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언론·출판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100050
한자 言論出版
분야 문화·교육/언론·출판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개관)
지역 충청남도 서산시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정재윤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특기 사항 시기/일시 1989년연표보기 - 『충서신보』창간
특기 사항 시기/일시 1993년연표보기 - 『충서신보』폐간
특기 사항 시기/일시 2005년 6월 - 『서산타임즈』의 『서령신문』인수
특기 사항 시기/일시 2005년 10월연표보기 - 『서산타임즈』 인터넷 홈페이지 개설
특기 사항 시기/일시 2010년 8월연표보기 - 『서산인터넷뉴스』는 IPTV KT QookTV (주)내고향TV 서산방송 개국
특기 사항 시기/일시 1968년 - 트랜지스터의 증가로 라디오 방송 전성기
특기 사항 시기/일시 1960년 - 흑백TV 들어옴
특기 사항 시기/일시 1972년 - 새마을 운동을 통해 전기가 면단위까지 가설되면서 TV 수상기가 증가
특기 사항 시기/일시 1983년 8월 1일연표보기 - KBS 서산사업소 개설
특기 사항 시기/일시 1995년 5월 1일연표보기 - KBS 서산사업소 폐소
특기 사항 시기/일시 2003년연표보기 - TJB서산방송센터 개국
특기 사항 시기/일시 2004년연표보기 - TJB서산방송센터가 TJB서산방송본부으로 승격
특기 사항 시기/일시 1926년연표보기 - 『서산군지』발간
특기 사항 시기/일시 1957년 - 서산문화원 창립
특기 사항 시기/일시 1987년연표보기 - 『서산민속지』발간
특기 사항 시기/일시 1991년연표보기 - 『서산태안문화유적』발간

[정의]

충청남도 서산시에서 이루어지는 언론 활동과 출판 활동의 총칭.

[신문]

서산 지역에서 2011년 현재 발행되는 지역 신문으로는 『서산신문』, 『서산타임즈』, 『내포시대』, 『서산뉴스』, 『서산인터넷뉴스』, 『서산교차로』, 『서산벼룩시장』 등이 있다. 이 외에 서산시청에서 매월 1회 발간하는 『서산시보』와 서산문화원에서 월간으로 발행하는 『스산의 숨결』 등이 있다.

서산에서 최초로 창간된 지역 신문은 1989년 김현구(金顯龜) 등이 설립한 『충서신보』이나 1993년 폐간되었다. 그 밖에 공동체의 일환으로 600여 주주를 모아 설립했던 『새너울신문』과 이의형 등 젊은 청년 언론인들에 의해 설립된 『서령신문』 등이 존재했으나 지금은 폐간되었다. 『서령신문』은 현재 『서산타임즈』에 의해 2005년 6월 인수되어 명맥을 이어가고 있다.

『서산신문』, 『서산타임즈』, 『내포시대』는 주간 신문이며, 『내포시대』, 『서산뉴스』, 『서산인터넷뉴스』는 인터넷 신문이다. 『서산교차로』, 『서산벼룩시장』은 지역 생활 정보를 제공하는 일간 신문이다. 『서산타임즈』가 2005년 10월 인터넷에 홈페이지를 개설하여 정보를 제공하기 시작한 이후로 지역 신문들이 점차 인터넷을 통해 지역적 한계를 극복하고, 정보 전달의 효율성 및 접근성을 높여가고 있다. 『서산인터넷뉴스』는 2010년 8월부터 IPTV KT QookTV (주)내고향TV 서산방송을 개국하여 운영하고 있어 신문 분야에서 방송 분야를 아우르는 정보 매체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방송]

서산 지역에서는 1920년대 후반 라디오가 들어왔으나, 1968년 말에야 트랜지스터의 증가로 라디오 방송이 전성기를 맞이할 수 있었다. 흑백 TV는 1960년대 중반 경 들어온 것으로 생각되며 1972년 새마을 운동을 통해 전기가 면 단위까지 가설되면서 TV 수상기가 증가하기 시작하였다.

KBS 및 MBC, TJB대전방송은 서산 원효봉에 중계소를 설치하여 방송을 제공하고 있다. KBS는 1983년 8월 1일 서산에 사업소를 개설하였으나, 1995년 TJB대전방송의 개국에 따라 5월 1일 폐소하였다. 2003년 TJB서산방송센터를 설립하였으며 2004년 TJB대전방송 서산방송본부로 승격하여 지금에 이르고 있다.

CJ헬로에서도 대산중계유선방송과 운산유선방송을 인수하여 현재 서산 지역에 방송을 제공하고 있으며, 인터넷의 발달에 따라 인터넷을 통한 방송이 증가하는 추세로 서산시청에서는 ‘인터넷 수능 방송’을 제공하고 있으며, 『서산인터넷뉴스』는 IPTV KT QookTV (주)내고향TV 서산방송을 개국하여 운영하고 있다. 그 밖에 서산교회가 홈페이지를 통해 교회 예배를 인터넷 방송으로 제공하고 있다.

[출판]

서산 지역에서 기록상 확인되는 최초의 출판사 또는 인쇄소는 서산시 읍내동 237번지에 자리하고 있던 서산중앙인쇄소로 1926년 『서산군지』를 발행하기도 하였다. 1945년 이후에는 서산인쇄소와 문화인쇄소가 서산 지역의 인쇄 및 출판을 담당했으나, 상세한 내용은 자료가 부족하여 알 수 없다. 2010년 서산시 『통계연보』에 따르면 서적 출판업이 3개 사업체에 8명이 종사하고 있으며, 인쇄업은 33개 사업체에 70명이 종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쇄 관련 사업은 1개 사업체에 4명이 종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출판물]

서산 지역에서는 조선 시대부터 각종 책들이 인쇄 출판되었다. 주로 보원사·개심사·강당사 등의 사찰에서 불경들이 발행되었는데 1577년(선조 10) 서산 보원사에서 발간된 『묘법연화경(妙法蓮華經)』, 1579년(선조 12) 서산 보원사 발간의 『달마대사혈맥론(達磨大師血脈論)』, 1580년(선조 13) 서산 보원사 발간의 『도가논변모자이혹론(道家論辯牟子理惑論)』, 1580년 서산 개심사 발간의 『도가논변모자이혹론』, 1581년(선조 14) 서산 강당사 발간 『천지명양수륙잡문(天地冥陽水陸雜文)』, 1584년(선조 17) 개심사 발간 『몽산화상육도보설(蒙山和尙六道普說)』, 1584년 개심사 발간 『묘법연화경』, 1604년(선조 37) 서산 강당사 발간 『오대진언수구경(五大眞言隨求經)』 등이 널리 알려져 있다.

이 밖에도 1619년(광해군 11) 편찬된 사찬 읍지인 『호산록(湖山錄)』이 존재하며, 향토지로는 이후 1926년 발간된 『서산군지』, 1982년 발간된 『서산군지』, 1998년 발간된 『서산시지』가 있다. 읍지와 면지로는 『음암면지』, 『지곡면지』, 『고북면지』가 발간되었다. 서산시청에서는 행정적 필요에 의해서 『통계연보』, 『시정백서』 등을 발간하고 있으며, 이를 홈페이지를 통해 제공하고 있다.

전통 교육 기관에서 발간된 책으로는 서산향교에 전적류 판본 15종 80여 책이 전해지고 있으며, 해미향교에도 전적류 판본 16종 81책, 사본 3종 7책을 소장하고 있다. 송곡서원에서는 배향 인물들의 행적 등을 기록한 「행장록」 및 1796년(정조 21) 2월부터 서원에 방문한 사람의 명단을 기록한 「심원록」 등을 소장하고 있으며, 성암서원에서는 1966년 『성암서원지(聖巖書院誌)』, 『학주집(鶴洲集)』 등의 관련 자료를 발행하여 소장하고 있다. 18세기에 활약했던 오청취당(吳淸翠堂)『청취당집(淸翠堂集)』, 20세기 후반까지 활동한 문인이자 선비인 이석태(李錫泰)『소매고(小梅考)』 등도 서산의 중요한 출판물이라고 할 수 있다.

현대에 들어와서는 서산 출신의 문인들이 다양한 작품을 내놓고 있으며, 1963년 이생진과 윤덕구(尹德九)가 만든 2인 동인지 『문(門)』과 1964년 윤덕구, 송종학(宋鐘學)을 중심으로 만든 『황인부락(黃人部落)』은 서산 지역의 문학이 발전하는 계기를 만들었다고 평가받고 있다. 현재 서산에서는 흙빛문학회, 서산문학회, 한국문인협회 서산지부, 서산여성문학회, 지곡문학회, 갯벌문학회, 마삼말쌈 등의 문학회가 문예지를 발간하고 있다. 1957년 창립된 서산문화원에서는 서산문화원지인 『스산의 숨결』을 비롯하여 『서산민속지』[1987], 『서산태안문화유적』[1991] 등 서산과 관련된 여러 출판물을 발간하고 있다.

[서산 출신 언론인]

서산 지역 출신의 언론인으로는 이종린(李鐘麟), 민태원(閔泰瑗), 이한용(李漢鎔), 이지풍(李之渢), 안영진(安榮眞), 유인석, 변웅전, 김형민 등이 있다. 이종린은 1883년 2월 12일 서산시 지곡면 화천리에서 출생하였다. 성균관 박사를 지냈으며, 『대한일보』 주필과 『독립신문』 발행인, 『개벽』지 사장, 전조선 기자 대회 위원장 등을 역임하였다.

민태원은 1894년 2월 28일 서산시 장동에서 출생하였다. 『매일신보』 기자, 『동아일보』 사회·정치부장, 『조선일보』·『중외일보』 편집국장 등을 지냈으며 1934년 6월 20일 타계하였다. 이한용서산시 해미면 양림리에서 출생하였으며 『매일신보』·『서울신문』·『민주일보』 기자, 『서울신문』의 정치부장·사회부장, 『평화신문』 이사 겸 편집국장, 『국도신문』 편집국장, 『중도일보』 주필 겸 편집국장, 한국신문윤리위원회 심의실장, 한국신문윤리위원회 사무국장, 대한언론인 부회장 등을 역임하였다. 1885년 8월 8일 타계하였다.

이지풍은 1929년 10월 21일 서산시 부석면 가사리에서 출생하였다. 『중도일보』의 기자, 충청남도청 출입 기자, 사회부장, 충청남도청 출입 기자 단장, 편집국장, 상무 등을 역임하였다. 안영진은 1930년 12월 12일 서산시 성연면 왕정리에서 출생하였으며 『대전일보』의 논설실장과 편집국장, 『중도일보』의 편집국장·주필·전무이사·논설 고문을 지냈다. 전국 지방지 편집국장 회장을 역임하기도 하였다.

유인석은 1939년 10월 25일 서산시 인지면 성리에서 출생하였다. 『경향신문』 지방 기자, 사회부차장, 충청남도청 출입 기자 단장 등을 지냈다. 변웅전은 1940년 10월 15일 서산시 읍내동에서 출생하였다. 1964년 KBS에 아나운서로 입사하였으며 1969년부터 1986년까지 방송실장을 지냈다. 「유쾌한 청백전」을 진행하면서 유명해졌다. 김형민은 1956년 6월 2일 서산시 수석동에서 출생하였다. 1984년 MBC에 기자로 입사했으며, 1991년 SBS로 옮겨 정치부에서 근무하였다. 1992년 프랑스 특파원, 1996년 2월부터는 20시 뉴스 진행자로 활약하기도 하였다.

[참고문헌]
  • 이민영 편, 『서산군지』(중앙인쇄소, 1927)
  • 『서산군지』(서산군지편찬위원회, 1982)
  • 『서산시지』(서산시지편찬위원회, 1998)
  • 『음암면지』(음암면지편찬위원회, 2004)
  • 『지곡면지』(지곡면지편찬위원회, 2008)
  • 『고북면지』(고북면지발간추진위원회, 2009)
  • 『통계연보』(서산시, 2010)
  • 서산문화원(http://seosan.cult21.or.kr/)
  • 서산시청(http://www.seosan.go.kr/)
  • 대전MBC(http://www.tjmbc.co.kr/)
  • KBS대전방송총국(http://daejeon.kbs.co.kr/)
  • CJ헬로(http://cj.catvnet.net/)
  • 서산교회(http://www.ss-ch,net/)
  • 서산인터넷수능방송(http://edu.seosan.go.kr/)
  • 서산타임즈(http://www.seosantimes.com/)
  • 서산교차로(http://www.ohyou.net/)
  • 서산벼룩시장(http://www.seosan.paper.findall/)
  • 내포시대(http://www.npnews.co.kr/)
  • 서산인터넷뉴스(http://www.ssinews.co.kr/)
  • 서산뉴스(http://www.seosannews.com/)
[수정이력]
콘텐츠 수정이력
수정일 제목 내용
2018.02.12 [방송] 일부 수정 CJ헬로비전 -> CJ헬로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