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항목 ID GC09000204
한자 內山面
영어공식명칭 Naesan-myeon
분야 지리/인문 지리
유형 지명/행정 지명과 마을
지역 충청남도 부여군 내산면지도보기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김지영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개설 시기/일시 1914년연표보기 - 충청남도 부여군 내산면 개설
성격 법정면
면적 40.45㎢
가구수 833가구
인구[남/여] 1,500명[남 755명|여 745명]

[정의]

충청남도 부여군에 속하는 법정면.

[명칭 유래]

성주산, 만수산, 아미산, 월명산의 안쪽에 있다고 하여 산내면(山內面)이라 불리었다가, 중간에 외산내면(外山內面)과 내산내면(內山內面)으로 바뀌어 불린 데서 내산면(內山面)이라는 이름이 유래되었다고 한다.

[형성 및 변천]

삼국 시대에 백제 대산현(大山縣)에 속하였다. 통일 신라 시대에는 한산현(翰山縣)에, 고려 시대에는 홍산현(鴻山縣)에 속하였다. 조선 시대에는 홍산현 지역으로 성주산, 아미산, 월명산 안쪽에 있다고 하여 산내면(山內面)이라 하였다. 조선 후기 내산내면(內山內面) 지역이었으며, 문헌에 따라 내북면(內北面), 내산면(內山面) 등으로 표기되어 있다. 1895년 지방 관제 개정에 따라 홍산군 내산내면으로 서운(棲雲)·금지(金池)·숙동(塾洞)·녹간(鹿磵)·저동(苧洞)·미암(米岩)·지우(地隅)·해티(蟹峙)·온수(溫首)·마전(麻田)·지티(芝峙)·산소(山所)·괴목(槐木)·가덕(佳德)·손사(巽沙)·손대(巽垈)·판교(板橋), 고갈(高渴), 내대(內垈) 등 19개 리를 관할하였다.

1914년 행정 구역 개편에 따라 가덕·손사·손대·판교·고갈·내대 등 6개 리는 외산면에 편입되고, 대야면의 율티·만자·산저·묘현·신기·늑동·무량·안티·죽림·서운의 10개 리와 해안면의 용암·대리의 2개 동리가 병합되어 충청남도 부여군 내산면으로 개설되었다.

[자연환경]

내산면을 포함한 부여군의 서북부 산지 지역은 차령산맥 내지 차령산맥 말단부에 해당하는 곳이다. 대체로 북쪽의 새재고개를 중심으로 서남쪽으로 뻗은 능선과 동남쪽으로 뻗은 산능선에 의하여 동쪽과 서쪽이 막혀 있으며, 남쪽도 산지에 의하여 막혀 있다. 내산면 중앙에는 구룡천이 흐르는데 하천을 따라 좁은 하곡 평야가 구룡면 쪽으로 연결되어 있다. 새재고개-월하산-지티고개-월명산으로 이어지는 서쪽 능선은 외산면과 경계를 이루고, 새재고개-축융봉으로 이어지는 동쪽 능선은 은산면·구룡면과 경계를 이룬다.

[현황]

내산면은 충청남도 부여군 서부에 있는 법정면으로, 10개 법정리[천보리, 묘원리, 율암리, 운치리, 주암리, 저동리, 마전리, 온해리, 지티리, 금지리]와 24개 행정리로 구성되어 있다. 동쪽으로 은산면, 서쪽으로 보령시 미산면, 남쪽으로 홍산면구룡면, 북쪽으로 외산면과 접하여 있다. 내산면 행정복지센터는 운치리에 있다.

2023년 5월 현재 면적은 40.45㎢이며, 인구는 833가구, 1,500명[남자 755명, 여자 745명]이다. 교통로는 내산면 동남쪽에 서천공주고속도로가 지나며 국도 제40호가 구룡천을 따라 내산면을 관통한다. 국도 제40호는 지티리에서 지방도 제613호로 분기한다. 내산면의 주요 기관으로는 내산면 행정복지센터, 부여경찰서 홍산지구대, 내산우체국, 내산농업협동조합 등이 있으며, 교육 기관으로는 내산초등학교가 있다.

토지 이용을 살펴보면, 총 면적 4050만 2687㎡에 전 187만 4243㎡[4.6%], 답 517만 7532㎡[12.8%], 과수원 15만 2762㎡[0.4%] 목장 용지 10만 41231㎡[0.3%], 임야 2947만 5698㎡[72.8%], 대지 65만 4277㎡[1.6%], 공장 용지 9만 2613㎡[0.2%], 학교 용지 1만 6094㎡[0.04%], 주차장 1,185㎡, 주유소 용지 1,249㎡, 창고 용지 3만 8452㎡[0.1%], 도로 94만 5223㎡[2.3%], 하천 53만 4895㎡[1.3%], 제방 7만 9815㎡[0.2%], 구거 103만 8210㎡[2.6%], 유지 4만 9600㎡[0.12%], 종교 용지 1만 7848㎡, 묘지 10만 5590㎡[0.3%], 잡종지 14만 3280㎡[0.4%] 등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임야가 내산면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이러한 자연환경으로 수도작 농업보다는 주로 산지의 밤나무 재배가 이루어지고 있다.

내산면의 주요 문화 유적으로는 내산 윤집 묘 및 신도비[부여군 향토문화유산 제50호], 부여 저동리 쌀바위[충청남도 기념물], 도앙골 성지, 부여 주암리 은행나무[천연기념물] 등이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