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60000013
영어공식명칭 Hill|Pass
이칭/별칭 재,티,치(峙),현(峴),령(嶺),관(關),천(遷)
분야 지리/자연 지리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지역 광주광역시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김경수

[정의]

산이나 언덕을 넘어 다니도록 길이 나 있는 비탈진 곳.

[광주광역시 고개 현황]

『조선지지자료』에 따르면 광주광역시 관내 고개는 100여 개이고, 3할은 한글 명칭이 병기되어 있다. 나열하면 다음과 같다. 충효동 북산치(北山峙), 금곡·운림동 백토[梨]치, 덕의동 접(蝶)·상대곡치(上大谷峙), 산수동 잣고개[尺峙], 화암동 늦재[晩峙], 지산동 괘일치(掛日峙), 태령동 니거릿재[四街峙], 효령동 한토치(寒土峙)·초장현(草場峴), 생용동 이현(李峴), 장등동 백곡(白谷)·무토령(舞吐嶺), 운정동 니거리[四街嶺]·함정재[頂定嶺], 오치동 두겁재[蟾嶺]·반고개[方古峴]·매머리고개[鷹頭峴], 삼각동 점재[店峙], 문흥동 도동고개[道頭原峴]·들은고개[野峴], 지야동 이치(梨峙)·봉현(蜂峴), 동림동 불굉이[佛工峙], 각화동 갈마치(葛馬峙)·도두현(擣頭峴), 각화·동명동 들새다리[野梯峙], 주월·풍암동 노인치(老人峙), 노대동 칠기령(七起嶺)·육판치(六判峙)·독고개[石峴]·응치(鷹峙), 덕남동 덕고개[長林峴], 행암동 익고개[益古峴], 진월동 점고개[店峴], 덕흥동 남풍치(南風峙)·덕산현(德山峴), 쌍촌동 잿등[峙嶝]·점등(店嶝)·진등[長嶝]·북고개[鼓峴], 농성동 돗고개[猪峴], 선교동 판치(板峙), 내남동 칠기치(七機峙), 운림동 승두치(僧頭峙), 안청동 안산현(安山峴), 임곡동 옷밧재[五所峙], 신룡동 고치(孤峙), 장수동 무너미재[水越峙], 산정동 꿀재[蜜峙], 월곡동 치등이[雉嶝峙], 하남동 말목고개[馬頂峴], 우산동 치치(雉峙), 이장·칠석동 대치(大峙), 양과동 장성치(長成峙), 도금동 고룡(古龍)·후령(後嶺)·척(尺)·소척치(小尺峙), 칠석동 불치(佛峙), 석정동 천(泉)·목구듬[馬谷峴], 세하동 마제현(馬蹄峴), 본덕동 장구치(長久峙), 서봉동 박메재[博山峙], 운수동 굴재[屈峙]·질마재[跌馬峙]·당재[堂峙]·무네미고개[水峴], 두암동 범두고개[虎峴]·마현(馬峴), 내산동 충(蟲)·사(寺)·대봉(大奉)·망산치(望山峙), 삼도동 이별(離別)·희여(希汝)·복성(卜星)·어린(魚鱗)·계량치(桂良峙), 송학동 추선치(秋蟬峙), 양동 고음실재[熊谷峙], 송산동 자지현(紫芝峴), 도덕동 불근덕현(不近德峴), 지평동 모래(暮來)·우이치(牛耳峙), 지죽동 진주(珍朱)·척곡현(尺谷峴), 덕림동 진달재[落月]·장무치(長武峙), 선동 연봉(連峰)·보리마당재[麥場峙], 오산동 오산(烏山)·용기치(龍起峙), 사호동 로마(路馬)·연봉치(蓮峰峙), 도림면 석방(石傍)·별록(別鹿)·덕두(德頭)·중기치(重起峙)가 기록되어 있다.

광주는 분지지형으로 동쪽 무등산 산등성이가 영산강과 섬진강의 분수계를 이루며, 큰 고개가 많다. 그 본보기는 장불재광주목과 동복현 통로 중 큰 길목이요, 큰 재였다. 화순현으로 통하는 너릿재, 남평현 사이의 한댓재[大峙]도 있다. 자동차가 통과하는 재는 터널이 설치되었다. 1971년 설치된 너릿재터널, 2017년 설치된 수남터널이 그 예이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