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4101151 |
---|---|
한자 | 瑞山- |
분야 | 정치·경제·사회/경제·산업 |
유형 | 특산물/특산물 |
지역 | 충청남도 서산시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김양중 |
제조(생산) 시기/일시 | 2004년 5월![]() |
---|---|
관련 사항 시기/일시 | 2006년![]() |
관련 사항 시기/일시 | 2006년![]() |
관련 사항 시기/일시 | 2007년![]() |
관련 사항 시기/일시 | 2010년![]() |
생산지 | 와우상황버섯농원 -
충청남도 서산시 운산면 와우1리 221
![]() |
체험장|전시처 | 와우상황버섯농원 -
충청남도 서산시 운산면 와우1리 221
![]() |
성격 | 특산물 |
용도 | 식용|관상 |
충청남도 서산 지역에서 재배되고 있는 상황버섯.
서산에서 상황버섯이 처음 재배된 것은 2004년 5월 김주화·임영순 부부에 의해서이다. 2000년 서산시 운산면에 귀농한 이들은 여러 번의 실패 끝에 2005년 처음으로 상황버섯을 수확하였다. 2004년 상황버섯 재배를 처음 시작할 때는 330㎡ 비닐하우스 한 동만 운영하다가 2006년에는 관상용 상황버섯을 개발하여 330㎡ 비닐하우스 두 동을 추가하였다. 서산 상황버섯의 판로를 개척하기 위해 2006년에는 벤처 농업 박람회에 참여하였고, 2007년에는 서울 국제 건강식품 박람회에 참여하였다.
서산에서 상황버섯이 재배되는 곳은 서산 마애삼존불상과 개심사가 있는 가야산 자락이다. 지면 재배 방식이며, 2년 이상 자란 것만을 수확하고 있다. 상황버섯의 수요가 있을 때 수확을 하는데, 5년 동안 자라고 있는 상황버섯도 있다. 이렇게 자란 상황버섯은 독성이 전혀 없고 인체에 유익한 베라글루칸 성분을 많이 함유하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소비자들이 각 가정에서 난을 가꾸듯 상황버섯을 키우며 관상용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분재 형태의 상품을 개발하면서 버섯 재배의 새로운 방법을 시도하며 농가 고소득 창출에 앞장서고 있다.
2010년 직거래 장터 및 박람회에 참여하여 2006년 2500만 원이었던 매출액이 2011년에는 1억 원으로 증가하였다. 이는 각 가정에서 관상용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개발한 분재 형태의 상품 개발이 이루어진 덕분이다. 또한 고가의 상황버섯에 대한 소비자의 가격 부담을 덜어 주기 위해 기존에 ㎏ 단위로 판매하던 것을 50g, 100g, 200g 단위의 소포장으로 판매하였는데, 이러한 마케팅이 성공을 거둔 것도 판매 실적을 높이는 요인이 되었다. 2011년 현재 서산 상황버섯은 와우상황버섯농원에서 재배하고 있다. 비닐하우스 한 동만 운영하고 있으나 생산력이 향상되어 매출액은 꾸준히 늘어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