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700014
한자 佛敎
이칭/별칭 불법,불도
분야 종교/불교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개관)
지역 인천광역시 미추홀구
집필자 오정윤

[정의]

인천광역시 미추홀구 지역에서 활동하는 석가모니를 교조로 하는 종교.

[개설]

우리나라 불교는 삼국 시대 중국으로부터 전래되었으며, 신앙과 지배 이념으로 기능하면서 발전하였다. 삼국 중 불교가 가장 먼저 전래된 고구려는 372년(소수림왕 2) 전진(前秦)의 순도(順道)에 의해 불교가 공인되었다. 그러나 이미 유학이 유입되고 교육 기관인 태학이 성립되어 있어 불교의 영향력은 상대적으로 작았다.

백제는 12년 뒤인 384년(침류왕 1)에 동진(東晋)의 마라난타에 의해 불교가 전래되었다. 백제의 불교는 남조 불교의 영향을 받아 개인의 소승적 해탈을 강조하는 계율종(戒律宗)이 강조되어 왕실보다는 귀족층에서 환영되었으며 겸익(謙益)과 같은 고승이 배출되었다. 그러나 백제 말기에는 불교가 호국적 성격을 강하게 띠면서 6세기 말에는 왕흥사(王興寺), 미륵사(彌勒寺)와 같은 거대 사찰이 건립되기도 하였다.

신라는 5세기 초 고구려와 중국의 양(梁)에서 불교가 들어 왔으나 527년(법흥왕 14)에 이차돈(異次頓)의 순교를 계기로 불교가 공인되었다. 이후 신라는 왕권 강화와 애국주의를 위한 수단으로 불교를 적극 수용하여 불교식 왕명, 불국토 사상이 채택되었다. 자장(慈藏)이 포교한 계율종이 지배적인 위치를 차지하였고, 민간에서는 밀교(密敎), 특히 삼국 말기에는 미륵 신앙이 유행하였다. 원광(圓光)·자장·의상(義湘)·원측(圓測) 등 중국에 유학하여 불교 이론을 수학한 승려가 많았다.

통일 신라의 불교는 중앙 집권적 정치 체제를 종교적으로 그리고 철학적으로 뒷받침하는 국가 경영의 이념으로 기능하면서 더욱 발전하였다. 통일 이전의 불교가 ‘왕즉불(王卽佛)’의 논리 아래 호국 사상의 측면에서 종교적 기능을 수행했던 것에 반해 통일 이후 심오한 철학이론으로 발전하게 된 것이다. 이는 중국에 유학한 승려들의 활약과 통일 후 혜초(慧超), 김교각(金喬覺) 같은 승려의 활동에 의해서였으며, 이에 의해 보덕(普德)의 열반종(涅槃宗)·자장의 계율종·원효(元曉)의 법성종(法性宗)·의상의 화엄종(華嚴宗)·진표(眞表)의 법상종(法相宗) 등 5개의 교종 종파가 성립되었다. 이중 신라 지역에서는 의상의 화엄종이 백제의 옛 지역에서는 진표의 법상종이 영향력이 컸다. 그러나 통일 신라 말기에는 교종에 대항하면서 체제 비판적인 성격의 선종이 옛 고구려와 백제 지역의 호족 사회에서 대두하였고, 6두품 이하의 호족층에서 큰 호응을 얻어 선종 9산문이라는 종파를 형성하였다.

발해는 문왕(文王)이 스스로 불교적 성왕(聖王)으로 자처하였던 것으로 보아 불교가 국가적으로 장려되었음을 알 수 있다. 발해의 수도인 상경(上京)의 사찰 유적지에서 발견되는 석등, 불상 등의 양식은 고구려적인 성격을 띠고 있다.

고려 시대의 불교는 수신(修身)의 교(敎)로서, 치국(治國)의 교로 기능한 유교와 공존하면서 왕권 강화와 사회 통합에 강력한 기능을 수행하였다. 토착 신앙과 융합되어 민족 사상으로 뿌리내린 불교는 비보(裨補) 사찰의 건립, 팔관회와 연등회 등 불교 행사의 국가 주관, 승과(僧科)의 실시, 사원전(寺院田)의 지급 등 왕실의 비호를 받으며 통치 이념의 강화 역할을 수행하였다. 그러나 통일 신라 말부터 성장하였던 선종은 점차 중앙 집권 체제가 성립되면서 밀려나고 고려 중기에 이르러서는 문벌 귀족 중심의 후원을 받은 교종 특히 화엄종과 법상종이 주류를 이루었다. 그러나 교종과 선종의 대립에서 오는 폐단을 시정하기 위해 의천(義天)은 천태종(天台宗)을 성립시켜 선교(禪敎) 일치를 주장하였고, 지눌(知訥)은 구산(九山)의 선문(禪門)을 통합하여 조계종(曹溪宗)을 창립하기도 하였다. 무신(武臣) 난(亂) 이후에는 귀족 불교에 대한 반성으로 신앙 단체로서의 결사(結社)가 유행하여 대중 사회의 신앙으로 확산되었는데, 수선사(修禪社)와 백련사(白蓮社)가 대표적이었다. 그러나 고려 말 권문세족의 후원을 받은 사원은 농장의 겸병, 고리대나 양주(釀酒)를 통한 경제적 부를 확대하며 세속화되어 더 이상 사회 운영의 사상으로 기능할 수 없게 되었다.

조선 왕조는 유교 국가로서의 모습을 갖추고, 성리학적 질서 수립을 위해 숭유 억불 정책을 시행하였다. 그러나 조선 왕조 초기에는 이미 민간에 뿌리를 내려온 불교를 없애지는 못하였다. 불교를 국가 운영 체제 내에서 통제하기 위해 여러 종파를 선종과 교종으로 통합하고 도첩제와 승과(僧科)를 실시하였다. 또한 세종(世宗)은 『월인천강지곡(月印千江之曲)』과 『월인석보(月印釋譜)』를 훈민정음으로 간행하고, 내불당(內佛堂)을 건립하였다. 세조(世祖) 또한 원각사(圓覺寺)를 짓고, 간경도감(刊經都監)을 두어 많은 불경을 번역하고 간행하였다. 그러나 성종(成宗) 대 이후 사림(士林)의 등장으로 선종·교종 양종의 폐지, 승과와 승계(僧階)의 폐지 등 불교 억압책이 시행되어 불교는 산간으로 밀려났다. 그러나 명종(明宗)문정 왕후(文定王后)에 의해 보우(普雨)가 중용되어 불교가 일시 활기를 띠기도 하였으며, 휴정은 좌선 견성(坐禪見性)이라는 교의(敎義)로 선·교 양종에서 조계종으로 일원화하여 불교를 개혁하고자 하였고, 임진왜란 때 승군(僧軍)이 국난 극복에 큰 역할을 하기도 하는 등 불교의 전통을 유지하였다. 그러나 조선 시대 불교는 국가의 지배적 이념으로는 기능하지는 못하였다.

일제 강점기에는 1911년 ‘사찰령’으로 대표되는 불교 정책을 시행하여 한국 불교를 조선 총독부 감독 하에 예속함으로써 불교를 억압하고 민족정신을 말살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한용운(韓龍雲)이 조선 불교 유신회를 조직하여 이에 투쟁하고 3·1 운동에 주도적으로 참여하는 등 민족 종교의 자주성을 지키기 위해 노력하였다.

[인천의 불교]

인천 지역은 과거 중국과의 뱃길을 이용하는 통로이었고, 고려 시대의 거족인 인주 이씨(仁州 李氏)의 세거지였으며, 조선 시대에는 서해안의 요충의 행정 중심이었다. 그러나 지금의 인천광역시 미추홀구 지역에서 왕실의 원찰(願刹), 오랜 법맥을 이어온 전통 사찰이 존재하였던 기록이나 흔적은 없으나, 조선 시대 기록에 사찰들의 단편적 기록은 보인다. 전통 시대 인천 지역의 사찰에 관한 기록은 1530년(중종 25)에 간행된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에 효일사(曉日寺), 주안사(朱鴈寺), 청량사(淸凉寺) 3곳이 기록되어 있다. 그러나 조선 후기에 편찬되는 읍지(邑誌)류에 이 사찰들은 모두 폐사로 기록되어 있고 다른 사찰의 존재, 창건 혹은 폐사에 대한 기록은 없다.

그리고 8․15 해방 이후의 기록인 『인천(仁川)의 고적(古蹟)』에는 지금의 인천광역시 미추홀구의 불교 유적으로 인천광역시 미추홀구 문학동길마사지·문학사지, 인천광역시 미추홀구 학익동연경사지·학림사지에 대한 조사 보고가 있어 또 다른 인천광역시 미추홀구의 불교문화를 살펴 볼 수 있다. 학림사는 학익 초등학교 교정과 뒷산 일부에 걸쳐 있던 사찰로 ‘연우사년삼월중수(延祐四年三月重修)’의 명문이 적힌 와편 등을 수습하였음으로 미루어 고려 시대에 창건되어, 1317년(충숙왕 4)에 중수된 사찰로 추정할 수 있다. 문학사는 문학산 북록의 정상에서 약 80m 내려온 중턱에 있던 사찰로 백자 향로 1점과 분청 상감 국화문 접시편 등이 수습되어 여말 선초를 창건 시기로 볼 수 있다. 이 두 사찰은 인천의 불교문화를 보여 주는 대표적 사찰로 추정되며 수습된 유물들은 현재 인천광역시립 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또한 길마사와 연경사는 1949년 인천 고적 조사단의 조사에서 그 유구를 확인하고 고려 시대와 조선 시대의 와편 등을 수습하였다고 하나 현재 전하는 것은 없다. 이 네 곳의 절터는 훼손·교란되어 현재 그 유구를 확인할 수 없으며, 『신증동국여지승람』에 이 사찰들에 대한 기록이 남아 있지 않은 것으로 보아 조선 중기 이전에 폐사된 것으로 보인다. 인천광역시 미추홀구에는 전통 시대의 불교문화를 대표할 사찰이 존재하지는 않았지만 조선 중기까지는 불교의 전통을 이어오는 사찰들이 존재하였음이 분명하다. 그러나 그 이후의 기록은 전하는 것이 없어 실상을 밝혀내기는 어렵다. 그러나 사찰의 규모, 전통은 별도로 하고라도 민중들의 중심에 자리하고 있었던 민족문화의 중심, 호국 신앙으로서의 불교의 전통은 인천광역시 미추홀구에서 이어져 왔을 것이다.

[현황]

인천광역시 미추홀구청 문화 예술과 제공 자료에 의하면, 2018년 현재 인천광역시 미추홀구의 불교 관련 단체의 현황은 조계종 6개소, 태고종 13개소, 화엄종 1개소, 기타 11개소로서 총 31개소의 각 종단 소속 사찰과 포교당이 있으며, 약 12만 명의 신도가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