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항목 ID GC09000336
한자 鴻山面
영어공식명칭 Hongsan-myeon
분야 지리/인문 지리
유형 지명/행정 지명과 마을
지역 충청남도 부여군 홍산면지도보기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양윤정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개설 시기/일시 1914년연표보기 - 충청남도 부여군 홍산면 개설
성격 법정면
면적 23.9㎢
가구수 1,507가구
인구[남/여] 2,734명[남 1,327명|여 1,407명]

[정의]

충청남도 부여군에 속하는 법정면.

[명칭 유래]

조선 시대 홍산군 지역으로, 1914년 행정 구역 개편 당시 조선 시대의 지명을 따라 홍산면(鴻山面)이라 하였다.

[형성 및 변천]

삼국 시대에 백제 대산현(大山縣)에 속한 지역이다. 통일 신라 시대에는 한산현(翰山縣)에, 고려 시대에는 홍산현(鴻山縣)에 속하였다. 조선 시대에는 홍산군 읍치 일대의 지역으로 『해동지도(海東地圖)』에 수록된 ‘홍산현 지도’와 『1872년 지방지도』 중 ‘홍산현 지도’에는 객사와 아사 등이 표시되어 있으며, 동북쪽에는 향교가 표시되어 있고, 현내면이라 하여 북촌과 좌촌 등 14개의 리를 관할하였다. 1895년(고종 32) 현내면을 군내면(郡內面)으로 개칭하였다. 1914년 행정 구역 개편에 따라 대야면(大也面)의 13개 동리와 상서면(上西面)의 2개 리, 상동면(上東面) 삼천리의 일부 지역을 병합하여 충청남도 부여군 홍산면으로 개설되었다.

[자연환경]

서쪽으로 차령산맥의 끝자락에 자리한 비홍산(飛鴻山)이 있다.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에 따르면 비홍산은 “현 서쪽 2리에 있는 진산이다”라고 기록되어 있다. 서쪽에는 홍산천(鴻山川)홍산면 토정리에서 발원하여 북촌리 금천으로 합류하며, 홍산천 동쪽으로는 교원천이 홍산면 상천리에서 발원하여 산천저수지를 지나 남면 대선리에서 금천으로 합류하고 있다.

[현황]

홍산면은 충청남도 부여군 서부에 있는 면으로 10개 법정리[북촌리, 남촌리, 홍양리, 좌홍리, 교원리, 토정리, 상천리, 정동리[홍산면], 무정리, 조현리]와 25개 행정리로 구성되어 있다. 홍산면행정복지센터는 북촌리에 있다. 동쪽으로 부여군 구룡면, 서쪽으로 부여군 옥산면, 남쪽으로 부여군 남면, 서북쪽으로 충청남도 보령시 미산면, 북쪽으로 부여군 내산면과 접하여 있다.

2023년 5월 현재 면적은 23.9㎢이며, 인구는 1,507가구, 2,734명[남자 1,327명, 여자 1,407명]이다. 홍산면의 주요 시설은 북촌리남촌리에 있다. 홍산면행정복지센터, 충남부여경찰서 홍산파출소, 홍산공공도서관을 비롯하여 다수의 금융 기관과 종교 시설 등이 있다. 교육 기관으로는 홍산초등학교, 한국식품마이스터고등학교가 있다.

홍산면의 남쪽은 금천 범람원 지대로 벼농사와 함께 친환경 딸기, 토마토, 인삼 등이 재배되고 있다. 한편, 1980년대 들어 비홍산천보산, 천덕산 일원에 탄광이 개발되어 1990년대 초까지 채탄되었으나 1994~1995년 정부의 탄광 합리화 조치로 인하여 폐광되었다. 금광으로는 토정리 산5번지, 상천리 산104-1번지에 광구가 있었으나 현재 폐광되었다.

홍산면은 고속도로와 국도, 지방도가 교차하는 교통의 요지이다. 서천공주고속도로홍산면의 동쪽에서 지나가며, 서부여IC가 있고, 동서로 서천~부여를 잇는 국도 제4호가 가로지르고 있다. 남북으로는 서천~부여를 잇는 지방도 제613호가 종단하고 있으며, 남촌리에서 국도 제4호와 교차하면서 지방도 제611호와 분기한다.

문화유산으로는 홍산만덕교비(鴻山萬德橋碑)[충청남도 기념물]를 비롯하여 홍산객사[충청남도 유형문화유산], 태봉산 최영 장군 대첩비 등이 있으며 이외에도 부여홍양리오층석탑[충청남도 유형문화유산], 홍산향교[충청남도 기념물]와 김시습·김효종을 배향한 사우인 청일사(淸逸祠)[충청남도 문화유산자료] 등이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