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4101549 |
---|---|
한자 | 八峯面山神祭 |
분야 | 생활·민속/민속,문화유산/무형 유산 |
유형 | 의례/제 |
지역 | 충청남도 서산시 팔봉면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민정희 |
의례 장소 | 팔봉면 산신제 -
충청남도 서산시 팔봉면 팔봉산![]() |
---|---|
성격 | 민간 신앙|마을 제사 |
의례 시기/일시 | 음력 2월 그믐 |
충청남도 서산시 팔봉면에서 마을의 평안과 안녕을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팔봉면 산신제는 매년 음력 2월 그믐 팔봉산 정상에 있는 제단에서 마을의 평안과 안녕을 위하여 마을 공동으로 지내는 제사이다.
팔봉면 산신제는 본래 음력 1월 14일 저녁에 지냈으나 1970년대 새마을 운동으로 중단되었다. 이후 청년들의 교통사고가 자주 발생하게 되어 다시 지내게 되었다. 면정자문위원회가 산신제를 주관한다.
제단은 팔봉산 정상에 있으며, 옛날부터 기우제를 지냈던 곳이다.
면정자문위원회에서는 5명 정도의 제관을 선정하는데, 특별한 기준이나 선발 후 금기 사항은 없다. 다만 제관으로 선정되면 목욕재계를 하고 몸과 마음을 정갈히 한다. 제물은 대추, 밤, 곶감, 사과, 배, 참외, 딸기, 수박, 돼지머리, 명태[포], 떡[소두 1말], 술 등을 준비한다. 산신제는 팔봉산 정상 부근에서 거행된다. 이곳은 예전부터 기우제를 지냈던 장소이다. 제의는 유교식으로 치러지는데 분향→ 재배→ 초헌→ 독축→ 아헌→ 종헌→ 음복→ 철상 등의 순으로 거행된다. 팔봉산 꼭대기에서 오전 10시 30분에 시작되어 12시경에 끝난다.
산신제가 끝나면 신명나게 풍물을 울리는 등의 별도 행사는 없다. 다만 산신제가 점심 때 끝나기 때문에 참석한 사람들에게 도시락을 주는 정도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