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렉토리분류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9000832
한자 黃一皓
영어공식명칭 Hwang Ilho
이칭/별칭 익취(翼就),지소(芝所),충렬(忠烈)
분야 역사/전통 시대
유형 인물/문무 관인
지역 충청남도 부여군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이근호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출생 시기/일시 1588년연표보기 - 황일호 출생
활동 시기/일시 1624년 - 황일호 운봉현감 역임
활동 시기/일시 1635년 - 황일호 증광시 문과 급제
활동 시기/일시 1636년 - 황일호 사헌부장령 역임
활동 시기/일시 1637년 - 황일호 진주목사 제수
활동 시기/일시 1638년 - 황일호 의주부윤 부임
몰년 시기/일시 1641년연표보기 - 황일호 사망
추모 시기/일시 1711년 - 황일호 충렬(忠烈) 시호를 받음
부임|활동지 진주 - 경상남도 진주시
부임|활동지 의주 - 북한 평안북도 의주군
묘소|단소 황일호 묘소 - 충청남도 부여군 부여읍 가증리 산3 지도보기
사당|배향지 충렬사 - 인천광역시 강화군 선원면 충렬사로 232[선행리 371]
사당|배향지 부여 의열사 - 충청남도 부여군 부여읍 의열로29번길 11-33[동남리 산3]지도보기
성격 문신
성별 남성
본관 창원(昌原)
대표 관직 의주부윤

[정의]

조선 후기 부여 출신의 문신.

[가계]

황일호(黃一皓)[1588~1641]의 본관은 창원(昌原)이며, 자는 익취(翼就), 호는 지소(芝所)이다. 증조할아버지는 별제 황원(黃瑗)이고, 할아버지는 정랑 황대수(黃大受)이다. 아버지는 황척(黃惕)이며, 어머니는 강백룡(姜伯龍)의 딸 진주 강씨(晉州 姜氏)이다. 큰아버지 황신(黃愼)에게 입양되었으며, 양어머니는 원천군(原川君) 이휘(李徽)의 딸 전주 이씨(全州 李氏)이다. 첫 번째 부인은 안중묵(安重默)의 딸 죽산 안씨(竹山 安氏)이고, 두 번째 부인은 이언경(李彦慶)의 딸 신평 이씨(新平李氏), 세 번째 부인은 이광후(李光後)의 딸 전주 이씨(全州 李氏)이다. 아들은 황윤(黃玧)이다.

[활동 사항]

황일호는 1588년(선조 21)에 태어나 음서로 관직에 진출하였다. 운봉현감으로 재직 중이던 1624년(인조 2) 이괄(李适)의 난이 일어나자 전라도관찰사에게 요청하여 군사 700명을 이끌고 북상하다가 전라도 서쪽에서 인조(仁祖)를 알현하였다. 이후 공조좌랑을 거쳐 전주판관에 제수되었고, 1627년 정묘호란이 발발하였을 때에는 분조를 맡아 남하한 소현세자(昭顯世子)를 보필하였다.

황일호는 1635년 증광시 문과에 병과로 급제한 뒤 춘추관기주관을 거쳐 세자시강원문학이 되었다. 사헌부장령으로 있던 1636년 12월 병자호란이 일어나자 인조를 호종하고 남한산성에 들어가 청나라에 맞서 싸웠으며, 1637년 1월 청나라에 보내는 국서(國書)에 신(臣) 자를 쓰는 것에 반대하는 등 척화(斥和)의 입장을 보였다. 병자호란 이후 진주목사에 제수되었으며, 1638년 의주부윤으로 부임하였다.

황일호는 의주부윤으로 재직하며 의주 사람 최효일(崔孝一)과 가깝게 지냈는데, 최효일이 가족과 함께 명나라로 망명하자 역관 정명수(鄭命壽) 등이 나서서 황일호가 최효일을 통하여 명나라와 내통한다며 거짓으로 청나라에 고변하였다. 이후 청나라에서는 용골대(龍骨大)를 사신으로 보내어 황일호의 처벌을 강하게 요구하였고, 황일호는 조선 조정의 구호 노력에도 불구하고 체포되어 모진 심문을 당한 뒤 1641년 11월 9일 처형당하였다.

[묘소]

황일호의 묘소는 부여읍 가증리 산3에 있다. 묘역 아래에는 신도비가 있다.

[상훈과 추모]

1709년(숙종 35) 7월 조태구(趙泰耈)가 황일호에게 시호를 내릴 것을 요청하였고, 1711년 6월 조정에서는 충렬(忠烈)이라는 시호를 내렸다. 황일호는 강화 충렬사(忠烈祠), 부여 의열사(義烈祠), 운봉 용암서원(龍巖書院), 의주 백마산성사(白馬山城祠)에 배향되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