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렉토리분류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9000880
한자 李之禮
영어공식명칭 Lee Jirye
이칭/별칭 만혜(漫兮)
분야 역사/전통 시대
유형 인물/의병·독립운동가
지역 충청남도 부여군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이행묵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출생 시기/일시 1545년연표보기 - 이지례 출생
활동 시기/일시 1592년 - 이지례 용인전투 참전
몰년 시기/일시 1592년연표보기 - 이지례 사망
추모 시기/일시 1797년 - 이지례 병조판서에 추증
추모 시기/일시 1864년 - 이지례 신도비 건립
출생지 부여 - 충청남도 부여군
활동지 용인 - 경기도 용인시
성격 무신
성별 남성

[정의]

조선 후기 부여 출신의 무신.

[가계]

이지례(李之禮)[1545~1592]의 본관은 단양이며, 자(字)는 만혜(漫兮)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사헌부집의 이맹지(李孟智)이고, 할아버지는 사헌부장령 이겸(李謙)이다. 아버지는 이문호(李文虎)이고, 어머니는 태원 선우씨(太原 鮮于氏)이다.

[활동 사항]

이지례는 1545년(명종 즉위년) 부여에서 태어나 무과에 급제하였다. 1592년(선조 25)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선조(宣祖)를 평양까지 호종하였고, 이후 나주목사 이경록(李慶祿)의 조방장인 형 이지시(李之時)와 함께 호군으로서 용인(龍仁) 전투에 참전하였다. 전라도관찰사 이광(李洸), 경상도관찰사 김수(金睟), 충청도관찰사 윤선각(尹先覺) 휘하의 8만 명에 이르는 병력은 야음을 틈타 기습한 1,600여 명의 왜군에게 크게 패하였고, 이지례는 병사들을 독려하며 앞장서서 싸우다가 형 이지시와 함께 장렬히 전사하였다.

[상훈과 추모]

이지례는 사망한 뒤 선무공신에 녹훈되고 병조참판으로 추증되었고, 1797년(정조 21)에는 병조판서에 증직되었다. 이지례는 형 이지시와 함께 부여군 남면 내곡리 115-10동절사(同節祠)에 배향되어 있다. 동절사 앞에는 1864년(고종 1)에 건립된 이지례 신도비가 있다.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