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항목 ID GC09000826
한자 趙聖復
영어공식명칭 Jo Seongbok
이칭/별칭 사극(士克),퇴수재(退修齋),충간(忠簡)
분야 역사/전통 시대
유형 인물/문무 관인
지역 충청남도 부여군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이근호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출생 시기/일시 1681년연표보기 - 조성복 출생
활동 시기/일시 1702년 - 조성복 별시 문과 급제
활동 시기/일시 1704년 - 조성복 의정부사록 역임
활동 시기/일시 1707년 - 조성복 사헌부감찰·예조좌랑 역임
활동 시기/일시 1708년 - 조성복 병조좌랑 역임
활동 시기/일시 1710년 - 조성복 사헌부지평 역임
활동 시기/일시 1720년 - 조성복 사헌부집의 역임
활동 시기/일시 1721년 - 조성복 대리청정을 주장하다 제주도에 유배
몰년 시기/일시 1723년연표보기 - 조성복 사망
추모 시기/일시 1741년 - 조성복 복관
추모 시기/일시 1781년 - 조성복 이조판서에 추증
추모 시기/일시 1781년 - 조성복 충간(忠簡) 시호를 받음
출생지 임천 - 충청남도 부여군 임천면 지도보기
유배|이배지 정의현 -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묘소|단소 조성복 묘소 - 충청남도 공주시 정안면 월산리 산49
성격 문신
성별 남성
본관 풍양(豊壤)
대표 관직 사헌부집의

[정의]

조선 후기 부여 출신의 문신.

[가계]

조성복(趙聖復)[1681~1723]의 본관은 풍양(豊壤)이며, 자는 사극(士克), 호는 퇴수재(退修齋)이다. 증조할아버지는 목사 조박(趙璞)이고, 할아버지는 금구현령 조견소(趙見素)이다. 아버지는 조시채(趙始采)이고, 어머니는 최득일(崔得一)의 딸이다. 부인은 변세구(邊世耉)의 딸 황창 변씨(黃昌 邊氏)이다.

[활동 사항]

조성복은 1681년(숙종 7) 부여 임천[현 충청남도 부여군 임천면] 반산촌(盤山村)에서 태어났다. 1702년 별시 문과에 급제한 뒤 승정원가주서와 승문원부정자를 거쳐 1704년 의정부사록이 되었고, 1707년 사헌부감찰을 지냈다. 1707년 예조좌랑이 되었고, 1708년에는 병조좌랑을 지낸 뒤 만경현령으로 부임하였다. 1710년 이후 사헌부지평과 병조정랑, 사간원정언, 사헌부장령, 세자시강원필선 등을 역임하였다. 1720년(경종 즉위년) 8월에 사헌부집의로서 신중한 수령 차출과 백성들의 조세 탕감 등을 요구하는 상소를 제출하였고, 1721년 1월에는 양역(良役)의 폐단을 시정하기 위한 방안을 내용으로 하는 상소를 제출하였다.

1721년 조성복은 왕세제로 책봉된 연잉군(延礽君)의 대리청정을 요구하는 상소를 올려 경종(景宗)의 승낙을 받았으나, 임금을 능멸하였다는 소론의 공격을 받아 의금부에서 국문을 당하고 제주도 정의현에 위리안치되었다. 연잉군의 대리청정 문제는 신임사화가 일어나는 계기가 되었고, 조성복은 1723년에 다시 소환되어 국문을 받다가 4월에 옥중에서 자결하였다.

[묘소]

조성복의 묘소는 충청남도 공주시 정안면 월산리 산49에 있다.

[상훈과 추모]

조성복은 1725년(영조 1) 관작을 회복하였다가 1727년 소론계 좌의정 조태억(趙泰億)의 요청에 따라 추탈(追奪)되었으나, 1741년에 다시 관작을 회복하였다. 1781년(정조 5)에는 이조판서에 추증되고 충간(忠簡)이라는 시호를 하사받았다.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