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마총」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8501215
한자 龍馬塚
이칭/별칭 말무덤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
유형 작품/설화
지역 경상북도 영덕군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박은정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수록|간행 시기/일시 2002년 - 「용마총」 『영덕군지』에 수록
관련 지명 용마총 - 경상북도 영덕군 지품면 삼화리 지도보기
채록지 「용마총」채록지 - 경상북도 영덕군 지품면 지도보기
성격 설화|전설
주요 등장 인물 화랑|용마|농부
모티프 유형 명마의 능력을 시험하는 장수|말무덤

[정의]

경상북도 영덕군 지품면에서 용마총이 생기게 된 내력에 대해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개설]

「용마총」은 전국적으로 분포된 말무덤 설화의 변이형이다. 장수가 자신이 아끼던 준마의 능력을 시험하려다 잘못된 판단으로 준마(駿馬)를 죽이게 되고, 그 준마의 무덤을 만들게 된 이야기이다.

[채록/수집 상황]

「용마총」은 2002년 영덕군에서 발행한 『영덕군지』에 수록되어 있는데 『영덕군지』에는 채록 경위가 밝혀져 있지 않다.

[내용]

경상북도 영덕군 지품면 삼화리에는 돌무덤 세 개가 나란히 있는데, 이 돌무덤이 생긴 유래가 전해 내려오고 있다.

신라 때 한 화랑(花郞)이 있었는데, 화랑에게는 아끼는 용마가 있었다. 하루는 그 화랑이 지금의 돌무덤이 있는 곳에서 열심히 궁술을 연습하고 있었다. 화랑은 용마에게 “내가 활을 쏠 테니 네가 화살을 물고 오너라.”라고 하고는 활을 쏘았다. 나는 듯이 뛰어가던 용마가 화살 없이 그대로 돌아왔다. 화랑은 용마가 자신의 말을 듣지 않았다고 생각하고는 앞뒤를 생각하지도 않고 칼을 빼어 말의 목을 쳐 죽여 버렸다. 그때 한 농부가 화살을 들고 달려와서 “말이 화살을 찾다가 못 찾고 돌아간 뒤에 화살이 떨어졌다.”고 하였다.

화랑은 그제야 자신의 행동이 경솔하였음을 깨닫고 후회하였지만 이미 죽은 말을 되살릴 수는 없었다. 눈물을 흘리며 그 자리에 말을 묻고 양옆에 말안장과 칼을 따로 묻었다. 그래서 세 개의 무덤이 나란히 만들어지게 되었다. 뒷사람들이 그곳에 보검(寶劍)이 묻혀 있다는 것을 알고 탐을 내어 무덤을 파헤치려 하면 천둥과 번개가 쳐서 파낼 수가 없었다고 한다. 말과 말안장, 보검을 묻은 세 개의 돌무덤을 ‘말무덤’이라고도 한다.

[모티프 분석]

「용마총」의 주요 모티프는 '명마(名馬)의 능력을 시험하는 장수'와 '말무덤'이다. '말무덤' 설화는 장수가 자신이 타고 다니는 명마의 능력을 시험하려다가 부주의나 실수로 죽인 다음에 만든 말의 무덤에 관한 설화이다. 「용마총」은 '말무덤' 설화의 일반적인 줄거리를 그대로 가지고 있으며, 장수 대신 화랑이 등장한다. 충직한 말은 장수를 위해 온 힘을 다하였음에도 화랑의 경솔함으로 죽임을 당한다.

화랑은 자신의 능력을 확대시켜 줄 말을 죽이는 한계를 가진 인물로 그려지며, 민중은 이 전설을 통해 권위적이고 부도덕한 지배층의 횡포를 풍자한다. 결과적으로 말의 죽음은 말뿐만 아니라 소중한 말을 잃은 화랑의 비극적인 종말을 암시하기도 한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