로 불린 사찰일 뿐만 아니라 고려 광종 때에는 국사를 파견한 큰 사찰이었다. 서산 보원사지 석조(瑞山普願寺址石槽)는 보원사가 가장 융성하였던 통일 신라 말에서 고려 시대 초기에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되며, 사찰에서 물을 담기 위한 용도로 제작되었다.
[위치]
보원사지 석조는 서산 용현리 마애여래삼존상(瑞山龍賢里磨崖如來三尊像)[국보 제84호]으로부터 남쪽으로 약 1.2㎞ 거리, 서산 보원사지(瑞山普願寺址)[사적 제316호] 내에 자리한다. 서산 보원사지 사역의 초입에 있는 당간 지주(幢竿支柱)에서 북쪽으로 약 50m 거리에 위치한다.
[형태]
하나의 큰 화강암을 파내어 만든 석조이다. 현존하는 석조 중에서 가장 규모가 큰 유물로서 표면에는 아무런 장식을 하지 않아 간결하다. 길이 3.5m, 너비 90㎝, 높이 65㎝의 장방형으로 내부에는 물을 담을 수 있도록 파내었고, 배수를 위한 8㎝ 정도의 구멍이 장축의 한쪽 부분에 치우쳐 뚫려 있다. 바닥 면은 얕은 경사를 두어 배수구로 물을 빼도록 고안되었으며, 땅속에 묻혀 있는 부분에는 거칠게 정을 쪼았던 흔적이 남아 있다.
[현황]
2011년 현재 보원사지 석조는 국가 소유로 서산시가 관리하고 있다. 1963년 1월 21일 보물 제102호로 지정되었다. 오랜 시간이 지나면서 지의류가 생겨나고 균열이 나서 2005년 지의류를 제거하고 균열 부분을 접합하여 보수하였다.
[의의와 평가]
보원사지 석조는 조각 수법이 간결하고 중후한 느낌을 주는 유물로 통일 신라에서 고려 시대 초기에 제작되었는데, 현재 남아 있는 석조 중에서 가장 큰 유물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