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0201511 |
---|---|
한자 | 職業敎育 |
영어공식명칭 | Vocational Education |
분야 | 문화·교육/교육 |
유형 |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
지역 | 충청북도 청주시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홍은경 |
[정의]
충청북도 청주 지역에서 일정한 직업에 종사하는 데 필요한 지식이나 기능을 가르치는 교육.
[개설]
직업교육은 넓은 뜻으로는 직업을 갖기 위한 목적으로 이루어지는 정규 또는 비정규의 모든 교육을 말하며, 좁은 뜻으로는 농업, 공업, 상업, 수산업, 임업 등 일정한 분야에 종사하려는 사람들을 위한 정규 또는 비정규 교육을 말한다. 직업교육은 주로 학교 체제를 중심으로 이루어져 왔으며, 시대 흐름에 따라 실업 교육, 산업 교육, 직업 기술 교육, 직업교육 훈련, 직업교육 등으로 용어가 변천되어 왔다. 청주에서는 여러 학교와 기관이 직업교육을 담당하여 왔으며 시대의 변화에 맞추어 직업교육을 담당하는 기관[학교]의 종류와 교육의 내용이 변하여 왔다.
[변천]
청주에서 가장 먼저 세워진 직업 학교는 도립 청주농림학교[현 청주농업고등학교]이다. 1911년 11월 1일 청주군 북주내면 원리[현 청주시 상당구 북문로1가]에서 개교한 도립 청주농림학교는 충청북도 내에서 처음으로 설립된 중등교육 기관이다. 일제 강점기부터 청주를 비롯한 충청북도 농업 발전의 산실 역할을 하였던 도립 청주농림학교는 개교 당시 학칙 제1조에 ‘농림업에 종사케 할 실업 교육을 한다’는 내용이 포함되어 있다.
1914년에는 조선총독부 산하 청주 자혜의원 부속으로 조산부 및 간호부 양성소가 설립되었는데 1945년 10월 충청북도립 청주병원 부속 간호부 양성소 설립 인가를 받아 간호인을 양성하였다. 충청북도립 청주병원 부속 간호부 양성소는 1948년 3월 5일 충청북도립 청주병원 부속 고등간호학교로 승격되었다가, 1974년 3월 청주간호전문학교[현 국립 한국교통대학교 증평캠퍼스]로 개편하면서 간호사 양성의 산실 역할을 하여 왔다.
1923년 3월 13일에는 사범 교육 기관인 충청북도립 사범학교가 설립되었으나, 1929년 4월 도립 사범학교의 폐지 시책에 따라 폐교되었다. 1935년 5월에는 김원근, 김영근 형제가 설립한 청주상업학교[현 청주대성고등학교]가 개교하였으며, 김원근, 김영근 형제는 1958년 4월 7일 신라여자상업고등학교로 개교한 청주여자상업학교[현 청주여자상업고등학교]도 설립하였다.
조선총독부는 초등교육의 확대로 교사의 수요가 급증하자 1941년 4월 관립 청주사범학교[현 청주교육대학교]를 설립하여 교원 양성 교육의 기반을 마련하였다. 광복 이후 청주에는 1946년 개교한 청주공업중학교[현 청주공업고등학교], 신라여자상업고등학교, 1960년 개교한 청주여자가정고등학교[현 대성여자상업고등학교] 등이 설립되어 직업교육의 중추적 역할을 담당하여 왔다.
1980년대 이후에는 실업계 고등학교가 직업교육 훈련 기관의 역할을 하였는데, 청주 지역 실업계 고등학교로는 청주농업고등학교를 비롯하여 청주여자상업고등학교, 대성여자상업고등학교, 1978년 대농부설여자중학교로 개교한 양백상업고등학교[2006년 폐교], 1984년 개교한 충북상업고등학교[현 충북상업정보고등학교], 1995년 개교한 충북공업고등학교, 1999년 개교한 충북전산기계고등학교[현 청주하이텍고등학교] 등이 대표적이다.
한편, 광복 이후 특정 직군을 위한 대학도 설립되었다. 1947년 4년제 청주상과대학[현 청주대학교]이 개교한 이후 1951년 2년제 도립 청주초급농과대학[현 충북대학교]이 개교하였고 1973년 교원 양성을 위하여 청주여자사범대학[현 서원대학교]으로 교명을 변경한 청주여자초급대학이 1968년 개교하였다.
[현황]
최근 청주시에서는 고등학교 및 대학교 등 교육 기관에서 행하는 직업교육 외에 지역 산업 특성에 맞춘 직업교육 훈련 등 취업 지원을 통한 지역 내 미취업자 역량 강화 및 일자리 연계를 위하여 일자리정책과에서 취업 지원 교육을 시행하고 있다. 2023년에는 지역 산업 맞춤형 일자리 창출 지원 사업으로는 K-뷰티 글로벌 전문 인력 양성은 서원대학교 산학협력단이, 디지털 기반 구직자 맞춤형 일자리 연계 사업은 충북여성인력개발센터가, BIG3 맞춤형 신중년 디지로그 취업 연계 사업은 대한산업인력개발원과 연계하여 교육 과정을 운영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