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항목 ID GC09000291
한자 林川面
영어공식명칭 Imcheon-myeon
분야 지리/인문 지리
유형 지명/행정 지명과 마을
지역 충청남도 부여군 임천면지도보기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강전영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개설 시기/일시 1914년연표보기 - 충청남도 부여군 임천면 개설
성격 법정면
면적 43.11㎢
가구수 1,569가구
인구[남/여] 2,732명[남 1,357명|여 1,375명]

[정의]

충청남도 부여군에 속하는 법정면.

[명칭 유래]

북부에 산지가 형성되고 있고, 남쪽에는 금강의 분류에 접하여 있기 때문에 물이 좋고 산림이 아름다워 임천(林川)이라고 부른 데서 임천면(林川面) 이름이 유래되었다고 한다.

[형성 및 변천]

삼국 시대에는 백제 가림군(加林郡) 지역이었다. 통일 신라 시대는 가림군(嘉林郡)에, 고려 시대는 가림현(嘉林縣) 지역에 속하였다. 조선 시대에는 임천군(林川郡) 소재지로 읍내면이라 하여 군사(郡司)·석사(石沙)·관음(觀音)·옥북(玉北) 등 17개 리를 관할하였다. 1914년 행정 구역 개편에 따라 지서면(紙西面)의 옥곡(玉谷), 남당(南塘), 달산(達山), 초일(樵逸), 탑리(塔里) 등 15개 동리와 성백면(城白面)의 점리(店里), 대적면(大積面) 왕동리(旺洞里) 일부를 병합하여 충청남도 부여군 임천면으로 개설되었다.

[자연환경]

북쪽으로는 성흥산, 서쪽으로는 무제산이 있으며, 성흥산무제산으로부터 약 100m 정도가 되는 구릉성 산지가 이루어지고 있다. 임천면의 남북 방향으로는 임천천이 흐르고 있는데, 임천천 천변에는 범람원이 발달해 있다. 임천천의 하류부는 금강의 본류와 합류하고 있으며, 넓은 충적 평야가 발달해 있다.

[현황]

임천면은 충청남도 부여군의 남부에 있는 읍이며, 동쪽으로 세도면, 서쪽으로 충화면, 북으로는 장암면과 접하여 있으며, 남쪽으로는 금강 너머 전라북도 익산시 성당면·웅포면·용안면이 있다. 11개 법정리[군사리, 구교리, 두곡리, 칠산리, 비정리, 탑산리, 가신리, 옥곡리, 발산리, 만사리, 점리]와 33개 행정리로 구성되어 있다.

2023년 5월 현재 면적은 43.11㎢이며, 인구는 1,569가구, 2,732명[남자 1,357명, 여자 1,375명]의 주민이 거주하고 있다. 세대당 인구는 1.78명으로 부여군의 읍면동 수준에서 세대당 인구는 낮은 편에 속한다. 임천면의 주요 시설로 칠산리에 면적 17㎢의 임천산업단지가 있으며, 교육 시설로 부여전자고등학교가 있다. 한편, 부여보광사지 주변에 금광이 있었으나 지금은 폐장되었다.

남쪽에서 흐르는 금강임천면 중앙을 남북 방향으로 흐르는 임천천으로 인하여 유량이 풍부하고, 토지가 비옥하다. 이러한 자연환경 덕분에 임천면은 부여군 내에서 미곡과 맥류 생산량이 가장 높은 지역이다. 2020년 12월 현재 부여군 전체 생산량의 9.30%를 차지한다.

교통로는 국도 제29호[충절로]가 남북 방향으로 지나가며, 지방도 제611호[남성로, 위덕로]가 북쪽에 지나간다. 또한 지방도 제68호[부흥로]가 임천면의 남쪽을 동서 방향으로 지나가고 있다. 주요 문화유산으로는 부여가림성[사적], 대조사, 부여보광사지[충청남도 기념물], 임천향교[충청남도 기념물], 퇴수서원[충청남도 문화유산자료], 칠산서원[충청남도 문화유산자료]이 있다. 또한 매년 4월에는 성흥산성충혼사(忠魂祠)에서 임천 충혼제를 지내고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