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렉토리분류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9000134
한자 國道 第四號
영어공식명칭 General National Route No.4
이칭/별칭 대백제로,4번 국도,국도 4호선,국도 제4호선
분야 지리/인문 지리
유형 지명/도로와 교량
지역 충청남도 부여군 옥산면|홍산면|남면|구룡면|규암면|부여읍|석성면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박종철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준공 시기/일시 1971년 8월 31일연표보기 - 국도 제4호 지정
특기 사항 시기/일시 2010년 - 국도 제5호 세계대백제전을 기념하여 도로명을 '대백제로'라고 명명
전구간 국도 제4호 - 전라북도 부안군~경상북도 경주시
해당 지역 경유 구간 국도 제4호 - 충청남도 부여군 옥산면 대덕리|신안리|안서리|수암리|홍산면 홍양리|남촌리|북촌리|좌홍리|교원리|조현리|남면 삼용리|송학리|구룡면 동방리|논티리|죽교리|주정리|구봉리|규암면 노화리|합송리|내리|부여읍 군수리|왕포리|중정리|가탑리|능산리|염창리|석성면 정각리|현내리|증산리지도보기
성격 일반국도
길이 380.722㎞[전 구간]|35.932㎞[부여군 구간]
차선 왕복 4차선[부여군 구간]

[정의]

전라북도 부안군에서 충청남도 부여군을 거쳐 경상북도 경주시를 연결하는 일반국도

[개설]

국도 제4호는 전라북도 부안군 하서면 백련리에서 경상북도 경주시 감포읍 전촌사거리까지를 잇는 일반국도이고, 총 길이는 380.722㎞이다. 노선명은 군산-경주선이다. 부여군에서는 옥산면 대덕리에서 석성면 증산리까지를 지난다.

[명칭 유래]

국도 제4호의 부여군 구간은 대백제로라고 명명되어 있다. ‘대백제로’ 명칭은 금강 하구언의 동백대교에서부터 국도 제4호가 공주 방향으로 이어지는 논산시 대교앞교차로[논산교차로 인근]까지 사용된다. 도로명의 유래는 2010년 백제문화단지 일원에서 열렸던 세계대백제전을 기념하기 위한 것이라고 한다.

[제원]

국도 제4호가 부여군을 통과하는 구간 길이는 35.932㎞이며, 부여군 옥산면 대덕리에서부터 석성면 증산리 군계교까지 이어지는 전 구간이 왕복 4차선이다. 도로 포장률은 100%이다.

[건립 경위]

1971년 8월 31일 대통령령 제5771호 「일반국도노선지정령」에 의하여 제4호 군산-경주선으로 지정되었다.

[변천]

국도 제4호의 부여군 구간은 여러 차례의 선형 개량을 통하여 직전화되었고, 확장 개통을 통하여 현재의 왕복 4차선이 되었다. 1973년 9월 8일 선형 개량으로 인하여 부여군 홍산면 남촌리부터 북촌리까지의 650m 구간이 400m로 단축되었고, 부여군 규암면 규암리부터 부여읍 구교리까지의 4㎞ 구간이 3㎞로 변경되었다. 1998년 1월 12일 부여군 규암면 규암리부터 부여읍 동남리 2.7㎞ 구간이 신설되었고, 기존 1.5㎞ 구간은 폐지되었다. 1999년 7월 23일 부여군 홍산면 좌홍리부터 남촌리 1.32㎞ 구간이 확장 개통되었으며 기존 1.21㎞ 구간은 폐지되었다. 2000년 6월 26일 구룡우회도로[부여군 구룡면 동방리~주정리]인 2.8㎞ 구간이 개통되었으며 기존 1.75㎞ 구간은 폐지되었다. 2008년 12월 31일 구룡면 태양리부터 부여읍 동남리의 9.49㎞ 구간이 확장되어 개통되었고, 기존의 구간인 구룡면 주정리부터 부여읍 동남리의 6.7㎞ 구간은 폐지되었다. 2009년 12월 31일 부여읍 군수리에서부터 논산시 성동면 원북리를 잇는 13.5㎞ 구간이 확장되어 개통되었고, 기존 16.2㎞ 구간은 폐지되었다. 2011년 12월 22일 서천군 판교면 복대리에서부터 부여군 구룡면 동방리를 잇는 11.88㎞ 구간이 확장 개통되었다.

[현황]

부여군 옥산면 대덕리에서부터 석성면 증산리 군계교까지 구간은 대백제로라고 명명되어 있으며, 국도를 통하여 서천군 서천읍과 부여군 부여읍, 부여군 부여읍과 논산시 동지역을 잇는 중요한 교통로이다.

국도 제4호의 충청남도·대전광역시 구간은 서천군, 부여군, 논산시, 계룡시, 대전광역시를 통과한다. 부여군 내에서는 옥산면 대덕리·신안리·안서리·수암리, 홍산면 홍양리·남촌리·북촌리·좌홍리·교원리·조현리, 남면 삼용리·송학리, 구룡면 동방리·논티리·죽교리·주정리·구봉리, 규암면 노화리·합송리·내리, 부여읍 군수리·왕포리·중정리·가탑리·능산리·염창리, 석성면 정각리·현내리·증산리를 통과한다. 부여군 중앙을 가로질러 도로가 지나가며, 국도 제4호를 따라 서쪽으로는 서천군, 동쪽으로는 논산시로 연결된다. 이 가운데 홍산면 조현리 서부여IC 교차로에서 서천공주고속도로와 만난다.

국토교통부의 『도로 교량 및 터널 현황 조서』에 의하면 2021년 말 국도 제4호의 부여군 구간에 가설된 교량은 홍산면에 1개, 구룡면에 5개, 규암면에 4개, 부여읍에 11개, 석성면에 4개로 총 25개가 있다. 이 가운데 부여읍 군수리부여대교는 교장 1,595m에 이른다. 국도 제4호의 부여군 구간에 가설된 터널은 사비터널이 있으며, 상행은 부여읍 능산리[860m]에, 하행은 석성면 정각리[820m]에 가설되었다.

구룡면 구봉리 지점에서 조사한 국도 제4호의 2021년 평균 일 교통량은 1만 3386대이다. 차종별로는 승용차가 9,158대로 가장 많고, 다음으로 소형 화물차 3,590대, 중형 화물차 458대, 버스 144대, 대형 화물차 36대 순이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