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양재 주술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0201016
한자 禳災 呪術
영어공식명칭 Occult Art of Expelling Evil Forces
분야 생활·민속/민속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지역 충청북도 청주시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김영진김해인

[정의]

충청북도 청주 지역에서 재앙을 막고 복을 가져오려고 신령이나 귀신에게 비는 민간의 주술.

[개설]

주술은 초자연적인 힘을 조정하여 인간의 길흉화복에 영향을 끼치려고 하는 개인이나 집단의 시도라 할 수 있다. 초자연적인 힘을 자신의 편으로 유도하여 제액초복(除厄招福)하려는 시도는 동서양에서 고대부터 전하여 온 생활수단이라 할 수 있다. 그중에서 양재 주술은 민간에서 재앙을 막거나 물리치려고 행하는 주술을 말한다. 충청북도 청주 지역에서는 다양한 양재 주술이 전승되어 왔다.

[세시풍속과 주술]

우리나라 세시풍속에는 건강과 행운, 그리고 악귀를 막는 양재 주술적 풍속이 여럿 있다. 주술적 목적을 어떻게 이루느냐에 따라서 음식 주술과 행위 주술로 나눌 수 있는데, 청주 지역에서 전승되는 양재 주술 중에서 먼저 음식 주술로는 정월대보름 아침에 귀가 밝으라고 찬술을 마시는 귀밝이술, 부스럼이 나지 말라고 딱딱한 과실을 깨물어 뱉는 부름, 동짓날에 먹는 팥죽 등을 들 수 있다.

행위 주술로는 설날 아침 대문에 닭과 호랑이 그림을 붙이는 ‘세화(歲畵)’, 한자로 용(龍)·호(虎) 자를 써 붙이는 ‘세서(歲書)’, 복이 오라고 문 위에 조리를 매다는 ‘복조리달기’, 입춘에 대문이나 출입문 위에 입춘대길(立春大吉)·건양다경(建陽多慶) 등의 글귀를 써 붙이는 ‘입춘서(立春書)’, 정월대보름에 사람의 다리가 튼튼해지라고 건축물인 다리를 밟는 ‘다리밟기[답교(踏橋)]’, 남에게 더위를 파는 ‘더위팔기’, 연에 나쁜 액을 실어 날려 보내는 ‘액날리기’, 빗질할 때 빠진 머리털을 모았다가 태우는 ‘액태우기’, 동짓날에 팥죽을 쑤어 대문에 뿌려 잡귀를 쫓는 ‘팥죽뿌리기’ 등을 들 수 있다.

이 밖에도 몸 셋에 머리가 하나 달린 물고기 그림을 그리고 그 물고기 눈에 바늘을 꼽는 식으로 눈에 생긴 다래끼를 치료하던 치료 주술, 유행병이 돌 때 마을 주민들이 디딜방아 공이를 마을 어귀에 거꾸로 세워 놓고 왼새끼를 둘러 놓는 방역(防疫) 주술 등이 있었다. 또, 삼재(三災)가 든 사람은 정월 14일 밤에 짚으로 사람 모양을 만들고 짚 속에 이름과 생년월일을 적은 종이와 돈을 넣은 ‘제웅’을 길바닥에 버리는 제웅치기를 행하거나, 몸 하나에 머리가 셋 달린 매 그림을 그린 삼재 부적을 집에 붙이기도 하였다.

[주술적인 의례]

민간에서 마을 공동체 신앙 또는 개인 신앙을 위하여 행하는 의례 역시 재앙을 물리치고 복을 비는 양재 주술의 성격이 짙다. 대표적으로 마을 공동체 의례인 수살제를 들 수 있다. 수살제는 청주 지역의 여러 마을에서 확인된다. 수살제는 물귀신에게서 마을을 지킨다는 의도에서, 또는 외부에서 들어오는 나쁜 기운, 곧 돌림병을 막는다는 의도로 행하여지는 마을 공동체 의례이다.

개인 의례로서는 집안마다 가정의 수호신으로 성주, 조왕 등을 모심으로써 집안을 지키고 복을 불러온다는 가신신앙의 의례 역시 양재 주술의 일종이라 할 수 있다. 특히 조선 시대는 물론이고 근대에 이르기까지 가장 성행하였던 개인 주술은 아들의 출산과 무탈한 성장을 기원하는 주술이었다. 아들을 얻고자 용왕 또는 미륵바위에 치성을 드리거나, 남성을 상징하는 물건을 지니고 다니는 행위, 아들을 많이 낳은 집에서 수저나 주걱을 훔쳐 오는 행위 등이 대표적인 사례이다.

[현황]

근대 이후에는 청주 지역에서도 주술적 성격을 띤 세시풍속이나 전통 신앙 행위가 많이 사라졌다. 그나마 가장 널리 쓰이는 양재 주술은 부적이다. 부적은 원래 치자 물을 들인 노란 종이에 붉은 주사로 한 장씩 그리거나 써야 하는데, 부적판을 만들어 찍기 시작하면서 지금은 인쇄한 부적을 사용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 밖에 악귀를 쫓으려고 가게 문 위에 소 코뚜레나 염소 발톱을 매달기도 한다. 최근에도 자동차 사고를 예방하려고 차의 핸들에 명주실을 감거나 종교적 상징물을 걸어 둔 것을 찾아볼 수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