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4300522 |
---|---|
한자 | - 運動 |
분야 | 역사/근현대 |
유형 | 사건/사건·사고와 사회 운동 |
지역 | 경기도 양주시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조태훈 |
발생|시작 시기/일시 | 1970년 4월 22일 - 새마을 운동 제창 |
---|---|
발단 시기/일시 | 1984년 3월 21일 - 새마을운동중앙협의회 양주군지회 설치 |
성격 | 사회 개발 운동 |
관련 인물/단체 | 박정희 |
[정의]
1970년대 경기도 양주를 포함한 전국에서 실시된 범국민적 지역 사회 개발 운동.
[개설]
새마을 운동은 1970년 4월 22일 박정희 대통령의 제창으로 행해진 지역 사회 개발 운동으로, 근면·자조·협동을 기본 정신으로 하고 그 실천을 범국민적·범국가적으로 추진하여 총체적인 국가 발전을 추진하기 위해 진행되었다. 서울에서 가까운 양주 지역은 시범 실시 지역으로 선정되었고, 많은 예산이 투입되어 급격한 농촌 개량 사업이 전개되었다.
[역사적 배경]
1960년대의 2차에 걸쳐 진행된 경제 개발 5개년 계획으로 우리나라는 고도성장의 기틀을 마련하였다. 그러나 지역 간의 불균형으로 인한 산업 간 불균형, 소득 격차, 농촌 인구의 도시 유입 등 많은 사회적 문제를 야기하였다. 이러한 제반 문제 해소의 일환으로 1970년부터 농촌의 자연 촌락을 대상으로 새마을 운동이 시도되었고, 1972년부터 본격적으로 전개되었다.
[경과]
당시 양주군에서는 새마을 운동의 활성화를 위해 국민 정신 교육의 내실화, 농촌 새마을 운동의 확충, 그리고 직장 새마을 운동의 내실화에 중점을 두고 새마을 지도자를 중심으로 전 주민이 합심하여 살기 좋은 복지 농촌을 건설하는 데 주력하였다. 유형별 새마을 현황을 살펴보면 1973년에 기초 마을 28%, 자조 마을 63%, 자립 마을 9%였다. 그러나 1977년 이후에는 기초 마을이 모두 개선되어 자조 마을과 자립 마을의 단계에 이르게 되었고, 1980년에는 양주군 내의 모든 마을이 자립 마을의 단계에 올랐다.
양주군의 대표적인 새마을 운동 단체로는 1984년 1월 10일에 발족된 새마을운동중앙협의회 양주군지회가 있는데, 새마을운동중앙협의회 양주군지회가 발족됨에 따라 전보다 일관성 있고 효율적인 민간 주도의 새마을 운동이 전개되었다. 새마을운동중앙협의회 양주군지회는 중앙협의회와 마을 현장 단위의 중간에서 새마을 운동의 지도, 조정 및 보고 등을 담당하면서 새마을 운동의 활성화와 지역 사회 발전을 위해 활동하였다. 새마을협의회는 현재까지 활동하고 있다.
2011년 현재 새마을 운동 관련 단체로는 새마을지도자 양주시협의회[회장 유영도], 양주시 새마을부녀회[회장 서정순], 직장공장새마을운동 양주시협의회[회장 홍현덕], 새마을문고 양주시지부[지부장 지수길], 양주시 새마을교통봉사대[대장 조원희] 등의 단체가 있다.
[결과]
1970년대 시작된 새마을 운동은 양주 지역의 모습을 많이 바꾸어 놓았다. 전형적인 농촌 풍경을 지니고 있었던 양주 지역을 세련된 도농 복합 지역으로 일신시키는 계기를 만들어 준 것이 바로 새마을 운동이었다.
[의의와 평가]
새마을 운동은 단기간에 낙후된 농업 경쟁력을 향상시켰으며, 시민들의 자율적인 참여를 통하여 자신감과 공동체 의식, 자발적 참여 의식을 회복시킬 수 있었다. 이것은 가정·직장 등 한국 사회 전체의 근대화의 동력이 되었다. 반면 유신 독재 체제하에 행정 기관의 주도로 진행되었다는 주장도 있다. 제5공화국 이후에는 정치적인 영향으로 국민들에게 부정적인 인상을 남기기도 하였다. 양주 지역에서도 이러한 두 가지 관점이 동시에 존재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