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홍수매기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101576
이칭/별칭 횡수막이
분야 생활·민속/민속
유형 의례/평생 의례와 세시 풍속
지역 충청남도 서산시
집필자 강성복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민간 신앙
의례 시기/일시 음력 1월 초|음력 1월 15일

[정의]

충청남도 서산 지역에서 음력 1월 초 또는 음력 1월 15일에 그해의 횡액을 예방하려고 지내는 의례.

[개설]

홍수매기는 정월 초[음력 1월 초]에 신수를 보아 가족 중에 삼재(三災)가 들었거나 횡수(橫手)가 든 사람의 액운을 예방하기 위하여 행하는 제사이다. 홍수매기란 ‘뜻밖에 닥쳐오는 재액을 막는다.’는 횡수(橫數)막이가 잘못 전해진 글자의 음이다. 그러나 오랫동안 민간에서 전래되어 오면서 굳어 버렸기 때문에 편의상 그대로 활용하고 있다.

[절차]

정월 대보름 저녁에 집안의 주부(主婦)는 시루떡과 통북어, 나물, 짚신 세 켤레, 동전 등을 가지고 세 갈래로 갈라진 삼거리로 나간다. 이곳에 열십자로 짚을 깔고 제물을 차린 다음 간절하게 기도를 드린다. 예전에는 으레 무당을 초빙하여 액운을 풀어주는 굿을 했다. 홍수매기는 죽을 운이 들었거나 그해 운수가 아주 좋지 않은 사람을 위하여 장차 도래할 지도 모를 횡수를 예방하는 의례이다.

[지역 사례]

충청남도 서산시 해미면 동암리에서는 정초에 안택 고사를 할 때 홍수매기를 했다. 늦은 밤에 고사를 지낸 뒤 새벽에 홍수매기를 하는데, 선거리[단골]가 떡을 쪄서 시루 째 들고 삼거리로 나간다. 떡과 함께 짚신 세 켤레, 동전 몇 푼을 가지고 선거리가 주문을 외며 액을 풀어준다. 삼재가 든 사람도 이때에 살풀이를 해준다. 홍수매기가 끝나면 그 자리에 떡을 조금 떼놓고 짚신은 그 자리에 버리고 온다.

충청남도 서산시 운산면 여미리에서는 지신제를 지낸 뒤 새벽에 삼거리나 사거리에 나가서 한다. 무당이 액살이 낀 사람의 생년·월·일·시를 쓴 종이를 수수팥떡에 붙이고 동서남북 사방으로 뺑뺑 돌아가며 활을 쏜다. 수수팥떡이 곧 화살인 셈인데 이로써 액살을 멀리 쫓아 버리는 것이다.

충청남도 서산시 지곡면 중왕리에서는 정초에 길일을 택하여 안택하는 날 액운이 끼거나 삼재가 든 사람은 홍수매기로 액살을 풀어주었다. 대개 밤을 지새워서 안택을 한 다음 새벽에 떡, 과일, 포, 등을 가지고 삼거리로 간다. 이곳에서 무당이 살풀이를 한 후 그 자리에 떡과 과일 등을 조금 남겨두고 떠난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