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렉토리분류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9000679
한자 庾黔弼將軍 祠堂
영어공식명칭 Shrine of general' Yu, Geum-pil
이칭/별칭 유장군당
분야 역사/전통 시대
유형 유적/건물
지역 충청남도 부여군 임천면 군사리 산1-1
시대 고려/고려 전기
집필자 정선용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개축|증축 시기/일시 1976년연표보기 - 유금필장군 사당 신축
현 소재지 유금필장군 사당 - 충청남도 부여군 임천면 군사리 산1-1 지도보기
성격 사당
정면 칸수 3칸
측면 칸수 2칸
관리자 평산무송유씨대종회
문화재 지정 번호 부여군 향토유적 제8호[임천 유태사 묘]

[정의]

충청남도 부여군 임천면 군사리에 있는 장군 유금필을 모시는 사당.

[개설]

유금필(庾黔弼)[?~941]은 황해도 평산 출신으로 고려의 후삼국 통일에 크게 기여한 인물이다. 「성흥산성실기」에 따르면, 진남장군으로 전라도 순천 지역에 머물던 유금필이 송악으로 돌아가다가 부여 가림성의 지역민들을 진휼하였고, 은덕을 잊지 못한 지역민들이 임천 지역에 사당을 세웠다고 한다. 유금필가림성에 주둔한 것은 고려가 후백제의 영역이었던 임천 지역을 차지한 뒤였다. 따라서 유금필은 후백제가 항복한 뒤에 사실상 점령군으로 임천 지역민들을 통제할 목적으로 부여 가림성에 주둔한 것이다. 그런데 유금필은 가난한 주민들을 진휼하는 등 우호적인 입장에서 지역민들을 대우하였기에 이러한 공덕을 기리기 위하여 유금필이 죽은 뒤에 유금필장군 사당(庾黔弼將軍 祠堂)을 세우고 제사를 지낸 것이다. 1992년 5월 6일 부여군 향토유적 제8호 임천 유태사 묘로 지정되었다.

[위치]

유금필장군 사당충청남도 부여군 임천면 군사리 산1-1번지 성흥산 정상에 있는 부여 가림성 내부에 있다. 사괴석 담장으로 둘러져 있는 경내 입구편으로 면하여 솟을삼문형의 외삼문이 서 있고 조금 높은 곳에 사당 건물이 있다.

[변천]

조선 시대의 여러 지리지에 따르면, 유금필장군 사당이 자리 잡고 있는 부여 가림성성흥산성에는 성황사 혹은 성황단이 있었다. 유금필장군 사당이 곧 성황사 혹은 성황단으로 불렸음을 의미하며, 유금필이 고려 시대 이래로 임천 지역의 성황신으로 숭배되었음을 보여 준다. 가림성이 금필산성으로 불리기도 하였다는 점이나 사당 안에 나무로 만든 5구의 신상이 봉안된 이유도 여기에 있었고, 산성 아래에 거주하던 무당이 1976년 이전까지 유금필장군 사당을 관리한 이유도 여기에 있을 것이다. 그러나 현재는 유금필의 후손 평산무송유씨대종회에서 1976년 본래 사당이 있었던 자리 옆에 새롭게 사당을 지어서 매년 음력 3월 18일에 제사를 지내면서 관리하고 있다.

[형태]

유금필장군 사당은 정면 2칸, 측면 2칸의 통 칸 집으로, 맞배지붕이 올려져 있다. 건물 내부에 상량문이 남아 있으나, 내용이 ‘일이십칠일 개축 진시 입주 상량우 건좌(日二十七日 改築 辰時 立柱 上樑于 建坐)’만 남아 있어 건물의 크기가 현재보다 컸음을 알 수 있다. 본래 정면 3칸, 측면 2칸의 큰 건물이었으나, 보수를 하면서 현재와 같이 2칸 건물로 변화하였다고 한다. 사당 앞에는 ‘유장군당(庾將軍堂)’이라고 적힌 현판이 걸려 있으며, 돌 울타리가 사당을 둘러싸고 있다.

[현황]

유금필장군 사당 안에는 유금필의 위패와 영정이 봉안되어 있고, 유금필이 직접 지었다는 한시가 현판에 새겨져 있다. 1976년 이전까지 사당이 본래 자리하고 있었던 곳에는 평산무송유씨대종회에서 2009년에 건립한 ‘태사충절공유금필장군유적지비’가 세워져 있다. 현재의 사당 아래에는 평산무송유씨대종회에서 1978년 건립한 ‘유태사묘사적비’와 2012년 건립한 ‘태사유공지묘중수헌성비’도 함께 세워져 있다.

[의의와 평가]

유금필장군 사당은 점령군 장군인 유금필의 공덕을 지역 주민이 기리며 세운 사당으로 의미가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