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렉토리분류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9000174
한자 窺岩面
영어공식명칭 Gyuam-myeon
분야 지리/인문 지리
유형 지명/행정 지명과 마을
지역 충청남도 부여군 규암면지도보기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강전영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개설 시기/일시 1914년연표보기 - 충청남도 부여군 규암면 개설
성격 법정면
면적 46.32㎢
가구수 5,737가구
인구[남/여] 11,736명[남 5,762명|여 5,974명]

[정의]

충청남도 부여군에 속하는 법정면.

[명칭 유래]

‘규암(窺岩)’은 바위의 이름으로, 1914년 행정 구역 개편 시 천을면(淺乙面), 도성면(都城面), 송당면(松堂面)을 병합하면서 천을면에 있는 규암의 이름을 따온 것이다. 규암은 ‘엿바위’ 라고도 부르는 데 백제 말 바위 뒤에서 망을 보던 병사가 당나라의 소정방이 침공하고 있다는 소식을 사비성에 알린 일로 인하여 붙여진 것이라는 이야기가 전한다.

[형성 및 변천]

규암면(窺岩面)은 조선 시대 부여현 천을면 지역이다. 백제 소부리[사비] 지역으로 통일 신라 시대에는 671년(문무왕 11) 소부리주[사비주], 686년(신문왕 6) 소부리군, 경덕왕 때 부여군 지역이었다. 고려 시대에는 부여군과 부여현 지역이었다. 조선 시대 부여현 천을면, 조선 말에는 부여군 천을면 지역이었다. 1914년 행정 구역 개편에 따라 천을면 15개 리, 도성면(都城面) 15개 리, 송당면(松堂面) 6개 리와 가좌면(加佐面) 외경리(外敬里) 일부, 임천군(林川郡) 북박면(北朴面) 석우리(石隅里) 일부, 홍산군(鴻山郡) 해안면(海岸面) 지경리(地境里) 일부가 병합되어 충청남도 부여군 규암면으로 개설되었다.

[자연환경]

북쪽에는 구릉성 산지 지대로 옥천산, 태봉산이 이어지는 산줄기가, 금강 변에는 부산이 있다. 남쪽은 충적 지대로 이루어져 있다.

[현황]

규암면은 충청남도 부여군 북부에 있는 면으로 19개 법정리[규암리, 외리, 내리, 반산리, 합송리, 노화리, 부여두리, 수목리, 석우리, 나복리, 모리, 함양리, 신성리, 금암리, 호암리, 합정리, 신리, 오수리, 진변리]와 36개 행정리로 구성되어 있다. 규암면행정복지센터는 규암리에 있다. 동쪽으로 금강을 경계로 부여읍, 서쪽으로 구룡면·은산면, 남쪽으로 장암면, 북쪽으로 충청남도 청양군 장평면·청남면과 접하여 있다.

2023년 5월 현재 면적은 46.32㎢이다. 인구는 5,737가구 1만 1736명[남자 5,762명, 여자 5,974명]이다. 세대당 인구가 약 2.1명으로 부여군에서는 부여읍 다음으로 인구가 많은 지역이다. 백제문화단지, 부여 왕흥사지[사적], 천정대[충청남도 기념물], 수북정[충청남도 문화유산자료] 등의 관광지가 있다.

1966년 내리지구를 필두로 경지 정리 사업이 시행되어 농업 기반 조성 사업이 잘 이루어졌으며, 미곡과 소채류 생산을 주로 하고 있다. 또한 국도 제4호와 국도 제29호의 교차 지점에 있어 타 지역과 연계된 교통망이 좋고 수송 체계도 발달하였다.

규암면에 있는 주요 기관으로는 규암면사무소, 부여경찰서 규암파출소, 규암우체국, 규암농업협동조합, 규암면 예비군중대가 있으며, 교육 기관으로는 규암초등학교, 합송초등학교, 백강초등학교, 백제중학교, 부여정보고등학교, 한국전통문화대학교가 있다. 문화 관광 시설로는 부여종합운동장, 백제문화단지, 롯데리조트 등이 있으며, 그외에도 한국인삼공사 고려인삼창충청남도농업기술원 과채연구소가 있다.

문화유산으로는 사적으로 지정된 백제 사찰 부여 왕흥사지와 충청남도 기념물인 호암사지, 그리고 백제 고분군인 오수리 매골 고분군·오수리 오실골 고분군·합정리 들래골고분군·호암리 문냉이골 고분군·호암리 지장골 고분군·오수리 드무절골 고분군·나복리 고분군·합정리 고분군뿐 아니라 울성산성·나복리성·부산성 등 다수의 백제 유적이 분포하며, 천연기념물로 지정된 부여·청양 지천 미호종개 서식지가 있다.

[참고문헌]
  • 『부여군지』 (부여군지편찬위원회, 2003)
  • 『제58회 부여통계연보』 (부여군청, 2021)
  • 문화재청 문화재공간정보서비스(https://gis-heritage.go.kr)
  • 부여군청(https://www.buyeo.go.kr)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https://encykorea.aks.ac.kr)
  • 국가통계포털(https://kosis.kr)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