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길조어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101806
한자 吉兆語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언어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지역 충청남도 서산시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김정태

[정의]

충청남도 서산 지역에서 인간에게 이로움과 복과 희망을 주는 긍정적인 내용을 담은 말.

[개설]

길조어는 오랜 세월을 두고 기억 전승되어 인간의 행위를 권장하거나 인간에게 이로움과 복을 주는 긍정적인 내용을 담은 말이다. 길조어의 구조는 대개 ‘~하면 좋다’ 또는 ‘~하라’ 등의 뜻을 지닌 권장 형태의 언어 표현을 가진다. 일반적으로 길조어는 생활 습관이나 민간 신앙과 깊은 관련을 맺고 행동이나 행위, 또는 현상이 좋은 조짐으로 나타난다. 서산 지역에서도 다른 지역과 마찬가지로 많은 길조어가 전래되어 내려오고 있다.

[특징]

서산 지역 안에서는 길조어가 몇 가지 특징을 가지고 있다. 첫째, 내용상 동일한 길조어가 약간의 변이를 보이며 분포하고 있다. 이를테면, ‘까치가 울면 손님이 온다.’는 길조어도 ‘짖고, 반가운 손님, 기쁜 일’ 등으로 약간의 형태를 달리하고 있다. ‘소 꿈’에 대한 길조도 마찬가지이다.

둘째, 동물들의 행동이나 꿈, 업이 되는 동물 등이 길조어를 형성하는 주된 매체가 된다. 까치, 거미 외에 개구리와 나비가 길조어에 등장하는 동물들이며, 꿈에는 소, 돼지, 말 등이 나타난다. 집임자인 업으로는 구렁이와 족제비, 두꺼비가 나타나고 있다.

셋째, 서산 지역 길조어의 특징은 금기어(禁忌語)와 대립되어 내려오는 경우이다. 이를테면, ‘거미가 내리는 상황이 길조가 될 수도 있고, 금기가 될 수도 있는’ 등이다.

[사례]

1. 내용상 동일한 길조어

- 까치가 짖으면 귀한 손님이 온다.

- 까치가 울면 반가운 손님이 온다.

- 까치가 짖으면 반가운 손님이 온다.

- 까치가 집을 보고 3번씩 그쳐 울면 손님이 오거나 기쁜 일이 생긴다.

- 소 꿈을 꾸면 조상이 나타난 것이니 지성을 드려 주어야 한다.

- 소 꿈을 꾸면 조상이 나타난 것이다.

- 소 꿈은 조상이 나타난 것이다.

2. 동물이 매체가 되는 길조어

- 까치가 울면 반가운 손님이 온다.

- 거미가 내리면 반가운 손님이 온다.

- 아침에 거미가 내리면 손님이 온다.

- 봄에 흰나비를 보면 상제가 되고, 노랑나비를 보면 땅을 사고, 호랑나비를 보면 높게 된다.

- 봄에 처음 개구리나 호랑나비를 보면 복이 있다.

- 소 꿈을 꾸면 조상이 나타난 것이니 지성을 드려 주어야 한다.

- 돼지꿈을 꾸면 지신이 나타난 것이다.

- 돼지꿈을 꾸면 지신이 나타난 것이니 정성을 드려야 한다.

- 돼지꿈은 터주가 나타난 것이다.

- 말 꿈을 꾸면 서낭이 나타난 것이니 정성을 드려야 한다.

- 말 꿈을 꾸면 서낭이 나타난 것이므로 서낭제를 지내야 한다.

- 말 꿈을 꾸면 서낭이 나타난 것이다.

- 구렁이는 집임자이므로 잡거나 다치지 않는다.

- 구렁이는 집임자이므로 위해야 한다.

- 구렁이는 집임자이므로 나오면 몰아서 들여보낸다.

- 구렁이는 집임자인데, 눈에 띄면 안 좋다. 만약 잡으면 지골 맞아 죽는다.

- 구렁이가 집안에서 나가면 이사를 하든가 사람이 죽어 나간다.

- 구렁이는 집임자이므로 다치지 않는다. 특히 검은 구렁이는 재수가 통한다.

- 족제비는 업이므로 잡지 않는다.

- 족제비는 업이므로 다치지 않는다.

- 흰나비를 입에 문 족제비는 업이므로 보호한다.

- 흰나비를 문 쪽제비[족제비]는 업이다.

- 구렁이[집임자], 족제비, 두꺼비는 업이므로 잡거나 다치지 않는다.

- 광에는 구렁이, 두꺼비, 족제비 등의 업이 있어 시루를 해 놓고 위한다.

3. 금기어와 대립되는 길조어

- 거미가 내리면 손님이 오거나 근심이 생긴다.

- 낮 거미가 내리면 손님이 오고, 밤 거미가 내리면 근심이 생긴다.

- 밤 거미가 내리면 근심이 생기고, 아침 거미가 내리면 반가운 손님이 온다.

- 아침 거미가 내리면 손님이 오고, 저녁 거미가 내리면 근심이 생긴다.

- 동으로 머리를 두고 자면 장수하고, 남쪽으로 두면 부자가 되고, 북쪽으로 두면 단명한다.

- 봄에 흰나비를 보면 부모상을 당하고, 개구리를 보면 여름 내 배부르고, 노랑나비를 보면 재수가 좋다.

- 소가 꿈에 보이면 조상이 나타난 것인데, 좋을 때도 있고 나쁠 때도 있다.

4. 기타

- 정월 초하루나 대보름날 처음으로 어른이 들어오면 좋은 일꾼을 얻는다.

- 정월 보름날 새기 전에 하늘을 보아 별이 달하고 떨어져 가면 풍년이 든다.

[의의와 평가]

길조어는 문화적인 산물로서 그 지역의 역사적인 조건이나 지리적 환경 그리고 인문학적 배경과 밀접한 관련을 가진다. 이러한 길조어는 서산 지역민의 민간 신앙이며, 삶의 정서와 양식이 그대로 배어 있는 무형의 문화유산이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