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4301559 |
---|---|
이칭/별칭 | 집가심 |
분야 | 생활·민속/민속 |
유형 | 의례/평생 의례와 세시 풍속 |
지역 | 경기도 양주시 |
집필자 | 한정수 |
[정의]
경기도 양주 지역에서 죽음으로 인하여 발생한 집안의 부정을 가시는 굿.
[개설]
자리걷이는 사람이 죽은 곳은 부정하다고 여겨 이곳을 굿으로 가셔 내어 정결하게 하고, 죽은 자에 대한 아픈 상처를 씻어 내는 심리적 효과를 거둘 수 있는 무속 의례이다. 이를 ‘집가심’이라고도 한다. 양주 지역에서도 봉분까지 마치고 장례를 치루고 돌아온 당일 저녁에 방을 가셔 낸다고 하여 만신을 불러 그 방에서 자리걷이를 하였다.
[연원 및 변천]
자리걷이는 무속 신앙과 연관된다. 예부터 죽은 곳은 부정하다 여겨 이에 대한 정화를 하지 않으면 가족이나 다른 사람들에게 해를 줄 수 있는 주력(呪力)이 있다고 믿었다. 때문에 이를 정결하게 하기 위해 만신을 초빙하여 굿을 하고 죽은 자가 무엇으로 환생하였는가를 자리걷이를 통해 알고자 하였다.
[절차]
먼저 장례일이 되면 미리 만신을 선정한다. 장지에 가지 않는 여자들은 자리걷이를 준비하는데, 죽은 이가 있던 자리에 죽은 이의 옷을 두고 쌀이나 밀가루를 담아 둔다. 만신은 제단을 그 옆에 차린다. 이때 제단에는 팥떡 한 시루, 쌀을 준비하고, 시루떡 위에는 신장대도 꽂고 쌀도 말에다 퍼다 놓는다. 제물로는 삼색실과, 밥, 떡 등을 올려 상을 차리기도 한다. 그리고 머리에 넋전[죽은 사람의 영혼이 붙은 것]을 단다. 그 후 만신은 고리짝이나 장구를 치면서 창하고, 죽은 영혼을 몸에 실어 ‘넋두리’를 한다. 굿이 끝난 다음에 죽은 이의 환생이 옷에 둔 쌀이나 밀가루에 나타나는 것을 확인한다. 이를 통하여 최종적으로 죽음의 부정을 가시게 된다.
[생활 민속적 관련 사항]
양주 지역의 자리걷이는 만신을 불러 행한다. 자리걷이를 하는 동안 만신에게 들어온 사자의 혼은 유족들에게 말을 한다. 그리고 나면 죽은 이의 옷에 담긴 쌀과 밀가루 등에 그림이 그려져 그 사람이 무엇이 되었는가를 알 수 있다고 한다. 예컨대 쌀 위에 한지를 덮었다가 걷을 때 쌀 위에 발자국이 남으면 죽은 자가 환생한 동물의 발자국으로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