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항목 ID GC08000728
한자 邊山半島國立公園事務所
영어공식명칭 Byeonsanbando National Park Management Office
이칭/별칭 국립공원공단 변산반도 국립공원사무소
분야 정치·경제·사회/정치·행정
유형 기관 단체/기관 단체(일반)
지역 전라북도 부안군 변산면 방파제길 11[격포리 282-8]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주상현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특기 사항 시기/일시 1971년 12월 2일 - 변산반도 도립 공원으로 지정
특기 사항 시기/일시 1988년 6월 11일 - 변산반도 국립 공원으로 지정
설립 시기/일시 1988년 10월 1일연표보기 - 변산반도 관리사무소 개소
이전 시기/일시 1991년 11월 14일 - 변산반도 국립공원사무소 전라북도 부안군 변산면 지서리에서 대항리로 이전
이전 시기/일시 2015년 9월 22일 - 변산반도 국립공원사무소 전라북도 부안군 변산면 대항리에서 격포리로 이전
최초 설립지 변산반도 관리사무소 - 전라북도 부안군 변산면 지서리
주소 변경 이력 변산반도 관리사무소 - 전라북도 부안군 변산면 대항리
현 소재지 변산반도 국립공원사무소 - 전라북도 부안군 변산면 격포리지도보기
성격 공공 기관
전화 063-582-7808

[정의]

전라북도 부안군 변산면 격포리에 있는 국립공원공단 소속 변산반도 국립 공원 관리 사무소.

[개설]

변산반도 국립 공원은 1988년에 국립 공원으로 지정되었다. 우리나라에서 19번째로 지정되었으며, 산과 바다가 공존하는 국내 유일의 반도형 국립 공원이다. 총 면적은 153,934㎢이고, 총 면적의 89%는 육상 면적, 11%는 해상 면적이다. 지질은 고원생대 편마암, 중생대 쥐라기 화강암, 중생대 백악기 부안화산암 및 격포리층, 중생대와 신생대 산성 또는 중성 관입 암맥, 신생대 4기 충적층으로 구성되어 있다. 한반도 지각 변동·운동의 특징을 관찰할 수 있는 좋은 지질 학습장이며, 대표적인 지질 명소로는 채석강(彩石江), 적벽강(赤壁江) 등이 있다. 지질·지형적 가치를 인정받아 2017년 9월 13일, 전북 서해안권 국가 지질 공원으로 인증 받은 곳이다.

변산반도 국립 공원은 한반도 서해안에 위치하고 있다. 해양성 기후의 영향을 받아 온난 다습하며, 식생이 다양하다. 변산바람꽃, 미선나무, 노루귀, 부안종개 등과 같은 희귀 동식물의 서식지로서 생태 관광지의 요건과 높은 학술적 가치를 지닌 지역이다. 산악 지역인 내변산에는 천년 고찰 내소사(來蘇寺), 직소 폭포, 월명암(月明庵), 개암사(開岩寺) 등 수려한 자연 경관과 어우러진 문화 자원이 분포해 있다. 해안 쪽의 외변산격포항, 채석강, 적벽강, 고사포와 같은 해변·해식애, 그리고 그와 어우러진 낙조 등의 비경을 간직하고 있다.

[설립 목적]

국립공원공단 변산반도 국립공원사무소변산반도 국립 공원의 자연 생태계와 문화 자원 등을 보전·보호하고 국민들에게 양질의 탐방 서비스 제공 및 공원 시설의 효율적인 유지·관리 등의 업무를 수행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공원 사무소는 변산반도사무소, 내소분소, 내변산분소, 상서분소의 총 4개소로 각 지구별로 위치하고 있다.

[변천]

1971년 12월 2일 전라북도 부안군 변산면 일대 구릉지를 중심으로 도립 공원으로 지정[전북 공고 제133호]되었다가, 1988년 6월 11일 수려한 자연 경관과 다양한 육상·해상 자연 자원 및 역사 문화 자원의 보존 가치를 인정받아 변산반도 국립 공원으로 승격[건설부 고시 제258호]되었다. 1988년 10월 1일 국립공원관리공단 변산반도 관리사무소로 개소했고, 1991년 4월 23일 건설부 산하 기관에서 내무부 산하 기관으로 소속이 변경되었다. 1991년 11월 14일 전라북도 부안군 변산면 대항리로 관리 사무소를 이전했고, 1998년 2월 28일 내무부 산하 기관에서 환경부 산하 기관으로 소속이 변경되었다. 2003년 8월 30일 변산반도 국립 공원에서 변산 해수욕장이 해제되었고, 2015년 9월 22일 전라북도 부안군 변산면 격포리 현 국립공원사무소로 이전하였다. 2016년 3월 24일에 변산반도 국립공원사무소 상서분소가 개소했고, 2018년 3월 29일 변산반도 국립 공원 탐방 안내소를 개소하였다. 2019년 1월 17일 국립공원관리공단이 국립공원공단으로 기관명을 변경하였다.

[주요 사업과 업무(활동 사항)]

국립공원공단 변산반도 국립공원사무소변산반도 국립 공원의 생태 복원 및 공원 환경 보호, 주민 지원 및 자원봉사 등의 대외 협력, 공원 시설 유지 관리, 탐방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 토지 매수 및 환매권, 수익 시설물 운영 및 관리 등에 관한 업무를 수행하고 있다. 변산반도 국립 공원 지역의 체계적인 자연 자원 조사 및 모니터링, 희귀·멸종 위기 종의 우선적인 관리·복원, 야생 동식물의 서식지 보호 등에 관한 업무도 수행하고 있다. 국립 공원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고 지역 사회에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하기 위해 변산반도 국립 공원 시민 대학도 운영하고 있다. 변산반도 탐방 안내소를 통해 탐방객들의 편의를 위한 공원 소개 및 안내, 자료 전시 및 해설 등의 서비스도 제공하고 있다.

[현황]

변산반도 국립공원사무소는 2020년 9월 24일 현재 행정과, 자원 보전과, 탐방 시설과, 내소분소, 내변산분소, 상서분소로 조직이 편성되어 있으며, 소장 이하 총 87명이 근무하고 있다. 내소분소는 내소사 입구에 있으며, 전라북도 부안군 진서면 진서리·석포리·운호리, 보안면 우동리 일부, 변산면 도청리·마포리 일부가 속한 내소 지구 현장 관리를 담당하고 있다. 내변산분소는 실상사 입구에 있으며, 전라북도 부안군 변산면 중계리·대항리·지서리·운산리·격포리마포리 일부, 상서면 청림리 일부가 속한 내변산 지구 현장 관리를 담당하고 있다. 상서분소는 개암사 입구에 있으며, 전라북도 부안군 상서면 감교리·용서리·통정리, 하서면 석상리·백련리, 변산면 중계리 일부가 속한 상서 지구 현장 관리를 담당하고 있다.

변산반도 국립 공원의 주요 탐방로는 5.2㎞ 거리에 약 3시간이 소요되는 내소사 코스, 3.3㎞ 거리에 약 1시간 30분이 소요되는 내소사 원암 코스, 2.3㎞ 거리에 약 50분이 소요되는 직소 폭포 코스, 5.9㎞ 거리에 약 2시간 45분이 소요되는 내변산 내소사 코스, 7.8㎞ 거리에 약 7시간 50분이 소요되는 원암 남여치 코스, 10.2㎞ 거리에 약 4시간이 소요되는 우금암 코스, 7.7㎞ 거리에 약 4시간 10분이 소요되는 쇠뿔 바위 코스, 5.6㎞ 거리에, 약 2시간 30분이 소요되는 내변산 남여치 코스 등이 있다. 주요 깃대종은 변산바람꽃[Eranthis byunsanensis]과 부안종개[Iksookimia pumila]다. 2019년도에는 159만 명의 탐방객이 방문하였다.

[의의와 평가]

변산반도 국립공원은 산악 쪽 내변산의 수려한 자연 경관 및 문화 자원과 해안 쪽 외변산의 해변·해식애 및 낙조 비경을 즐기기 위한 탐방객이 연간 약 200만 명에 이른다.

[참고문헌]
  • 「내부 자료」(변산반도 국립공원사무소, 2020)
  • 변산반도 국립 공원(http://www.knps.or.kr/front/portal/visit/visitCourseSubMain.do?parkId=121800&parkNavGb=park)
  • 국립공원공단(http://www.knps.or.kr)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