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동여』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3100300
한자 東輿
영어음역 Dongyeo
분야 지리/인문 지리,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기록 유산
유형 문헌/문서
지역 경기도 광명시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이동인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고지도
발급일시 19세기 전반
소장처 국립중앙박물관
소장처 주소 서울특별시 용산구 용산동 6가 168-6[서빙고로 137]

[정의]

19세기 전반 광명 지역이 시흥으로 표기된 전국 고지도.

[개설]

『동여(東輿)』의 제작 시기는 함경도의 후주부(厚州府)가 처음 설치된 1822년(순조 22) 이후, 장진부(長津府)가 첨사진(僉使鎭)으로 변경되는 1843년(헌종 9) 이전으로 추정된다. 각각의 첩은 『대동여지도(大東輿地圖)』와 같이 절첩장(折帖裝)으로 만들어졌다. 전체적인 지도의 윤곽으로 볼 때 정상기(鄭尙驥)의 『동국대전도(東國大全圖)』 계열에서 발전된 지도로 보인다.

[형태]

14첩으로 이루어진 매우 희귀한 형태의 채색 필사본으로, 크기는 가로 41.2㎝, 세로 26.8㎝이다.

[구성/내용]

군현의 경계를 노란 점선으로 그렸고, 행정 지명은 면 단위까지 표시하였다. 산지의 표현은 산줄기를 강조한 연맥식(連脈式) 기법으로 되어 있고, 월경지(越境地)의 표시도 상세하며, 역원(驛院)·진보(鎭堡)·창고(倉庫)·봉수(烽燧)·목장(牧場) 등의 항목이 기호로 표기되어 있다.

광명 지역의 경우 옛 이름인 시흥으로 되어 있는데, 주변의 지리 정보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서면, 동면, 상북면, 하북면, 남면 등의 행정 지명은 검은색 점으로 표기하였다. 금지산은 금주산(衿州山)으로 표기하였고, 역으로는 반유역이 표기되어 있으며, 다리와 역으로는 기탄교(歧灘橋)와 안양역이 표기되었다. 한강을 건너 노량에서 비롯된 도로가 하북면에서 갈라져 하나는 기탄교를 넘어 인천으로 연결되어 있고, 다른 하나는 읍치로 연결되고, 다시 여기서 안양교를 지나 사근평(肆覲坪)과 연결된다.

광명의 주요 산인 도덕산구름산은 거의 묘사되어 있지 않고, 중림역(重林驛)과 함께 도리현(道里峴)이 표기되어 있는데, 도리현은 현 시흥시 도리산(桃李山)의 도리재를 지칭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서면 아래 수리산(修理山) 위쪽으로 화산(花山)이 표기되어 있으나 현재 지명은 확인하기 어렵다.

[의의와 평가]

『동여』는 『대동여지도』로 이어지는 과도기적 단계의 지도로서, 19세기 대축척 전도의 흐름을 파악하는 데 중요한 자료로 평가된다. 아울러 19세기 전반 광명 지역의 주변 지리 정보를 이해할 수 있는 지도이기도 하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