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충청남도 서산 지역의 민간에서 오래 전부터 믿어져 내려온 신앙. 민간 신앙은 일반 종교처럼 교리나 교단이 체계화된 것이 아니라 일반 민중들의 생활 속에서 예전부터 전승되어 오는 신앙을 말한다. 민간 신앙은 다른 어떠한 기존의 종교보다도 오랜 역사성을 지니며, 대다수 사람들의 일상생활과 깊은 관계를 맺고 있다. 민간 신앙은 인간 본연의 종교 욕구를 토대로 하여 그들을 둘러...
가정신앙
-
충청남도 서산 지역에서 가정의 여러 신을 믿는 의례 행위. 가정 신앙은 가정의 안녕과 화목을 기원하기 위해 부녀자들이 중심이 되어 집안 곳곳에 신을 모셔 놓고 섬기는 한국 고유의 신앙 행위이다. 서산 지역의 가정에서는 가중팔신(家中八神)이라고 하여 집안 곳곳에 여러 신령을 좌정시켰다. 대표적인 집안의 신령들은 성주, 조왕, 삼신, 칠성, 지신, 왕신 등이다. 이들 신령을...
-
충청남도 서산 지역에서 햅쌀로 떡을 해서 집안의 신령에게 올리는 의례. 가을베끼는 추수를 마치고 한 해 동안 집안을 보살펴 준 성주 등의 가신(家神)에게 풍년에 감사하는 풍농 의례이다. 가을걷이를 마치고 시월상달이 되면 집집마다 햅쌀로 떡을 쪄서 성주나 지신을 위한다. 그리고 떡을 조금씩 떼어 장광·뒤주·우물·측간·대문·외양간 등 집안의 구석구석에 놓는다. 집안에 따라서...
-
충청남도 서산 지역에서 첫 국수를 빚으면 성주신께 먼저 올리는 의례. 국수천신은 유두 즈음에 밀을 첫 수확하면 밀을 갈아서 밀국수를 만들어 먹는데, 이에 대한 감사의 표시로 성주에게 드리는 제사이다. 천신이란 계절 따라 새로 나는 각종 음식물을 먼저 신위에게 올리는 제사를 말한다. 예전에는 밀을 쌀에 버금가는 귀한 식량으로 여겼다. 1970년대 이전에 밀가루로 만든 음식...
-
충청남도 서산 지역에서 지신밟기를 할 때 차리는 고사 상. 꽃반은 음력 1월 15일이나 2월 1일 지신밟기를 할 때에 풍물패를 맞이하려고 집주인이 가정의 축원을 위해 준비하는 고사 상이다. 축원을 맡은 꽃반패[풍물패]가 가정을 방문하면 그 집에서는 큰 상에 쌀·떡·돈 그리고 촛불을 켜 놓고 맞이한다. 이때 상쇠는 부엌→ 당산[장광]→ 우물→ 마당 등을 차례로 돌며 「고사...
-
충청남도 서산 지역에서 농사의 풍흉을 점치는 세시 풍속. 서산 지역에서 농사의 풍흉을 점치는 관행은 주로 정월과 2월에 집중되어 있다. 정월의 농사점은 날씨점 보기와 달점 보기가 대표적이다. 2월에는 볏가리점, 콩점, 달점 등이 있다. 그런가 하면 보리뿌리점이나 느티나무점 등의 경우처럼 식물의 생육 상태를 보고 풍흉을 알아보기도 한다. 1. 날씨점 보기 정월에...
-
충청남도 서산 지역에서 집안에 재복을 준다고 믿은 신령. 대감은 집안의 재수와 재복을 준다고 믿어지는 신령이다. 가정에서는 대감신의 신체(神體)를 만들어 집안에 모셔 두기도 하였다. 대감신의 유래는 정확하지는 않으나 ‘대감’이라는 관직명에서 유래된 것으로 보인다. 대감은 주로 서울·경기 지역에서 신봉되고 충청도, 전라도, 경상도 등지에서는 거의 신앙되지 않는다....
-
충청남도 서산 지역에서 독살·어살에 고기가 많이 들기를 기원하며 지내던 제사. 살고사는 어촌에서 독살이나 어살에 고기가 많이 들기를 바라며 음식을 차려 놓고 비는 제사이다. 어살과 독살은 조수 간만의 차이를 이용한 대표적인 어법으로, 조류를 따라 내유하는 조기·청어·민어·갈치·숭어·대하·전어 등 거의 모든 어족을 대상으로 이루어졌다. 살고사는 살의 종류에 따라 ‘독살고사...
-
충청남도 서산 지역에서 삼신에게 아들의 점지를 바라는 기자 의례. 삼신받기는 손이 귀한 집이나 아들 낳기를 간절히 원하는 부인이 삼신을 받아서 수태하려는 주술적인 의례이다. 삼신받기는 임신 자체가 안 되는 불임녀, 특히 아이를 갖지 못하고 있는 새댁을 대상으로 주로 행한다. 그러나 딸만 낳은 경우, 아우를 보지 못하는 경우, 그리고 자주 유산이 되는 경우에도 삼신을 받는...
-
충청남도 서산 지역에서 가정의 안녕과 평화를 관장하는 집안 최고의 신. 성주는 한 집안의 길흉화복을 관장하는 최고의 가신(家神)이다. ‘성주는 대주(大主)를 믿고, 대주는 성주를 믿는다.’는 말이 있듯이 성주는 한 집안의 대표 가장(家長)인 대주를 위한 신령이다. 서산 지역에서는 흔히 안방 윗목에 성주신이 자리한다고 인식한다. 대청이 있는 집의 경우는 대청 상량 밑에 성...
-
충청남도 서산시 덕지천동에서 가정의 평안과 풍요를 기원하며 지내던 제사. 섬제는 둑제와 동일한 성격을 지닌 가정 신앙으로 주부(主婦)가 음력 정초나 안택하는 날에 가정의 무탈함과 풍년 농사를 위하여 지내는 제사이다. 덕지천동의 한 농가에서는 집 앞의 논에 직경 2m, 높이 1.5m의 흙더미가 쌓여 있었다. 이 흙더미가 논의 한복판에 있어 마치 섬을 연상시켰다. 그래서 여...
-
충청남도 서산 지역에서 집안에 모신 신령에게 가정의 안녕을 기원하는 의례. 안택은 집안이 잘 되도록 이끌어 준다고 믿는 여러 신들에게 치성을 드리는 신앙 행위이다. 서산 지역의 안택은 음력 정월 초순에 집안의 여러 신령들을 위무하고 한 해 동안 식구들이 무탈하기를 기원하는 굿이다. 정초에 길일을 잡아서 부정한 사람이 출입하지 못하도록 금줄을 치고 황토를 펴놓는다. 제물로...
-
충청남도 서산 지역에서 집안의 재물을 지켜 준다고 믿는 신. 업은 각 가정에서 그 집안의 재복(財福)을 관장하는 신령이다. 업은 흔히 구렁이, 족제비, 두꺼비, 고양이, 송아지 등의 동물로 상징된다. 서산 지역에서는 구렁이, 족제비, 두꺼비 등으로 관념되며, 특히 구렁이를 업이라고 여긴다. 업은 일정한 모양의 신체(神體)가 없다. 서산 지역 주민들은 집안의 곳간이나 천장...
-
충청남도 서산 지역에서 액운이나 불상사를 예방하기 위하여 모시는 신. 왕신(王神)은 조상 중에 원한에 맺혀 죽었거나 혼인을 하지 못하고 죽은 처녀 귀신을 일컫는다. 이러한 비극적 경험이 있는 집안에서는 혹시라도 원혼으로 인해 발생하는 불상사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해서 왕신을 정성껏 모신다. 왕신은 잘못 위하면 오히려 집안에 해(害)를 주기 때문에 다른 어떤 신령보다 특별히...
-
충청남도 서산 지역의 민간에서 부엌과 불을 관장한다고 믿는 신. 조왕은 한 집안에서 불을 다루고 음식을 장만하는 부엌의 신격(神格)으로 가족의 건강과 가정의 화복(禍福)을 좌우하는 신이다. 집안의 주부는 집안이 화평하고 잘되기를 기원하는 마음에서 조왕을 위한다. 조왕은 특별한 신체(神體)가 없다. 일반적으로 부엌의 부뚜막 뒤편에 청수 한 그릇을 떠 놓는다. 경우에 따라...
-
충청남도 서산 지역에서 집안의 운수를 관장하고 집터를 지켜 준다고 믿는 신. 터주는 집터를 지켜 주고 집안에 재복을 준다는 가신(家神)이다. 성주가 집안의 어른이라면 터주는 땅의 신으로 집주인이라고 여긴다. 서산 지역에서는 터주를 주로 지신(地神)이라고 일컫는다. 또한 터주에 대한 제사를 지신제라고 부른다. 터주와 지신이 동일한 신격에 대한 단순한 이칭인지는 아직 분명하...
-
충청남도 서산 지역에서 햇벼로 밥을 지어 성주에게 올리는 의례. 햇벼천신은 추수를 하기 직전에 미리 훑은 나락으로 메[제사 때 신위 앞에 놓는 밥]을 지어 성주에게 올리는 제사이다. 이는 집안에 좌정한 신령 가운데 최고의 신격으로 관념되는 성주에게 미리 햇곡을 바치는 의식이다. 집안에 따라서는 추수를 한 햅쌀로 메를 지어 올리거나 밥 대신 쌀을 직접 올리기도 한다. 음력...
동제
-
충청남도 서산 지역에서 마을을 지켜 주는 수호신에게 마을 공동으로 올리는 의례. 동제(洞祭)는 마을을 수호해 주는 상징으로서 동신(洞神)을 정하고 일정한 시간과 절차를 통해 주민의 평안과 풍년 등을 기원하는 마을 제사이다. 충청남도 서산 지역의 동제는 인근 지역과 마찬가지로 크게 상당신과 하당신에 대한 신앙으로 구성된다. 상당신은 마을 뒷산의 조용하고 그윽한 곳에 모신...
-
충청남도 서산시 부석면 간월도리에서 굴이 들어오기를 기원하는 마을 제사. 간월도 굴부르기제는 매년 정월 대보름날에 채취하는 굴의 풍요를 위하여 마을 여성들이 공동으로 지내는 제사이다. 이를 굴왕제, 군왕제 등이라고도 한다. 간월도는 대대로 갯가에 의지하여 살아온 섬마을이었다. 1980년대 초반 간척 사업으로 인해 연륙되었지만, 그 전까지는 마을 앞 갯벌에서 나...
-
충청남도 서산시 부석면 간월도리에서 마을의 안녕과 풍어를 기원하며 지내던 마을 제사. 간월도 당제는 매년 음력 1월 3일 저녁 간월도 북쪽에 있는 당산나무[보리수]에서 마을의 안녕과 풍어를 위하여 마을 공동으로 지내는 제사이다. 간월도 당제는 대체로 음력 12월 20일에 준비를 하는데, 이날을 ‘당주 놓는 날’이라고 부른다. 마을에서 대동 회의를 열어 부정이...
-
충청남도 서산시 부석면 갈마리에서 마을의 안녕과 풍어를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갈마리 돌섬 검은여제는 음력 4월 3일 검은여 보존위원회 주최로 지역민의 안녕과 풍년, 풍어를 위하여 마을 공동으로 지내는 제사이다. 검은여는 서산시 부석면 갈마리에 있는 바위로, 1982년 10월 천수만 간척지 공사로 인해 훼손될 처지에 있었다. 그러나 갈마리 주민이 검은여...
-
충청남도 서산시 운산면 갈산리에서 마을의 안녕을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갈산리 산신제는 매년 음력 1월 14일 초저녁에 갈산1리 주산[큰산] 아래 산제바위에서 마을의 안녕과 풍어를 위하여 마을 공동으로 지내는 제사이다. 산신제의 제수는 돼지머리, 백무리[백설기], 삼색실과, 포, 청수 등이다. 예전에는 제관의 집에서 모든 제물을 담당했으나 요즈음은 부녀...
-
충청남도 서산시 팔봉면 고파도리에서 풍어와 무사고를 기원하며 지내던 마을 제사. 고파도리 당제는 음력 정월 초사흗날 밤 12시에 마을의 당산에서 해상에서의 무사고, 질병 예방 등 마을의 안녕을 위하여 마을 공동으로 지내는 제사이다. 고파도리에서는 마을 회의를 통해 2명의 제관을 뽑는다. 제관은 당제를 지내기 사흘 전에 당집에 가서 깨끗하게 청소를 하고 제물도...
-
충청남도 서산시 운산면 고풍리에서 마을의 평안과 안녕을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고풍리 산신제는 매년 음력 1월 5일 면남산에 있는 산제당 터에서 마을의 평안과 안녕을 위하여 마을 공동으로 지내는 제사이다. 제일은 매년 음력 정월 초에 택일(擇日)하였는데, 2001년부터는 정월 초닷샛날로 정하였다. 마을에서 초상이나 해산 등의 부정이 없는 집안 가운데 생기...
-
충청남도 서산시 대산읍 기은리에서 마을의 안녕을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기은리 장승제는 매년 음력 1월 14일 저녁 금야재 우측에 서 있는 12기의 장승 앞에서 마을로 들어오는 액운을 막기 위하여 마을 공동으로 지내는 제사이다. 여느 마을의 동제처럼 제관은 특별히 뽑지 않고 마을에서 연장자와 이장·반장·개발위원 등이 의무적으로 맡는다. 제수는 시루떡, 돼...
-
충청남도 서산시 해미면 대곡2리 지푸실에서 마을의 안녕과 무탈을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대곡리 지푸실 산제는 매년 음력 1월 1일 새벽 산제당 옆에 있는 신목에서 마을의 평안과 안녕을 위하여 마을 공동으로 지내는 제사이다. 지푸실에서는 5개의 반이 합동으로 정월 초하루에 산제를 지내는데, 산제를 앞두고 마을에서 부정한 일이 있으면 하루 이틀을 늦춘다. 일...
-
충청남도 서산시 덕지천동에서 마을의 안녕과 풍농을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덕지천리 산제는 해마다 택일한 음력 정월 초 밤 12시에 마을 뒷산 중턱의 소나무 아래에서 마을의 안녕과 풍요를 위하여 마을 공동으로 지내는 제사이다. 섣달그믐께 마을 회의를 통해 산제를 지내는 날짜를 정한다. 아울러 생기복덕(生氣福德)을 가려 산제를 주관하는 제주(祭主)와 집사(執...
-
충청남도 서산시 음암면 도당리에서 풍년을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도당리 바위백이 볏가릿대 세우기는 음력 1월 15일 아침에 가장 농사를 많이 짓는 부잣집 근처에 볏가릿대를 세우고 풍년 농사를 위하여 마을 공동으로 지내는 제사이다. 부잣집에서는 술과 떡 등 음식을 준비하여 마을 사람을 대접한다. 도당리에서는 정월 대보름에 농사의 풍년과 가정의 평...
-
충청남도 서산시 대산읍 독곶리에서 마을의 안녕과 풍어를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독곶리 황금산 당제는 매년 음력 3월에 택일하거나 초파일[음력 4월 8일]에 임경업 장군과 박활량을 모신 황금산[156m] 정상에 있는 당집에서 마을의 안녕과 풍어를 위하여 마을 공동으로 지내는 제사이다. 한편 이와는 별도로 어업에 종사하는 사람들은 출어를 떠나기 전에 뱃길의...
-
충청남도 서산시 동문동 향교골에서 마을의 무탈함과 풍년을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동문동 향교골 볏가릿제는 음력 1월 15일과 2월 1일 아침 공동 우물 등의 볏가릿대에서 풍년 농사를 위하여 마을 공동으로 지내는 제사이다. 정월 대보름날 아침이 되면 마을의 청장년들이 모두 나와 볏가릿대를 만들어서 마을 공동 우물 옆에 세운다. 이어서 풍장을 앞세우고 농사를...
-
충청남도 서산시 성연면 명천3리 창말에서 마을의 안녕과 풍어를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명천리 창말 당제는 매년 음력 1월 3일 저녁 명천3리 창말에 있는 산제당과 삼신당에서 마을의 안녕과 풍어를 위하여 마을 공동으로 지내는 제사이다. 명천3리 창말은 조선 시대 해창(海倉)이 있었던 마을로서 1960년대까지 배가 들어왔던 곳이다. 대호방조제에 의해 뱃길이...
-
충청남도 서산시 해미면 반양리 반계마을에서 마을의 안녕을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반양리 산신제와 미륵제는 매년 음력 1월 14일 저녁에 산제당[상당 의례인 산신제]과 이튿날 산제당 아래[하당 의례인 미륵제]에서 마을의 안녕을 위하여 마을 공동으로 지내는 제사이다. 반양리 산신제와 미륵제는 윗말과 아랫말이 번갈아가면서 지내는데, 만일 마을에서 부정한 일이...
-
충청남도 서산시 고북면 봉생리 봉산마을에서 마을의 평안을 기원하며 지내던 우물 제사. 봉산 정제는 음력 정월 대보름날 봉생리 우물에서 봉산마을의 평안과 풍요를 위하여 마을 공동으로 지내는 제사이다. 정제(井祭)를 지내기 위해서 마을에서는 며칠 전부터 우물을 청소한다. 우물을 바닥까지 깨끗이 청소한 후에는 부정한 사람의 출입을 금하기 위해 왼새끼로 금줄을 꼬아...
-
충청남도 서산시 지곡면에서 면민의 화합과 건강을 기원하는 제사. 부성산 산신제는 12월 31일 부성산에서 면민 화합과 건강, 풍년, 무사태평, 면정의 발전 등을 위하여 지곡면에서 지내는 공동 제의 겸 새해맞이 행사이다. 부성산은 지곡면의 대표적인 명산으로 정상에 오르면 지곡면뿐만 아니라 인근의 성연면, 대산면, 팔봉면이 한눈에 내려다보인다. 산신제는 지곡면 향...
-
충청남도 서산시 읍내동 부춘산 옥녀봉에서 시화연풍과 국태민안을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부춘산 옥녀봉 옥녀제는 매년 음력 1월 14일 서산시청의 뒷산인 옥녀봉[187.6m] 상봉에서 국태민안(國泰民安)[나라가 태평하고 백성이 편안함]과 시화연풍(時和年豊)[나라가 태평하고 풍년이 듦]을 위하여 마을 공동으로 지내는 제사이다. 이를 ‘옥녀봉 산신제’라고도 한다...
-
충청남도 서산시 고북면 사기리에서 마을의 평안과 풍어를 기원하며 지내던 마을 제사. 사기리 당제는 음력 12월부터 1월 1일 사이에 액운이 들어오는 것을 막기 위하여 마을 입구에 장승을 깎아 세운 후, 당나무[큰 소나무]가 있는 당산에서 마을의 안녕과 풍어를 위하여 마을 공동으로 지내는 제사였다. 천수만 연안에 위치한 사기리는 범선이 접안하기에 유리한 포구의...
-
충청남도 서산시에서 시민의 안녕과 만사형통을 기원하기 위하여 지내는 제의. 서산시민 만사형통기원제는 2007년부터 서산시 부춘산 시민공원에서 서산시민의 안녕과 태평을 기원하며 (사)전통민속보존회 서산지부가 주최하여 지내오는 대동 의례이다. 행사 내용으로는 지역 무속의 주류라고 할 수 있는 앉은굿의 형태와 경기 등 타 지역의 영향을 받은 선굿의 요소가 복합되어 진행된다....
-
충청남도 서산시 석남동 미력말에서 마을의 안녕과 화합을 기원하며 지내던 마을 제사. 석남동 미력말 미륵제는 음력 1월 15일 새벽 1시경 석남동 석불입상(石南里 石佛立像)에서 석남동 주민센터 직원을 중심으로 마을의 평안과 화합을 위하여 지냈던 마을 공동의 제사이다. 석남동 석불입상은 1984년 5월 17일에 충청남도 문화재 자료 제203호로 지정되었다. 마을...
-
충청남도 서산시 운산면 수당리에서 마을의 무사와 안녕을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수당리 장승제와 산신제는 이틀에 걸쳐서 진행된다. 즉 음력 1월 14일 저녁에는 산신제를 지낸 뒤 이튿날인 정월 대보름 아침에는 3개소의 장승에 각각 장승제를 지낸다. 장승제는 장승이 세워진 방위에 따라 동쪽 장승은 ‘동방맥이’, 북쪽은 ‘북방맥이’, 중앙은 ‘중앙맥이’라고 부...
-
충청남도 서산시 운산면 수평리에서 마을의 안녕과 농사의 풍년을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수평리 문수산 산신제와 서낭제는 매년 음력 1월 14일 저녁에 수평리 왜벌[瓦坪]의 공터에서 마을의 평안과 풍요를 위하여 마을 공동으로 지내는 제사이다. 수평리 왜벌은 20여 호가 거주하는 작은 마을이다. 왜벌이란 옛날에 기와를 굽던 와요지가 자리하기 때문에 유래된 지명...
-
충청남도 서산시 팔봉면 어송2리에서 마을의 안녕을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어송2리 산신제는 매년 삼월 삼짇날[음력 3월 3일] 저녁 팔봉산의 바위 제단에서 마을의 평안을 위하여 마을 공동으로 지내는 제사이다. 제의 비용은 마을에서 십시일반으로 갹출하여 충당한다. 제물은 메, 삼색실과, 포, 술 등이다. 산신제를 주관하는 제관은 생기복덕(生氣福德)을 가려...
-
충청남도 서산시 팔봉면 어송3리 창개마을에서 마을의 안녕을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어송리 창개 산신제는 음력 1월 초에 인일(寅日)[범날, 호랑이날]을 택하여 팔봉산 상봉 밑의 산제당에서 마을의 평안과 풍요를 위하여 마을 공동으로 지내는 제사이다. 창개마을은 동북쪽으로는 팔봉산을 등지고, 마을 앞으로는 가로림만의 가장 깊숙한 포구에 자리한다. 제관은 부정...
-
충청남도 서산시 운산면 여미리에서 마을의 안녕을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여미리 미륵제, 장승제는 매년 음력 1월 14일 오후 3시에 전라산 기슭의 산제당과 마을 중앙에 있는 미륵 및 목장승 2기에서 마을의 안녕을 위하여 마을 공동으로 지내는 제사이다. 여미리 동제당은 산제당과 장승으로 이루어진 상당과 하당의 이당 구조였다. 마을에서는 해마다 정...
-
충청남도 서산시 지곡면 연화리에서 마을의 화합과 평안을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연화리 미륵제는 매년 음력 1월 15일에 석조 입상 미륵불 앞에서 마을의 화합과 안녕을 위하여 마을 공동으로 지내는 제사이다. 연화리 마을회관에서 남서쪽으로 300m 정도 떨어진 곳에 석불 입상이 위치한다. 마을 사람은 이 석불 입상을 ‘미륵불’이라고 부른다. 연화리 미륵제는...
-
충청남도 서산시 지곡면 연화리에서 마을의 안녕과 풍년을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연화리 볏가릿제는 음력 1월 15일과 2월 1일 마을 회관 앞 논배미에 세운 볏가릿대에서 주민의 화합과 풍년 농사를 위하여 마을 공동으로 지내는 제사이다. 연화산[234m] 기슭에 위치한 연화리는 ‘연화부수형(蓮花浮水形)’, 즉 마을의 형상이 물 위에 떠 있는 연꽃과 같다하여...
-
충청남도 서산시 해미면 오학리에서 마을의 평안을 기원하며 지내던 마을 제사. 오학리 산신제와 샘제는 음력 1월 초에 인일(寅日)[범날, 호랑이날]을 택하여 산제당과 공동 우물에서 마을의 평안과 풍요를 위하여 마을 공동으로 지내던 제사이다. 오학리는 해미 향교가 자리한 마을이다. 때문에 오학이란 마을 이름보다는 향교말로 더 알려져 있다. 마을에서는 그 연원을 알...
-
충청남도 서산시 운산면 용현리 갈동에서 마을의 무사와 안녕을 기원하며 지내던 마을 제사. 용현리 갈동 산신제와 장승제는 상당 의례와 하당 의례로 구성되었다. 음력 1월 2일 저녁에 마을 뒷산 중턱의 산제당[산신제]과 마을 입구의 서낭당 숲속[장승제]에서 마을의 안녕 뿐만 아니라 마을로 들어오는 액운을 막기 위하여 마을 공동으로 제사를 지냈다. 장승제는 약 30...
-
충청남도 서산시 운산면 용현리 변동에서 마을의 안녕을 기원하며 지내던 마을 제사. 용현리 변동 산신제와 장승제는 상당 의례와 하당 의례로 구성된다. 정월 대보름[음력 1월 15일] 초저녁에 마을의 주산인 가야산에 위치한 산제당에서 산신제[상당제]를 지내고, 산신제를 마친 뒤 마을 어귀의 장승을 대상으로 장승제[하당제]를 지낸다. 제관과 축관은 제를 주관하는 마...
-
충청남도 서산시 운산면 용현리에서 마을의 평안을 기원하며 지내던 마을 제사. 용현리 보현동 산신제와 노신제는 음력 1월 3일 저녁에 산제당[山神堂]과 노신당(路神堂)에서 마을의 평안을 위하여 마을 공동으로 지내는 제사이다. 보현동의 동제당은 상당과 하당의 이중 구조를 이루고 있다. 즉 상당은 마을의 주산에 있는 산제당이고, 하당은 노신당으로서 동구 밖에 한 쌍...
-
충청남도 서산시 운산면 용현2리 아랫강댕이에서 가정 및 마을의 안녕과 무사태평을 기원하며 지내는 제사. 용현리 아랫강댕이 산제와 미륵제는 매년 음력 1월 17일 사시(巳時)[오전 9~11시]에 개인의 무탈함과 마을의 평안, 풍요, 무사태평 등을 위하여 지내는 제의이다. 따라서 용현리 아랫강댕이 산제와 미륵제는 개인제와 동제(洞祭)의 성격을 동시에 띠고 있다....
-
충청남도 서산시 대산읍 운산리 횟개마을에서 농사의 풍년과 마을의 안녕을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운산리 횟개 볏가릿제는 음력 1월 15일에 볏가릿대를 세우고 2월 초하룻날 이를 내리면서 풍년 농사를 위하여 마을 공동으로 지내는 기풍 의례(祈豊儀禮)이다. 횟개 마을에서는 매년 정월 대보름에 주민들이 볏가릿대를 마을 회관 앞에 세운다. 음력 2월 1일이 되면...
-
충청남도 서산시 대산읍 웅도리에서 마을의 평안을 기원하며 지내던 마을 제사. 웅도 당제는 음력 정월에 택일(擇日)하여 동편말과 큰말 사이에 있는 당산에서 마을의 평안을 위하여 마을 공동으로 지내는 제사이다. 웅도 당제는 경문을 읽는 경쟁이[법사]가 주관하였다. 마을에서는 제비(祭費)를 집집마다 추렴하여 경쟁이에게 준다. 경쟁이는 이것으로 제물을 직접 구입하였다...
-
충청남도 서산시 음암면 율목리 모과울에서 마을의 안녕을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율목리 모과울 서낭제는 매년 음력 2월 초하룻날 오전 10~11시 사이에 느티나무 서낭에서 마을의 안녕을 위하여 마을 공동으로 지내는 제사이다. 율목리 모과울은 서산에서 당진 정미장(貞美場)으로 통하는 큰길이었다. 따라서 예전에 오일장이 열리는 날이면 많은 사람들이 장을 보러...
-
충청남도 서산시 음암면 문양1리 두름바위에서 음암면의 안녕을 기원하며 지내는 제사. 음암면 태평기원제는 음력 1월 15일부터 20일 사이에서 택일한 날 오전 11시에 두름바위 제단에서 음암면의 번영과 안녕을 위하여 면민 공동으로 지내는 제사이다. 제관은 초헌관[음암면장], 아헌관[음암면 노인회장], 종헌관[변동이 있으나 대개 문양리 노인회장이 맡음], 집례 1...
-
충청남도 서산시 해미면 읍내리 해미읍성에서 느티나무를 달래면서 지냈던 제의. 읍내리 거수제는 해미 군수가 퇴임할 때면 반드시 해미읍성 동헌의 느티나무가 울기 때문에 군수가 이를 달래기 위하여 매월 1~2회씩 지냈던 기도(祈禱) 제의이다. 주민은 어른들로부터 예전에 이 나무에 제사를 지냈다는 이야기를 전해 들었다고 하나 현재는 제사를 지내지 않는다. 느티나무제가...
-
충청남도 서산시 지곡면 장현리에서 마을의 안녕과 풍년 농사를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장현리 볏가릿제는 음력 2월 1일 볏가릿대 앞에 제상을 차리고 마을의 평안과 풍요를 위하여 마을 공동으로 지내는 제사이다. 장현리에서 이월 초하루는 본격적인 농사를 앞두고 그 준비를 시작하는 날이다. 겨우내 쓰지 않던 농기구를 손보고 두엄을 내는 등 농사에 필요한 여러 가...
-
충청남도 서산시 지곡면 장현리 산제골에서 마을의 평안을 기원하며 지내던 마을 제사. 장현리 산신제는 음력 1월 15일 자시(子時)에 산제당에서 마을의 안녕을 위하여 마을 공동으로 지내는 제사이다. 장현리 산제골에서는 해마다 정결한 제관을 선출하여 산신제를 지냈다. 이를 위해 마을에서는 정초에 마을 회의를 열고 집안에 궂은일이나 부정하지 않은 사람을 제관으로 지...
-
충청남도 서산시 해미면 전천리에서 마을의 안녕을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전천리 칠섬제는 음력 2월 초하루 오전 10시에 7개 섬 가운데 가장 큰 섬의 소나무가 있는 곳에서 마을의 평안을 위하여 마을 공동으로 지내는 제사이다. 제의는 인근에서 ‘지성을 드리는 분’[법사]을 초빙하여 주관케 한다. 예전에는 남자를 주로 불렀으나 요즘은 할머니가 와서 제를 주관...
-
충청남도 서산시 고북면 정자리에서 가정의 평안을 기원하며 지내던 제사. 정자리 선돌제는 매년 음력 정월에 선돌 앞에서 가정의 무탈함과 안녕을 위하여 개인적으로 지내던 제사이다. 서산시 고북면 정자리에는 2기의 선돌이 있다. 이 선돌은 마을에서 신성시하여 함부로 건드리는 것을 금기시했으며, 매년 정초에 가정의 평안을 기원하는 제를 지내기도 했다. 다만, 선돌제는...
-
충청남도 서산시 해미면 조산리에서 개인의 안녕을 기원하며 지내는 제사. 조산리 미륵제는 음력 1월 14일 마을 중앙에 있는 미륵에서 마을의 안녕을 위하여 마을 공동으로 지내던 제사였다. 지금은 마을 사람이 공동으로 미륵에 정기적인 제사를 지내지는 않는다. 다만 개인적으로 미륵에 치성을 드리기도 한다. 주민에 의하면 충청남도 서산시 해미면 반양리에 있는 미륵을...
-
충청남도 서산시 인지면 차리에서 마을의 평안을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차리 산신제는 매년 정월 초하룻날[음력 1월 1일] 저녁부터 초사흘[음력 1월 3일]까지 3일 동안 마을의 주산인 장군산[해발 300m] 뒷골과 산신각에서 마을의 안녕을 위하여 마을 공동으로 지내는 제사이다. 제관은 섣달 스무날에 산제당 밑에 있는 장군암에서 생기복덕(生氣福德)을 가려...
-
충청남도 서산시 부석면 창리에서 마을의 안녕과 풍어를 기원하는 마을 제사. 창리 영신제는 매년 정월 초사흗날 상당인 산신당과 하당인 영신당(靈神堂) 그리고 장승, 샘 등에서 마을의 안녕과 풍어를 위하여 마을 공동으로 지내는 제사이다. 서산시 부석면의 최남쪽 천수만 연안에 위치한 창리는 반농반어의 어촌이다. 창리에서는 정월 초사흗날이 되면 상당인 산신당에서 산신...
-
충청남도 서산시 고북면 초록리에서 마을의 평안을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초록리 각시바위제는 음력 1월 15일 오전 11시 연암산에 있는 각시바위에서 마을의 안녕을 위하여 마을 공동으로 지내는 제사이다. 고북면 초록1리와 초록2리가 매년 번갈아 가며 주관을 하는 초록리 각시바위제는 그해 차례가 닿은 마을에서는 정결한 제관·축관을 선정한다. 그리고 정월 대보...
-
충청남도 서산시 음암면 탑곡리에서 집안의 안녕과 무병을 기원하며 지내던 제의. 탑곡리 느티나무제는 마을에 살던 주민 안병구가 음력 2월 1일과 7월 칠석날에 느티나무 아래에서 집안의 평안과 무병을 위하여 개인적으로 지냈던 제사이다. 제물은 단출하게 떡과 막걸리를 준비하였다. 떡은 시루 째 놓고, 막걸리를 잔에 부어 놓는다. 안병구가 느티나무제를 지닐 때, 동네...
-
충청남도 서산시 팔봉면에서 마을의 평안과 안녕을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팔봉면 산신제는 매년 음력 2월 그믐 팔봉산 정상에 있는 제단에서 마을의 평안과 안녕을 위하여 마을 공동으로 지내는 제사이다. 팔봉면 산신제는 본래 음력 1월 14일 저녁에 지냈으나 1970년대 새마을 운동으로 중단되었다. 이후 청년들의 교통사고가 자주 발생하게 되어 다시...
-
충청남도 서산시 해미면 대곡리에서 마을의 평안과 풍요를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해미 대곡리 산제는 음력 정월 초하루에 산제당 옆의 제단에서 농사의 풍년과 마을의 안녕을 위하여 마을 공동으로 지내는 산신제이다. 마을에서는 부정하지 않은 사람으로 생기복덕(生氣福德)을 가려 3~5명의 제관을 뽑는다. 제관들은 각자 역할 분담을 한다. 한 사람은 산신제를 지낼...
-
충청남도 서산시 지곡면 환성리에서 풍년을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환성리 볏가릿제는 매년 2월 1일 오전 10시에서 11시 사이에 환성리 경로당 앞에서 정월 대보름이 되면 서산시 지곡면 환성3리에서는 우물가에 볏가릿대를 세워 놓고 그해의 농사 풍흉을 가늠한다. 볏가릿대의 가장 윗부분에 오곡을 한 줌씩 헝겊에 싸서 매달았다가 이를 2월 초하룻날에 쓰러뜨리고,...
-
충청남도 서산 지역에서 가뭄이 들었을 때 비가 내리기를 기원하며 올리는 의례. 기우제는 가뭄이 계속되어 농작물의 파종이나 성장에 해가 있을 때 비가 내리기를 기원하며 지내는 제의이다. 고대 이래로 조정과 지방 관청, 민간을 막론하고 가뭄이 들면 기우제가 성행하였다. 서산 지역에는 국가 차원에서 고을 단위로 기우제를 지내는 부춘산 옥녀봉과 팔봉산 기우제가 있었으며, 자연...
-
충청남도 서산시 동문동 향교골 부춘산 옥녀봉에서 비가 내리기를 기원하며 지내던 의례. 부춘산 옥녀봉 기우제는 가뭄이 닥쳐 농사에 큰 지장이 있으면 관과 읍민들이 합동으로 서산시청의 뒷산인 옥녀봉[187.6m] 상봉에서 비가 내리기를 빌면서 행하였던 제사이다. 서산의 진산인 부춘산 옥녀봉은 옥녀탄금형(玉女彈琴形)에 비정되는 명산으로서 일찍이 고을의 읍민에게 숭배...
-
충청남도 서산시 팔봉면에서 비가 내리기를 기원하며 지내던 의례. 팔봉산 기우제는 조선 시대 때에 날이 가물면 지방관[서산군수]이 팔봉면의 주산인 팔봉산(八峯山)[해발 361m] 상봉에서 비가 내리기를 기원하며 행하였던 제사이다. 팔봉산은 서산시의 서쪽 바닷가에 위치한 산이다. 기암 기석으로 이루어진 여덟 개의 봉우리가 우뚝 솟아 팔봉이란 이름을 얻었다. 그 신...
-
충청남도 서산 지역에서 음력 정초나 정월 대보름에 논둑이나 제방에서 지내던 마을 제사. 둑제는 음력 정초나 정월 대보름 저녁에 논둑이나 제방 등이 무너지지 않고 마을이 무탈하기를 기원하는 염원을 담아 마을 공동으로 지내는 제사이다. 이를 마을에 따라서는 ‘뚝제[堤祭]’, ‘갯제’ 등이라고도 한다. 둑제는 두 가지 형태로 구분된다. 하나는 논둑이나 제방에 게나 구렁이·숭어...
무속신앙
-
충청남도 서산 지역에서 무당과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원시 종교. 무속 신앙은 외래 종교인 불교·유교·개신교의 상대적 개념으로 무당과 관계된 한국의 전래 신앙을 말한다. 무속 신앙은 무당이라는 사제의 존재 유무에 따라 민간 신앙과 구분된다. 무속 신앙이 성립되기 위해서는 반드시 굿이라고 부르는 의례를 집행하는 무당이 존재해야 한다. 예를 들어 안택을 지낸다고 할 때 무당...
-
충청남도 서산 지역에서 정초에 가정의 제액과 안녕을 위하여 지내는 제사. 거리제는 대개 설날에서 정월 대보름 사이에 마을 어귀나 큰길 등 사람들의 발길이 많은 곳에서 부정을 막아 가정에 큰 탈이 없기를 비는 뜻에서 지내는 제사이다. 서산 지역에서는 정월 초순이 되면 한 해 동안 집안 식구의 무사안일을 위하여 주부가 주관하여 삼거리에 나가 거리제를 지낸다. 이를 ‘거리제’...
-
충청남도 서산 지역에서 정초에 서낭신에게 지내는 제사. 서낭제는 한 마을의 수호신인 서낭신께 드리는 의례이다. 예부터 마을에 따라 공동으로 서낭제를 지내는가 하면, 개인적으로 구복(救福)을 위해 지내기도 하였다. 서산 지역의 서낭당은 고목나무에 돌무더기를 쌓아 놓은 형태로 마을 어귀나 또는 마을 바깥으로 나가는 고개 마루에 있는 경우가 많았다. 사람들이 지나가면서 서낭에...
-
충청남도 서산 지역에서 음력 1월 초 또는 음력 1월 15일에 그해의 횡액을 예방하려고 지내는 의례. 홍수매기는 정월 초[음력 1월 초]에 신수를 보아 가족 중에 삼재(三災)가 들었거나 횡수(橫手)가 든 사람의 액운을 예방하기 위하여 행하는 제사이다. 홍수매기란 ‘뜻밖에 닥쳐오는 재액을 막는다.’는 횡수(橫數)막이가 잘못 전해진 글자의 음이다. 그러나 오랫동안 민간에서...
-
충청남도 서산 지역에서 천연두에 걸렸을 때 치료를 목적으로 행하던 무속 의례. 마마배송굿은 1930년대 이전 천연두에 걸렸을 때 13일째 되는 날 마마를 돌려보내려고 행하였던 굿이다. 천연두는 속칭 ‘마마’ 또는 ‘손님’, ‘손님마마’라고 불린다. 종두법이 개발되기 전까지만 해도 천연두는 가장 무서운 전염병으로 인식되었다. 설령 목숨을 부지한다고 해도 일생을 곰보로 살아...
-
충청남도 서산 지역에서 음력 정초에 지신에게 지내는 제사. 지신제는 음력 1월 초에 지신(地神)에게 가정의 안녕을 기원하는 의례이다. 서산 지역에서는 집안의 뒤꼍에 지신이 깃들어 있다고 하여 극진하게 위한다. 정초[음력 1월 초]에 지신제를 잘 모시면 집안에 드는 1년 액운을 막을 수 있다고 믿었다. 그래서 가정에 따라서는 지신을 성주보다 오히려 더 높은 신으로 받들기도...
-
충청남도 서산 지역에서 음력 정월의 용날에 가정의 평안을 기원하기 위해 지내는 의례. 용왕제는 보통 집안의 부녀자들이 용왕신에게 가족의 안녕과 집안의 무탈함을 기원하며 정초의 용날에 지내는 제사이다. 정초에 무당에게 신수점을 보아 그해 액운이 낀 사람이나 용왕살이 센 사람이 있으면 용왕제를 지낸다. 집안에 따라서는 보살이나 선거리[무당]를 불러서 부정풀이를 한 다음 간단...
-
충청남도 서산 지역에서 가정의 안녕과 재수를 위하여 신을 위하던 황해도 식의 무속 의례. 맞이굿은 서산 지역으로 이주해 온 황해도 주민이 집안의 평안과 배의 안전, 풍어를 위하여 신을 받들던 굿이다. 서산시는 서해안이 인접한 지역이다. 1950년 6·25 전쟁이 발발하자 황해도와 평안도에 거주하던 주민이 배를 타고 대거 남쪽으로 피난을 왔는데, 서산과 당진, 태안 등지에...
-
충청남도 서산 지역에서 한 해 동안 무사 안녕과 풍어를 기원하는 제사. 뱃고사는 정초나 필요할 때에 무사 운항과 풍어를 기원하기 위하여 배서낭에게 음식을 차려 놓고 비는 제사이다. 모든 배들은 배 안에 서낭을 모시고 있는데, 배서낭은 배를 처음 짓게 되면 좌정하게 되는 신으로서 각시 서낭이 가장 많다. 서산 지역 중에서 바닷가를 끼고 있는 곳에서는 뱃고사를 지낸다. 뱃고...
-
충청남도 서산 지역에서 한 해의 액운을 막고 재수를 기원하며 지내던 제사. 참봉고사는 어촌에 사는 주민들이 음력 1월 1일 바닷가에 사는 도깨비 신(神) ‘참봉’에게 한 해 안녕과 재수를 위하여 음식을 차려 놓고 빌었던 제사이다. 참봉은 본래 조선 시대 벼슬의 한 이름이지만, 서산 지역 사람들은 바닷가에 사는 도깨비를 ‘참봉’이라고 부른다. 참봉은 재수를 주는 신으로 알...
-
충청남도 서산 지역에서 사람에 낀 액살을 풀기 위한 무속 의례. 살풀이는 사주팔자에 액(厄)이나 살(煞)이 낀 사람을 풀기 위하여 행하는 굿이다. 사람에게 액이나 살이 끼면 혼인을 하지 못하거나 매사에 하는 일이 수월하게 되지 않게 된다고 한다. 이때에는 법사 또는 무당에게 의뢰하여 살풀이를 해 주어야 한다고 믿는다. 충청남도 서산 지역에서는 앉은굿을 하는 법사나 보살들...
-
충청남도 서산 지역에서 환자를 치료하기 위하여 행하는 독경 또는 굿. 병굿은 환자의 병이 낫기를 비는 굿이다. 서산 지역에서는 흔히 이를 병경, 병정, 큰경, 선굿 등이라고도 한다. 특히 병정이라고 부르는 것은 경(經)을 ‘정’으로 발음하기 때문에 그렇다. 1950년대까지만 해도 병원에 가는 것보다 병굿을 하는 경우가 더 많았다. 환자의 상태에 따라서 3일 혹은 5일 동...
-
충청남도 서산 지역의 민간에서 흔히 사용되는 질병 치료법. 민간요법은 민간에서 행하는 관습과 주술에 근거한 치료 행위를 말한다. 과거에는 의료 기술이 발달하지 못하였을 뿐 아니라 일반 서민들은 이를 활용할 수 있는 여건도 마련되지 않았기 때문에 민간에서 전승되던 관습적인 의료법이 발달하였다. 이는 오랜 경험의 축적으로 얻어진 삶의 지혜가 대부분이다. 이러한 민간요법은 크...
-
충청남도 서산 지역에서 두드러기를 치료하기 위해 행하던 주술적 의례. 두드러기 잡기는 피부병의 일종인 두드러기가 났을 때 이를 치유하는 간단한 의식이다. 과거에는 몸에 두드러기가 나면 이에 대한 마땅한 치료 방법이 없었다. 두드러기 잡는 행위는 여느 지역과 마찬가지로 서산 지역에서도 일종의 주술적 방법으로 진행한다. 서산 지역에서 흔히 쓰는 방법은 짚을 환부에 바르고 소...
-
충청남도 서산 지역에서 객귀를 물리치기 위하여 행하던 주술적 의례. 객귀물리기는 사람이 시름시름 앓을 때 그것은 객귀(客鬼)가 들었기 때문이라 믿고 이를 풀어서 해결하려는 치병 의식이다. 이를 ‘해물리기’라고도 한다. 객귀물리기는 주로 집안의 부녀자가 주관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객귀에 의한 환자가 발생하면 얼른 된장국을 끓여서 바가지에 담고 그 안에 환자의 머리카락을 세...
-
충청남도 서산 지역에서 다래끼를 치료하기 위해 행하던 주술적 의례. 삼잡기는 눈에 다래끼가 났을 때 이를 치유하는 비교적 간단한 의식이다. 이를 ‘삼눈잡기’라고도 한다. 눈 다래끼는 속눈썹의 뿌리 부분에 있는 기름샘에 염증이 생기면서 고름이 발생하는 병으로, 이를 서산 지역에서는 ‘삼눈’ 또는 ‘다락지’라고도 일컫는다. 과거에는 손이 있는 날 집안에 못을 잘못 박으면 식...
-
충청남도 서산 지역에서 동토로 생긴 병을 치료하기 위해 행하던 주술적 의례. 동토잡기는 동티로 인한 병을 얻었을 때 이를 치유하는 의식이다. 이를 ‘동투잽이’라고도 한다. 동토(動土)는 집안 또는 집 주변에서 흙을 잘못 다루거나 외부의 물건을 집안에 잘못 들였을 때 지신(地神)이 노하여 가족에게 병을 앓게 하는 증상을 일컫는다. 또, 나무를 잘못 베어서 나는 탈이기도 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