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천장사 인법당 지장시왕도」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100540
한자 天藏庵因法堂地藏十王圖
이칭/별칭 「천장사 지장도」,「천장사 중단탱」
분야 종교/불교,문화유산/유형 유산
유형 유물/서화류
지역 충청남도 서산시 고북면 고요동1길 93-98
시대 근대/개항기
집필자 이용윤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제작 시기/일시 1898년 3월연표보기 - 「천장사 인법당 지장시왕도」 제작
현 소장처 천장사 인법당 - 충청남도 서산시 고북면 고요동1길 93-98[장요리 1]지도보기
원소재지 천장사 인법당 - 충청남도 서산시 고북면 고요동1길 93-98[장요리 1]
성격 탱화
작가 약효|문성
서체/기법 면 바탕에 채색
소유자 천장사
관리자 천장사

[정의]

충청남도 서산시 고북면 장요리 천장사에 있는 지장시왕도.

[개설]

지장시왕도는 지장삼존과 명부의 10명의 대왕인 시왕을 한 화면에 그린 불화이다. 지장시왕도는 주로 대웅전, 극락전 등 주 불전이나 암자의 법당에 좌측 혹은 우측 벽에 신중도와 마주보게 건다. 주로 사찰의 대웅전과 같은 주 불전 혹은 암자의 법당 한쪽 벽에 걸어 천도 의식을 거행한다. 「천장사 인법당 지장시왕도」는 1898년 약효, 문성이 조성하였다.

[형태 및 구성]

「천장사 인법당 지장시왕도」는 액자형으로, 화면 크기는 140.0××149.8㎝이며, 면 바탕에 채색하였다. 화면 가운데에는 용문양이 장식된 불단(佛壇)과 연화 대좌에 지장보살이 앉아 있다. 지장보살은 승형(僧形) 머리에 검은색 투명 두건을 쓰고 있으며 오른손에는 투명 구슬을 들고 있다.

지장보살의 대좌 좌우에는 젊은 승려 형상의 도명존자(道明尊者)와 제왕의 모습을 한 무독귀왕(無毒鬼王)이 합장을 한 채 협시하고 있다. 지장삼존의 좌우에는 시왕이 병립되어 있다. 화면 상단인 지장보살의 두광(頭光) 좌우에는 판관(判官), 사자(使者), 우두(牛頭)·마두(馬頭) 포졸, 선악 동자가 표현되어 있다.

[특징]

「천장사 인법당 지장시왕도」는 약효(若效)와 문성(文成)[혹은 文性]이 조성한 불화로, 이들은 앞선 1893년 「호국지장사 지장시왕도」를 조성한 바 있다. 「호국지장사 지장시왕도」에서 수화승이 주도한 불사로 화승 중에는 경기도 화승도 참여하였다. 「천장사 인법당 지장시왕도」는 「호국지장사 지장시왕도」의 기본 구성을 따르면서 존상을 보다 간략하게 표현하였다. 두 지장시왕도에서 시왕의 배치를 비교해 보면 왼쪽에 1, 3, 5, 7, 9대왕을, 오른쪽에 2, 4, 6, 8, 10대왕을 배치한 것으로 판단되지만 「천장사 인법당 지장시왕도」에서는 면류관 위에 경전을 올린 제5염라대왕과 깃털 투구를 쓴 제10오도전륜대왕이 왼쪽에 모여 혼재 양상이 나타난다.

[의의와 평가]

금호당 약효가 조성한 불화는 현재 100점이 전하고 있다. 이 가운데 주제면에서 살펴보면, 삼세불도, 신중도, 치성광여래도, 독성도, 산신도 등이 많이 전해지고 지장시왕도는 「호국지장사 지장시왕도」와 「천장사 인법당 지장시왕도」만이 전할 뿐이다. 「호국지장사 지장시왕도」는 약효가 경기도 화승과 함께 제작한 불화로 약효가 경기도 화풍을 수용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예라면, 「천장사 인법당 지장시왕도」는 약효가 그의 대표적인 제자 문성과 화풍을 조화시켜 완성한 불화라 할 수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